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2:17:21

NITRO CHiRAL

니트로 키랄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키랄성에 대한 내용은 이성질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키랄성:
이성질체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
:
문서의 번 문단
문서의 부분

파일:니트로플러스 로고.svg
니트로플러스 관련 문서
{{{#373a3c,#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게임 Nitro+ 틀 목록 참조
Nitro+CHiRAL[1] 틀 목록 참조
협력·합작 5pb. Chaos;HEAd · Steins;Gate[2]
DMM.com 도검난무-ONLINE- · 도쿄NECRO Suicide Mission
굿스마일 컴퍼니 웃는 아르스노토리아
애니메이션 기신포후 데몬베인 · BLASSREITER · Phantom ~Requiem for the Phantom~ · 토가이누의 피 · 마법소녀 마도카☆마기카 · Fate/Zero · 길티 크라운 · 학교생활! · 낙원추방 · PSYCHO-PASS · DRAMAtical Murder
기타 영상물 가면라이더 가이무 · Thunderbolt Fantasy 동리검유기
기타 스태프 나마니쿠ATK · 미모리 시노부 · 시모쿠라 바이오 · 야마다 우이로우 · 우로부치 겐 · 하가네야 진 · 후치이 카부라 · 니트로플러스 아츠
퇴사한 스태프 나라하라 잇테츠 · 이토 라이프 · 오니츠카 세이지 · 타타나 카나 · 호냐라라 · 죠이맥스 · 유퐁
협력·외부 스태프 이토 카나코 · ZIZZ STUDIO
캐릭터 슈퍼 소니코 · 나이토군 }}}{{{#373a3c,#ddd}}}}}}}}}

파일:NITRO CHiRAL 로고.png
니트로플러스성인용 BL 게임 브랜드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0px; margin-top:0px; margin-bottom:-15px"
{{{#!wiki style="word-break: keep-all"
PC 게임 파일:Togainu_no_chi_pc.jpg 파일:라멘토 메인.jpg 파일:sweet pool_pc.jpg 파일:attachment/dmmdposter_1.jpg 파일:슬로우 데미지 박스아트.jpg
토가이누의 피
(2005년)
Lamento -BEYOND THE VOID-
(2006년)
sweet pool
(2008년)
DRAMAtical Murder
(2012년)
슬로우 데미지
(2021년)
}}}}}}}}} ||

파일:NITRO CHiRAL 로고.png

정식 명칭 NITRO CHiRAL
(니트로 키랄 / ニトロキラル)
국가 일본
모회사 Nitro+
장르 18금 BL 게임
상세 니트로플러스BL 게임 브랜드
주요 인물 후치이 카부라
야마다 우이로우
데뷔 2005년 <토가이누의 피>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1. 개요2. 상세3. 오해4. 특징
4.1. 작품 성향4.2. 그래픽 디자인4.3. 성우 기용4.4. 사운드/라이브4.5. 애니메이션 징크스
5. 문제점
5.1. 용두사미 시나리오5.2. 핵심 공략캐 편중 문제5.3. 한국 극성 팬 문제5.4. 그 외
6. 만우절 이벤트7. 번역본과 한글화8. 작품 목록
8.1. 정규 게임8.2. 콘솔 이식판8.3. 그 외8.4. 모바일·웹 게임
9. 관련 스태프
9.1. 퇴사한 인물들
10. 마스코트 캐릭터11. 기타12. 외부 링크13.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유명 남성향 에로게 개발 메이커인 니트로플러스의 성인용 BL 게임 개발 브랜드. 한국에서 애칭은 키랄[1], 일본은 4글자로 줄여 니토키라(ニトキラ)와 키랄(キラル), 영어권은 보통 앞글자만 따온 N+C로 부르며 가끔 CHiRAL 표기도 사용한다. CHI를 치나 차이, 카이로도 읽을 수 있어서 치랄, 차이랄, 카이랄로 잘못 읽는 경우가 적지 않다.

2. 상세

니트로플러스와 키랄 둘다 호불호를 극명하게 타는 어두운 소재를 사용하지만 보다 대중적인 소재를 사용해 TYPE-MOONKey, Leaf, 앨리스 소프트 등 인기 에로게 메이커들이 주목을 더 받아 마이너로 여겨지는 니트로플러스와 다르게 키랄은 BL 게임 시장 자체가 작아 양질의 작품이 나오기 힘든 환경에서 키랄은 외적 퀄리티가 상당히 높기 때문에 BL 게임에서 메이저로 취급받는 등 인기 및 인지도가 매우 높다.

2010년대에 이르러 에로게 시장이 축소됨에 따라 BL 게임 시장도 여파를 맞이해 무기한 휴지 선언을 하거나 사업 철수하는 브랜드가 늘고 있는 와중에 키랄은 소수로 남은 활동을 계속하고 있는 브랜드이나 스위트 풀 이후 신작 개발텀이 약 4~5년 단위로 많이 길어진 상태이다. BL 게임 유행이 2000년 중반에 꺼졌고, 신작 슬로우 데미지도 전작들과 다르게 정보공개를 포함한 개발 텀이 비정상적으로 길어져 홍보가 이루어지지 않아 라이트 한정으로 키랄이 신작 발표도 안하고 심하게는 활동을 접은 것으로 오해하는 사람들도 소수있는 편.

