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선시대 여경에 해당하던 직책
茶母기본적으로 다모는 관아에서 식사나 차를 끓이고 대접하는 일을 하던 관비였지만 필요에 따라 포도청 산하에서 운영되어 사대부를 은밀히 내사하고 필요하면 체포하는 임무를 수행하였다. 주로 유교 윤리적인 이유로 남자들이 접근하기 곤란한 곳(여자들이 있는 규방 등)에 투입하였다. 다만 확실한 것은 숙종대이고 그 이전에는 포도청 소속으로의 기록이 없다. 수사를 담당했다는 기록은 조선 후기부터 나오며 조선 전기에는 의녀가 사대부 집안의 수색, 여성 관련 사건 등에 동원되었다는 기록이 있다.
다모란 이름의 유래에는 여러 가지 추측이 있는데 첫 번째는 과거 양반집에서 반찬 만드는 '찬모'나 바느질하는 '침모'처럼 차를 끓여 올리는 하녀[1] 중에서 뽑은 데서 유래했다는 설, 두 번째는 다모의 '다'(茶)가 어린 소녀를 뜻하는 말이라고 해석하여 상대를 방심시키기 위해 나이 젊은 여자들 중에서 뽑았을 것이라고 추측하는 설이다.
만화가 방학기의 만화 <다모>에서는 과거 '주막'과 같이 양반들이 차를 마시러 드나들던 '다방'의 여주인들 중에서 뽑았다고 하는 설을 내놓기도 했지만 이쪽은 만화적인 각색이며 가능성이 낮다고 보는데 다모는 사대부에 관한 첩보를 다루는 성질상 정체를 감추는 것이 중요하며 꽤 훈련이 필요한 직책이었기 때문이다.[2] 반대로 힘만 쓸 줄 알면 된다는 해석도 있다(...).
고려 시대부터 이어진 궁중의 다방(茶房)에서 유래하여 여기서 사대부들에게 차를 올렸던 여자들을 밀정으로 삼았던 첩보법이 포도청으로 퍼진 거라는 해석도 있다. 어찌되었든 사대부들을 감시하고 여성들의 규방을 수사하기 위한 역할이 중시되었다는 점은 분명하다.
조선왕조실록에서 茶母로 검색하면 10건이 검색되는데 내용을 보면 문자 그대로 차 시중을 들던 직책을 이르는 경우도 있고, 경찰/수사 조직의 일원으로 일한 기록도 있다. 여성 공무원 중 다모라는 직책은 말 그대로 단순히 차 시중 등의 일을 거드는 인원이 일부 있었고 일부 인원은 여성 관련 수사에 동원되었다고 추측할 수 있다. 현재의 여경이 의전/비서/보조 업무를 맡은 사람이 있고 잡입/무술/수사 인원이 있는 것처럼. 사대부와의 치정 사건에 얽힌 일도 꽤 있다.
1.1. 조건 및 사용도구
조선시대 다모(茶母)의 선발 요건은 꽤 체력이 필요했다. 기본적으로 필요한 키 5척(150cm) 이상이었다. 조선시대 남성의 평균 키가 약 161cm, 여성의 키가 약 149cm 정도였으므로 당시 여성이 150cm면 현대의 160cm 정도로, 작지는 않은 키였다. 키는 현대의 신체검사처럼 최소한의 체력조건인데 아래의 필요 조건을 보면 중세적인 기준에서는 평균보다 약간 높은 편이었다.체력: 쌀 5말(약 40kg)을 들어 올려야 하고[3], 막걸리 5사발을 마셔야 하며[4][5], 발차기 등 종합적인 기술과 체력을 검사하였다.
무장: 죄인을 포박할 수 있는 오랏줄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범인 제압을 위한 쇠도리깨를 지니고 있었다. 특히 은실을 감은 쇠도리깨를 가지고 있으면 사대부 집도 들이쳐 잡아들일 수 있다는 징표였다.[6]
신분증: 다모의 신분을 증명하는 "통부"를 가지고 있었는데, 통부의 절반은 포도대장이 가지고 두 통부를 합쳐보아 신분을 확인했다.
가면: 죄인을 호송할 때는 "종이광대"라는 종이 가면을 얼굴에 써서 신원을 감췄다고 한다.
무장: 죄인을 포박할 수 있는 오랏줄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범인 제압을 위한 쇠도리깨를 지니고 있었다. 특히 은실을 감은 쇠도리깨를 가지고 있으면 사대부 집도 들이쳐 잡아들일 수 있다는 징표였다.[6]
신분증: 다모의 신분을 증명하는 "통부"를 가지고 있었는데, 통부의 절반은 포도대장이 가지고 두 통부를 합쳐보아 신분을 확인했다.