3. 오해

  • 니트로플러스의 자매회사(자회사), 전문 개발팀이다
    키랄은 니트로플러스의 BL 게임 발매 전용 상표명이지 별도로 분리된 회사, 단독 개발팀이 아니며 니트로플러스가 BL 게임을 개발하면 니트로 키랄 명의로 발표하는 형태로 후술할 듯 니트로플러스 직원들은 키랄 게임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 키랄은 법인 등록이 되어있지 않아 게임을 포함한 저작권이 있는 판권물들의 저작권 표기는 (전)ⓒNitroplus, (현)ⓒNITRO ORIGIN 으로 표기되며 후치이 카부라회사에 재직했던 일러스트레이터들도 니트로플러스 소속 직원들이다. 이는 니트로와 키랄만 아니라 다른 에로게/비주얼 노벨 브랜드들도 많이 받는 오해로 브랜드를 회사명으로 동일시 내지는 착각해서 생기는 것.
  • 니트로플러스보다 유명하다, 니트로플러스를 먹여살렸다.
    니트로플러스가 에로게 업계에서는 마이너인데 키랄은 BL 게임에서 메이저다, 키랄 게임들의 판매량이 엄청나다라는 이야기가 곡해된 것과 거기에 여성향 게임의 사정을 모르는 일부 유저들이 오해해서 퍼뜨린 루머. 자세한 것은 후술되어있으나 에로게와 여성향 게임 시장 규모를 비교하면 전체적인 판매량은 니트로플러스 쪽이 더 높으며 여성향 게임은 오토메 게임을 제외하면 판매량 집계를 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대부분 최소 판매량 기준인 1만 장도 안나오기 때문. 토가이누가 일본에서 유명세를 떨치게 된 이유도 "니트로플러스에서 만드는 BL 게임" 이라는 소문이 퍼진 것이 원인으로 니트로플러스의 남성 팬덤도 토가이누를 구매했다는 비화가 존재한다.

4. 특징

선두에 요약하자면 작품 성향과 성우 기용, 시대를 앞서간 인터페이스, 게임 연출은 모회사 니트로플러스와 매우 동일하다.

4.1. 작품 성향

토가이누의 피를 만들기 위해 후치이 카부라가 일부러 니트로플러스를 골랐다는 일화만 봐도 알다시피 키랄도 니트로플러스처럼 하드코어를 기반으로 한 다크한 전개와 처절한 심리묘사, 꿈도 희망도 없는 배드엔딩들, 처절하게 구르는 주인공들이 특징으로 하드보일드, 액션, SF, 느와르여성향계에서 흔치 않는 남성향 소재들을 즐겨 사용한다. 특히 배드엔딩으로 빠질 경우 신체훼손 및 정신붕괴는 기본에 성노예로 전락하는 등 니트로플러스 작품의 히로인도 당하지 않을 온갖 험한 꼴을 당하는 것으로 악명이 높다. 단 주인공들이 험한 꼴을 당하는게 유명해서 그렇지 히어로, 즉 공략 캐릭터들도 하나같이 풍파많은 인생을 살아왔거나 본인들 루트에서는 내적갈등 때문에 고생을 하는 편이다.

이렇다보니 데뷔작인 토가이누의 피부터 라멘토, 스위트 풀은 노골적으로 어두운 세계관을 기반으로 했고 해피엔딩들도 여운이 남거나 일반적인 상식관을 가진 해피가 아니며 드라마티컬 머더도 작풍과 컨셉이 전작들보다 많이 밝은 거지 세계관은 새로 개발된 신형 도시와 밀려난 구 주민들에 대한 차별, 마인드 컨트롤 능력자를 이용한 세뇌을 바탕으로 한 디스토피아 세계가 기반으로 배드엔딩들은 전작들처럼 충격적인 편. 여전히 현시창급으로 어두운 편이다.

그리고 대부분 BL 게임 메이커들이 그러하듯 키랄도 주인공 총수를 밀고 있는데 토가이누의 피에서는 특정 캐릭터 한정으로만 공이 되었지만 라멘토 이후 완전히 총수로 밀게 되었다. 이렇다보니 리버스를 좋아하거나 주인공 공을 좋아하는 유저들 사이에서는 호불호를 타고 있지만 단점이라고 볼 수 없다. 그 이유로 BL 게임 수요층 절대다수가 여성이라 주인공을 수 캐릭터로 만들어야 어느 정도 감정이입이 쉬운 것도 있고 대부분이 리버스에 거부감을 가진 것도 있으나 핵심 문제는 개발 비용 문제로 안그래도 고인물에 쇠퇴한 BL 게임 시장 특성상 본전치기도 힘든데 리버스 루트를 추가로 넣으면 CG도 새로 그리거나 성우 녹음까지 해야 하는 등 개발 비용이 매우 늘어나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키랄만 아니라 타 BL 게임 메이커도 총수를 기반으로 공 루트를 한개 넣거나 아니면 완전히 총수로 가거나 반대로 주인공 총공으로 공수고정을 하는 것.

보통 BL 게임은 여성 캐릭터는 단역으로 등장시키거나 메이커, 작품에 따라서는 아예 등장을 안시키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키랄은 모회사가 미소녀 게임을 만들면서 남성 캐릭터 메이킹에 신경을 쓴 영향인지 여성 캐릭터 메이킹에도 신경을 쓰는 편이다.

4.2. 그래픽 디자인

토가이누의 피의 파격적인 그림체와 캐릭터 디자인으로 BL계와 여성향계 전반에 영향을 끼쳤을만큼 키랄은 그림 스타일도 남성향 소년, 청년 만화에 나올법한 선이 굵거나 강한 인상을 가진 남성 캐릭터들과 원색 베이스의 셀 채색, 그리고 리얼한 비례를 가진 망가체를 베이스로 남성의 인체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일러스트레이터를 위주로 기용하고 있다. 이렇다보니 여성향계에 심심하면 볼 법한 파스텔 수채화 채색법과 부드러운 남성 캐릭터들을 찾아보기 힘들다.

4.3. 성우 기용

성우덕들이 매우 많은 BL, 여성향계 특성상 키랄도 성우 기용에 매우 신경을 쓰는 브랜드로 단순히 네임드 성우만 채용하는 것이 아니라 캐릭터 이미지에 맞게끔 연기에 세세히 신경을 쓰고 있다. 예를 들어 스기타 토모카즈는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의 이나 은혼의 긴토키로 걸걸한 목소리를 가진 성우로 유명하지만 케이스케 연기를 들어보면 그 스기타가 맞나 싶을 정도로 목소리 변화톤 부터해서 광인 연기까지 잘하는 편.

4.4. 사운드/라이브

원래 니트로플러스가 음악에 돈을 아끼지 않다보니 키랄도 주제곡과 BGM 퀄리티가 매우 좋기로 유명하다. 라멘토만 해도 Cool-b BL 게임 인기투표에서 주제곡 부문으로 1위를 차지한 적이 있었고 니트로플러스가 전용 라이브 이벤트인 니트로 슈퍼 소닉(NITRO SUPER SONIC)를 여는 것처럼 키랄은 더 키랄 나이트 라이브(THE CHiRAL Night LIVE)를 열고 있다. 2005년, 2006년에는 니트로 슈퍼 소닉에서 열었으나 스위트 풀이 발매된 2008년부터 키랄 나이트 라이브가 생기면서 갈라졌다. 당초에는 슈퍼 소닉처럼 1년에 한번씩 열었으나 에로게와 BL 게임 시장이 침체기를 겪게 된 현재는 자주 열지 않고 몇 주년 기념같은 특별한 이벤트가 있을때만 여는 것으로 변경.

4.5. 애니메이션 징크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니트로플러스 문서
2.4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토가이누의 피DRAMAtical Murder는 키랄의 대표작이자 전성기를 안겨주었음에도 불구하고 애니메이션 판은 흑역사급 퀄리티를 낳았다. DRAMAtical Murder 애니메이션판은 매 화 작화에 대한 성토를 이었을 정도.

5. 문제점


키랄 게임은 스토리 중심의 BL 게임을 지향하는 영향 아래 시나리오의 수준은 높은 편이 아니다. 그렇기에 키랄에 대한 소문을 듣고 본가인 니트로플러스의 에로게는 물론이고 타입문이나 키와 같은 높은 스토리텔링을 가진 BL 게임을 기대하는 유저들은 알려진 소문과 달리 허술한 시나리오에 실망을 품고 이에 대한 비판을 하거나 불만점을 토로하는 것, 더 나아가 키랄에 대해 싫은 감정을 품는 것도 개인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BL 게임도 비주얼 노벨 에로게다보니 평균 가격이 비싼 영향 아래 BL 게임을 즐긴다고 모두가 키랄을 좋아하거나 키랄 게임을 플레이하지 않는 것처럼 이는 당연한 현상이자 존중받아야 하는 또다른 의견이다. 스토리로 고평가를 받는 유명 브랜드만 아닌 본가 니트로플러스도 악평을 들은 하나치라스를 제외하면 단점은 주로 아쉽다는 정도로만 그치지 완성도에 지장이 주는 정도는 아니라고 판단하거나 취향에 맞지 않아 불호를 표시하는 측도 게임 자체의 완성도는 비판한 적이 없다. 따라서 키랄의 스토리 문제는 키랄의 약점이 맞다.[5]