가면: 죄인을 호송할 때는 "종이광대"라는 종이 가면을 얼굴에 써서 신원을 감췄다고 한다.
1.2. 대중매체
한국에서는 1990년대까지도 이런 게 있었다는 것조차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았다가 1993년 7월경부터 <스포츠서울>에 연재했던 극화가 방학기의 만화 <다모>[7]를 통해 알려지기 시작했는데 이 작품은 2003년에 드라마로 만들어지기도 했다. 야하거나 폭력적인 장면을 순화시킨 청소년용 버전도 월간 만화 잡지에 연재한 적이 있었다.1700년대 송지양의 한문소설 <다모전>에는 다모 김조이가 등장하지만 김조이가 실존인물인지는 불분명하다. 다만 이러한 기록들이 다 그렇듯이 현대의 사극이나 역사물에서 종종 카메오 캐릭터로서 기용하기도 한다.
상황에 따라서 여전사로 해석되기도 하는데 체력이 중요한 요건이었다든지, 발차기 같은 무술을 선발요건으로 삼았다든지, 쇠도리깨를 중요한 상징물이자 무기로서 휴대했다는 점 때문인 듯 하다.
참고로 형사 DUELIST도 다모를 다룬 대중매체 중 하나다. 드라마 다모(드라마)와는 동전의 양면처럼 비슷한 듯 다른 작품이다. 왜냐하면 형사 DUELIST는 다모 남순이가 원작이며 다모(드라마)는 다모 채옥이를 원작으로 한 것이기 때문이다.
1.2.1. 드라마
다모(드라마) 문서 참조.드라마 점프에서는 두 번이나 등장하였다. 그 중 시즌 1에서는 여자아이가 팔주령을 잡고 역사여행을 떠난 주역이고 시즌 2 마지막 에피소드에 잠깐 카메오로 출연하였다. 배우는 모두 이애정이 맡았다.
드라마 《이산》에서는 히로인 성송연이 도화서(조선시대 그림에 관련된 일을 하던 관청) 다모로 등장하였다. 하는 일은 주로 먹을 가는 등 화원들을 보조하는 일. 다만 도화서에 다모가 있었다는 기록이 존재하지는 않는다.
옥중화에서는 주인공 옥녀를 포함한 전옥서의 다모들이 등장하며, 포도청 다모 선발 시험 장면이 나온다.
2. 동물 분류군
다모강에 속해있는 환형동물을 다모류라고 부른다. 갯지렁이 등이 여기에 포함된다.3. 한자어
多謀'꾀가 많다'라는 뜻을 지닌 단어이다. 단독으로 쓰이는 경우는 드물고, 보통 '다모객(多謀 + 客)'이라는 단어로 쓰이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꾀가 많은 사람. 책사와 비슷한 뜻을 지녔다.
4. 한국 가수 DAMO
본명은 정도현. 1992년생 충남 홍성군 출신. 2014년 4월 Ice Cream 으로 데뷔. 인스타그램네이버 뮤직[1] 말 그대로 차를 올리는 여성[2] 조선시대의 다방은 고려시대의 관청인 '다방'(茶房)이나 근현대의 다방과는 다르다. 요즘으로 치면 전통 찻집이다. 조선시대에는 술을 자주 마셨으므로 다방의 역할이 축소되었다는 말도 있으나 조선시대에도 다방은 현대의 휴대용 커피카트처럼 나름대로 민속화되어 있었다.[3] 체구는 작아도 육체 노동을 많이 해야 하는 옛 사람들의 특성상 이정도면 그럭저럭 힘 좀 쓰는 정도였을 것이다. 쌀 한 가마니의 무게는 약 80kg인데 농사에 잔뼈가 굵었던 옛 사람들은 성인 남성은 한 가마니, 힘 센 장정이라면 그 이상도 혼자서 들 수 있을 정도였다.[4] 옛날에는 술을 많이 마시는 것도 건장함으로 보았다. 기운이 셀수록 술의 독기를 잘 버텨낼 수 있다고 여겼기 때문인데 오늘날로 치면 많은 양의 독소 분해 효소와 건강한 간을 타고났는지를 보았다고 치환해서 생각해볼 수도 있긴 하다. 다만 오늘날에는 주량과 체력은 큰 상관관계가 없다는 것이 통설이므로 현대의 선발 기준으로는 부적합할 뿐이다.[5] 다만 직업특성상 술을 마시되 상대보다 취해서는 안되는 경우가 있을수 있어서 이런 조건이 들어가게 되었을수도 있다. 아무래도 밀정역할도 했다보니...[6] 쇠좆매라는 짧고 뭉툭한 도리깨를 사용했던 것으로 각색되기도 한다.[7] 1970년대 잡지 「선데이 서울」에서 주간 연재되었던 『다모 남순이』란 작품을 리메이크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