이는 BL 게임의 시장 규모가 너무 작은 나머지 남성향 에로게에 비해 양질의 시나리오 라이터나 원작자가 없다시피해 평균치가 자연스레 낮아질 수밖에 없는 와중, 그나마 키랄은 니트로플러스의 백업으로 그래픽과 음악, 게임 플레이 편의성, BL 게임 내 한해 적극적인 미디어 믹스 전개와 마케팅 등 게임 외적인 부분은 BL 게임 한정으로 퀄리티가 매우 뛰어나 주목도가 몰릴 수밖에 없고 용두사미 시나리오라는 멸칭에서 알다시피 세계관과 캐릭터 설정, 도입부 부분 등 게임의 기본은 잘 만들어서 후반부의 허술한 구성이 그만큼 눈에 잘띄기 때문이다. 키랄은 "니트로플러스 색채의 BL 게임" 이라는 슬로건을 걸고 있는 만큼 스토리도 키랄의 세일즈 포인트 중 하나이기 때문에 그 스토리가 좋지 못하고 기대치에 맞지 않다면 스토리 관련으로 비판이 나올 수밖에 없다. 키랄의 스토리 문제 지적은 플레이를 한 유저들마다 기준이나 관점의 차이는 있으나 공통적으로 "설명하려는건 많은데 정작 메인 스토리의 복선, 주인공과 공략캐, 스토리의 핵심인 반동인물과 중요 캐릭터 등 캐릭터들의 스토리나 서로 좋아하게 되는 동기와 심리묘사 같이 중요한 부분은 묘사가 부실하거나 생략이 너무 많고, 후반부와 결말 부분에 갑작스럽게 진행하고 완결내는 느낌이 강하다."는 포인트는 동일하게 지적되고 있다.

5.1. 용두사미 시나리오

키랄의 장점에도 악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단점으로 봐도 무방하다. 정확히는 키랄의 간판 시나리오 라이터이기도 한 후치이 카부라의 문제점이지만 그녀가 현재까지 발매되었고 개발 중인 키랄 게임의 시나리오를 맡고 있다보니 키랄의 단점이 되었다. 국내 키랄 팬덤만 아닌 일본 본토도 메이와쿠 문제로 인해 직설적으로 말하지 않을 지언정 익명으로 시나리오 구성을 지적하는 일이 많다. 단 일본은 한국처럼 용두사미라는 표현을 쓰기보다 "키랄 게임들은 시나리오의 깊이가 얕다(내지는 정밀도가 떨어진다), 캐릭터와 세계관에 비해 시나리오 전개가 아쉽다" 는 식으로 서술하는 일이 많은 편인데 게임의 외적 부분과 매력적인 설정, 세계관에 비해 시나리오가 훌륭하지 못하다고 지적하는 포인트는 동일하다.

5.2. 핵심 공략캐 편중 문제

원래 서브컬처계는 인구 수가 적다보니 인기 많은 캐릭터에게 굿즈가 편중이 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현상이며 특히 마이너인 BL 게임은 키랄을 제외하면 피규어나 입체물 굿즈조차 나오지 않아 수요가 확정된 인기 캐릭터의 굿즈를 내놓아야 굿즈 회사에서도 적자를 면할 수 있다. 때문에 토가이누는 피규어 및 입체물은 아키라와 시키로 편중되었고 나머지 캐릭터들은 가격 대비로 싼 원코인 SD 피규어나 아크릴, 열쇠고리로 나온 것이 전부이다.

그러나 키랄은 남성향계에서는 메인 히로인, 진 히로인이라 불리는(남성식으로는 히어로) 게임에서 주인공 다음으로 간판을 차지하거나 메인 스토리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는 공략 캐릭터에게 지나치게 몰빵을 해 공략 캐릭터의 비중 배분에 악영향을 미치고 특히 핵심 스토리와 관계없는 공략 캐릭터의 시나리오는 상단에 서술된 용두사미 시나리오 문제가 겹쳐져 재미가 없다는 평이 많다. 일각에서는 일부 히어로들의 스토리가 진상루트의 스토리 라인과 지나치게 따로국밥으로 놀거나 심지어는 단순히 배경을 소개하는 용도로만 소모된다는 비판도 한다.
대표적으로 토가이누의 피시키, 라멘토라이, 스위트 풀테츠오로 이 세 명은 엔딩부터 해서 스토리 분량까지 압도적인 미친 존재감을 자랑했고 특히나 토가이누의 피는 진 히어로여야 할 나노가 묻혀버릴 정도로 시키에 비해 매력과 존재감이 빈약했다.[6] 때문에 보통 연애 노벨 게임은 만화나 애니메이션화를 한다면 분량 특성상 타 캐릭터 루트는 핵심 스토리만 반영하되 전체적인 스토리나 결말은 진 히로인 루트를 중심으로 두지만 토가이누는 만화나 애니메이션이나 누구 루트로 갈 것이냐는 갑론을박이 그치지 않아 전성기때는 캐릭터 팬덤간 견제 및 싸움이 심했었으며 스위트 풀사야의 노래 대부분을 벤치마킹한 만큼 사실상 테츠오의 독무대였다.

5.3. 한국 극성 팬 문제

해당 문단은 2000년에서 2010년 즈음의 과거에 활동했던 일부의 한국 팬덤 한해서만 서술되어있으며 2020년부터는 ESD 시장이 활발해지면서 접근성이 좋아지거나 팬덤의 세대교체로 니트로플러스 및 타 BL 게임 비하 여론은 많이 줄어들었다.

모회사인 니트로플러스의 평판과 영향력을 축소 및 까내리며 키랄이 니트로플러스를 먹여살렸다, 키랄 게임이 니트로 게임보다 인기가 더 많다, 퀄리티가 높다는 식으로 키랄의 영향력과 BL 게임에서의 인기를 과시하며 전체적인 여성향 게임 팬덤을 추켜세우거나, 다른 악성 팬덤들처럼 키랄 게임만이 최고고 다른 BL 게임들을 스토리가 형편없고 없거나 에로 위주의 B급 쿠소게라며 비방을 하는 것, 키랄에서 개발된 특정 게임 및 키랄 그 자체의 문제점이나 불호점을 적은 평가가 언급되면 비판을 거부, 비판자 및 키랄 게임에 불만점을 표시한 사람들을 다른 작품과 장르의 팬덤 내지는 키랄의 가치를 모르거나 몰지각한 사람들로 매도하는 식으로 키랄을 무작정 비호하며 맹목적인 팬심을 보인 팬덤들이 존재했었다. 심하게는 비판, 불호점을 말하는 유저들을 비방하거나 무분별한 신고를 해 감상문을 내리게 하는 형태로 존중하지 않는 모습을 보인 적도 있었으며, 대한민국은 BL 게임의 몰락기와 겹쳐 2010년 쯤 돼서 어느 정도 해결되었지만 키랄이 자극적이고 잔인한 소재들을 즐겨 사용하는 영향도 있어 미성년자들이 혼자서 몰래 플레이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커뮤니티와 SNS에 등장하거나 가입을 시도, 성인 키랄 팬덤들 앞에 나타나 교류를 시도하며 민폐를 끼치는 문제도 있었다.

당시 니트로플러스는 우로부치 겐하가네야 진이 슬럼프 문제로 대외적 활동을 휴지한 상태라 게임 발매를 이어나가기 위해 신인 라이터들을 기용했었다. 진해마경(2005년), 하나치라스(2005년), 월광의 카르네바레(2007년)가 이 니트로플러스의 슬럼프 시기 때 나온 물건들로 진해마경과 월광의 카르네바레는 평가는 무난했으나 슬럼프를 극복할 수준이 아니었고, 하나치라스는 평가가 매우 나빴다. 이런 상황에서 당시 키랄은 2005년 초에 발매한 토가이누야 말할 필요도 없고 2006년 하반기에 발매한 라멘토는 시나리오 문제를 떠나 대신 그래픽과 연출, 설정이 뛰어났기에 BL 게임 내에서 인기를 끌 수 있었던 것이다. 즉 니트로플러스가 에로게 계열에서 인기가 미묘하다는 것은 대중적이지 않는 게임을 만들다보니 TYPE-MOON, key, Leaf 등 메이저 브랜드에게 밀려 상대적으로 마이너가 된 것에 가깝다.

키랄의 인기 독점 원인으로 꼽히는 BL 게임의 평균 퀄리티 편차가 심해 키랄이 주목받고 있다는 것을 오해해 다른 BL 게임들은 할 가치도 없는 망겜 천지인데 키랄이 유일하게 잘 만든다고 생각하는 경우도 없지는 않다. 키랄이 데뷔하기 이전에도 호평받은 BL 게임들은 존재했으며[7] 리뷰/감상평들이 존재하거나 팬들이 있는 게임은 할 만한 수작, (장르 평균 퀄리티 대비로) 기본은 하는 범작 게임이라고 인증된 것이다. 키랄이 데뷔하면서 BL 게임도 인재 풀이 너무 적고 예산을 아끼기 위해 프로그래밍에는 할애는 못해도 최소 일러스트와 그래픽 디자인, 캐릭터 서사에 신경을 쓴 게임들이 늘어나 럭키독1이나 다이쇼 뫼비우스라인처럼 캐릭터와 시나리오에서 호평을 받으며 키랄의 독점 인기 체제를 무너뜨린 게임들도 나오거나 2016년 BL 게임에서 화제작이였던 고서점가의 하시히메를 만든 ADELTA 등 고정 팬덤을 가진 회사와 동인 서클들이 늘어나는 식으로 신작 수는 줄어들었을 지 언정 질적 면에서는 상향평준화가 되었다. 이 바닥의 평균 가격이 매우 비싼 만큼 진짜 쿠소게, 지뢰작은 리뷰가 없거나 코어 게이머들이 선두에 나서 망작이라고 평가해 입소문을 타 아예 묻혀버리는 현상이 많다.

5.4. 그 외

이 건은 키랄 자체의 문제점이라기보다는 PC 성인 게임 업계 인프라가 심각하게 취약한 나머지 인원부족으로 생기는 문제점인데 메인 일러스트레이터에게 캐릭터 디자인과 메인 원화(게임 내 CG 및 스탠딩 이미지)만 아닌 자잘한 세부 디자인(배경, 무기, 장신구 컨셉 디자인, 색과 명암 배색 등)을 위시로 그래픽 총괄을 거의 혼자 넘기는 것으로 악명이 높다. 인원부족은 그래픽만 아니라 개발 직종도 마찬가지라 시나리오 라이터가 스크립트 작성 및 디버깅 테스트를 하고 심하면 프로그래밍까지 하거나 음향에 어느 정도 지식이 있으면 음향 작업까지 맡기도 하는 등 인원 돌려먹기가 심한 편이다. 비단 이런 혹사만 아니라 에로게 업계는 장르 특성상 기반이 빈약하고 다른 중소 게임 회사보다 먹고 살기 힘들어 빛의 세계로 가거나 다른 일을 받기 위해 일부러 프리랜서로 독립하기도 하는데 타타나 카나의 라멘토 작업에 대한 뒷 사례때문에 오니츠카 세이지와 호냐라라도 퇴사 관련해서 과로사 루머가 돌았다.

사족으로 문제점으로 보기 힘든 어려운 점으로 연애 묘사가 BL치고 보다 빈약하다는 점이 있다. 일본 BL 게임 팬덤에서는 가끔 나오는 비평인데 니트로플러스부터가 에로게를 만들면서 주인공과 히로인간 연애 묘사보다 세계관 및 서사, 액션 활극, 다크한 요소에 집중하거나 연애 묘사를 서사의 부가 양념으로 넣는 것으로 유명했다보니 키랄도 이런 경향이 강한 편. 이 영향인지 전연령 미디어 믹스에서 키스신 조차 안나오거나, 성행위 신 같은 에로 요소가 편집되면 장르는 분명 BL인데 BL 같지 않다는 평이 가끔 나온다.

6. 만우절 이벤트

키랄이 한 만우절 이벤트들은 다음과 같다. 단 2008년, 2011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2년에는 만우절 이벤트를 하지 않았는데 신작 개발, 프로젝트 진행 때문이다. 특히 2019년은 슬로우 데미지 개발로 최초로 두 번이나 만우절 이벤트를 스킵한 사례라 키랄 측에서도 야마다 우이로우가 그린 키랄 주인공 4인방과 나이토군의 SD 캐릭터가 도게자를 하는 애니메이션으로 사과 공지를 띄운 상태. 2022년부터 만우절 이벤트는 하지 않겠다고 공식적으로 발표했다.
  • 2006년 : 토가이누의 피를 주제로 한 대전액션게임이 나온다고 발표를 했는데 가칭은 "굶주린 개(飢狗)"
  • 2007년 : 라멘토를 주제로 한 학원물이 나왔는데 아사토는 소꿉친구, 라이는 학생회장, 바르도는 양호 선생님으로 나왔다. 이 버전은 후일 드라마 CD로 컨버전이 되었다. 덤으로 알비트로가 라멘토 캐릭터를 품평하는 특설 페이지도 존재했었는데 쇼타콘답게 잘생긴 캐릭터들은 어렸으면 좋겠다고 말하고 아저씨나 근육돼지 캐릭터들은 역겹다고 까대는 것이 풍미.
  • 2009년 : 스위트 풀을 《스위트 포동포동》이라는 이름으로 뚱보들을 공략하는 연애 게임으로 만들었는데 80kg 미만 구매 금지로 바꿔버리는 기행을 저질렀다.
  • 2010년 : 토가이누의 피를 푸콘 가족을 모티브로 삼은 《요! 아키라!》라는 등장인물들을 마네킹화한 코미디 드라마로 만들었다.
  • 2012년 : 공식 웹사이트가 Bitro + CHiRAL로 바뀌었다.(...) 메인화면에 알비트로코스프레가 대문짝만하게 공개된 건 덤. 또한 드라마티컬 머더를 DRAMAtical Mother이라는 이름으로 고전 RPG 시리즈인 MOTHER 시리즈를 패러디한 미니게임을 공개했다.
  • 2013년 : 드라마티컬 머더에 나오는 아오바의 직장 정크숍의 공식 홈페이지가 개설이 되었다.
  • 2014년 : 역대 주인공들과 나이토군을 주인공으로 삼은 《♂보~이즈!!~꽃미남 능욕☆파라다이스~》라는 BL 게임이 2106년 4월 1일에 발매한다고 했다. 그리고 나이토군을 공략하는 나이코미가 나온다고 했었다.
  • 2015년 : 키랄 작품 소재의 에로 박물관 홈페이지를 개설, 당시 공식 홈페이지에는 벽돌깨기식 플래시 게임이 있었다.
  • 2016년 : 에도시대 풍으로 날아갔으며 게임의 키 일러스트와 발매일들도 에도시대를 기준으로 맞추어졌다.만우절 페이지
  • 2017년 : 역대 주인공들과 공략 캐릭터들을 소재로 삼은 《BOYs LOVE Nitro+CHiRAL》를 발표했다.
  • 2021년 : 35금 보이즈 러브 게임 《웃는 유포리아 (笑ゥユぅふぉりあ)》를 발표했다. 개발사는 후치다 스튜디오 (淵田スタジオ), 발매월일은 2106년 4월 1일. 만우절 페이지

7. 번역본과 한글화

한국에서는 음란물 심의 문제와 시장성·상업성 문제로 공식 번역 발매된 게임은 없으며 그 대신 유저 한글패치가 존재한다.
구판 - 2008년경에 한글 자막판이 제작되었다. 하지만 어느 시점을 기준으로 공금 상태. 2014년에 이 한글 자막판의 번역을 토대로 한 한글패치가 배포되었다.
신판 - 윈도우 10/영어판(패키지/스팀) 한글패치가 배포 중이다.구판 - 초회판 기준으로 패치가 완성됐었으나(출처 불명) 초회판과 WIN10판(신판)이 호환되지 않는 문제 때문에 배포되지 않았다.구판 - 과거에 토가이누의 피 한글 자막판을 만든 번역자가 네이버 블로그, 티스토리 블로그에 따로 번역해 놓았으나 모종의 이유로 비공개했다.
신판 - 스팀판과 리마스터판용 패치 패포 중. 구판 - 번역본을 토대로 한글패치가 제작되었다.
신판 - 구판과는 다른 제작자가 제작 및 배포 중으로, 번역은 구판 패치를 이식하고 그래픽은 새로 작업했다.DMMd와 토가이누 구판 제작자가 완성하였으며 현재 배포 중이다.2022년 8월 15일부터 한글패치가 배포중에 있다.

코믹스의 경우, 2007년 12월부터 토가이누의 피 코믹스판현대지능개발사에서 정식 한국어판으로 발행하고 있다.

8. 작품 목록

8.1. 정규 게임

8.2. 콘솔 이식판

8.3. 그 외

  • 토가이누의 피 데스크탑 악세사리 - 2006년 1월 16일
    구성은 토가이누의 피 타이핑 게임과 윈도우 데스크탑을 꾸밀 수 있는 요소들(알림, 월페이퍼), 편의상 팬디스크에 넣었지만 타이핑 게임을 제외하면 볼륨이 작고 구성물도 일반적인 팬디스크와 거리가 먼 편이라 키랄 공식 사이트에는 기재되어있지 않다.
  • 키랄모리 - 2008년 1월 25일
    토가이누의 피Lamento -BEYOND THE VOID-를 주제로 한 세 개의 미니게임. 토가이누의 피 PSP판에도 수록되었다.
  • DRAMAtical Murder re:connect - 2013년 4월 26일
    니트로 키랄 최초 팬디스크이자 DRAMAtical Murder의 단독 팬디스크이다.
  • THE CHiRAL NIGHT rhythm carnival - 2017년 10월 13일
    키랄 나이트에 공개된 곡들을 리듬 게임 형태로 수록한 게임으로 키랄 등장인물들이 대거 등장하는 영상물도 존재. 토가이누의 피 데스크탑 악세사리의 타이핑 게임이 재수록되어있다.

8.4. 모바일·웹 게임

키랄 모바일은 프론티어 웍스와 협력해 만든 피쳐폰 기반의 브랜드였으나 2011년 즈음 서비스 종료를 했다.
  • 본가 모바일 웹 게임
    • 슬로우 데미지 Clean dishes

9. 관련 스태프

본문에 언급된 것처럼 키랄 스태프들은 원래 니트로플러스 소속이며 니트로 본 스태프진들도 키랄 게임 개발에 참여를 한다. 그러나 해당 문단은 키랄에 직접적으로 관여한 스태프들만 서술하길 바람.
  • 스크립트 라이터
    • cono
  • 일러스트레이터 / 그래피커
    • 야마다 우이로우 - 현재 키랄의 간판 일러스트레이터. 토가이누의 피 TB로 채색 및 그래픽 작업에 참여하며 타타나 카나 대신 토가이누와 라멘토의 일러스트를 그리더니 나이토 군의 디자인도 담당하고 슬로우 데미지의 메인 일러스트레이터가 되었다.
    • 나마니쿠ATK - 니트로플러스 초창기때부터 있던 사람으로 2010년 장갑악귀 무라마사로 게임 원화가로 데뷔. 키랄 및 니트로플러스 게임 채색 및 효과를 담당하는 그래피커이다.
    • 미모리 시노부 - 원래는 키랄 모바일의 간판 일러스트레이터였으나 키랄 모바일 철수 이후 니트로플러스 본가의 디자인 및 2D 그래픽을 담당했으며 키랄 게임으로는 스위트 풀과 DMMd의 채색을 담당했다. 야마다 우이로우 만큼은 아니지만 가끔 키랄 관련 일러스트를 그리기도 했었다.
    • 유퐁 - 캐릭터 SD 및 채색담당. 유퐁이 그린 캐릭터로 원코인 피규어가 나온다.
    • 츠지 산타 - 슈퍼 소니코의 캐릭터 디자이너인 그 츠지 산타가 맞다. 토가이누의 피의 채색을 담당했으나 토가이누를 끝으로 그래피커는 손을 뗐다.
  • 게임 디렉터/프로듀서
    • 우로부치 겐 : 니트로플러스의 간판 라이터인 그 우로부치 겐이다. 토가이누의 피sweet pool의 디렉터. 현재는 키랄을 포함한 니트로 게임의 감독 및 감수를 안 맡고 있다.
    • 데지타로우 : 니트로플러스의 사장이자 프로듀서.

9.1. 퇴사한 인물들

10. 마스코트 캐릭터

파일:attachment/니트로 플러스 키랄/CHiRAL_na.jpg
* 나이토군(ナイトウくん)
니트로 키랄의 공식 굿즈를 그리던 일러스트레이터 야마다 우이로우가 그렸다.

11. 기타

  • 키랄은 화학분자용어 카이랄(키랄성)에서 따온 것으로 니트로가 니트로글리세린에서 따온 것으로 짝을 맞추었다고 추측이 가능하겠다. 당시 브랜드 명 후보로는 코로(중국어로 자칼)도 있었다고 한다.
  • BL 게임 메이커중 인지도가 높은 만큼 해외 팬덤은 물론이고 남성 팬덤들도 소수 있다. 이 남성 팬덤들은 대부분 니트로플러스 팬덤으로 토가이누로 키랄과 BL에 입문한 사람들. 역으로 키랄을 통해 니트로플러스와 남성향 에로게에 입문하는 키랄 여성 팬덤들도 있다.
  • 과거에 키랄이 처음 설립되었을때는 성인용 여성향 게임 전문 브랜드라고 소개했었으나 오토메 게임과 BL도 노멀도 아닌 연애 요소가 없는 미소년 게임(좀더 포괄적인 여성향 게임)과 혼동을 우려해서인지 성인용 BL 게임 전문 브랜드라고 수정했다. 실제로도 전부 BL 게임만을 내놓았고 파생 브랜드인 키랄 모바일도 BL 모바일 게임과 BL 모바일 소설 등 BL만 다루었으며 다른 여성향 장르는 손대지 않고 있다. 그래서 도검난무는 키랄이 아닌 니트로플러스 게임에 해당한다.
  • 일본의 에로게와 비주얼 노벨 게임들을 영어 현지화로 발매하는 미국의 게임 유통사 JAST USA에서 BL 게임 정발 브랜드인 JAST BLUE를 설립하면서 니트로 키랄의 작품들의 영어판 출시를 진행했다. 라멘토를 제외한 전 타이틀 판매중.
  • 토가이누의 피와 sweet pool의 우로부치 겐이 원작자 혹은 우로부치가 집필을 담당했다는 오해가 상당히 퍼진 때가 있었다. 그는 키랄에서는 감독 및 시나리오 어드바이저 담당으로 실제 원작자 및 집필 담당은 후치이 카부라이다.
  • 2023년 1월 4일, 브랜드명을 변경하고 로고를 리뉴얼했다. [8] 니트로플러스 키랄(Nitro+CHiRAL)에서 니트로 키랄(NITRO CHiRAL)로 이름을 바꾸고, 공식 트위터 아이디를 @NitroplusCHiRAL에서 @CHiRAL_staff로 변경했다. 로고 마크는 동공을 모티브로 했으나 혹평이 상당히 많았었다.
  • 과거 니트로플러스 키랄이 정식명칭이던 시절, 한국 웹상에서 플러스를 빼고 니트로 키랄이라고 약축하다보니 니트로 키랄 플러스라고 잘못 아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12. 외부 링크

13. 관련 문서


[1] 니트로플러스 키랄이 정식명칭일 때는 니트로 키랄로도 불렸다.[2] 카페 멤버에게만 공개되어 카페 멤버가 아니면 열람이 안될 수 있다. 요약하자면 키랄 시나리오는 묘사가 부실하거나 편차가 심해 스토리도 그렇고 캐릭터들의 서사도 부실해 이입이 어렵다는 글이다. 딱히 메인 스토리에서 중요하지 않은 캐릭터와 설정을 추가해 플레이 타임만 늘리지 결국 겉맛만 들렸다는 의견도 있으며, 거기에 스위트 풀과 사야의 노래를 비교해 스위트 풀이 왜 원본으로 추측되는 사야의 노래보다 스토리 퀄리티가 낮은지 부연 설명을 추가했다. 두 게임 다 플레이 타임과 분량이 짧은 미들 프라이스 대의 게임이지만 사야의 노래는 스토리에서 중요한 설정만 세세하게 묘사하되 중요하지 않거나 사족이다 싶은 것들은 상상의 여지에 남긴 채로 밸런스를 맞추어서 몰입이 쉬운 반면 스위트 풀은 분량을 고려안하고 이것저것 다 묘사하려다가 되려 스토리의 전체적인 흐름이 망가졌다는 글이다.[3] 안티 스레드가 아닌 종합 팬 스레드이다. 페이지 내 찾기 기능(ctrl+f)으로 시나리오를 서치하면 완곡하게 표현한 불만점들을 소수 찾을 수 있다.[4] 답변글에는 두 답변자 전부 키랄의 시나리오 문제를 지적하고 있는데 한 명은 문학을 좋아하는 사람(좋은 스토리와 문체를 선호하는 사람)이라면 키랄의 시나리오에 대해 의문점을 품을 수 있다며 완곡하게 표현했다.[5] 슬로우 데미지는 이 부실한 구성을 대거 고쳐 전작들보다 서사 전개는 좋아진 편에 유저들에 따라 갈리는, 대체적으로 아쉽다는 수준으로 그쳤다. 그러나 다시 비주얼 노벨 스타일이 된 스핀오브 작품은 본편보다 못한 재미와 용두사미 구성으로 비판을 받았다.[6] 참고로 오피셜 웍스 북과 토가이누 초회한정에 수록된 설정집에 의하면 시키는 토가이누의 피는 구상 당시 먼저 만들어지고 완성된 캐릭터였다.[7] 화귀장, 아포크리파 제로, 신무의 새, 앨리스 블루의 게임들이 대표적이다[8] 변경 예고는 키랄 라이브 2022 × 슬로우 데미지 후야제 방송에서 이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