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17:55

대북제국대학

다이호쿠제국대학에서 넘어옴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일본 제국의 교육 제도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현 제도(新制) 구제(舊制)
소학교 심상소학교(~1941) · 국민학교의 초등과(1941~)
중학교 고등소학교(2년제, ~1941) · 국민학교의 고등과(1941~) · 구제중학교[C] · 구제고등여학교[A] · 구제고등학교 심상과(1919~)[B] · 체신강습소 보통과 · 청년학교 보통과 · 실업보습학교
고등학교 고등중학교 예과(1896~1894) · 구제고등학교 심상과(1919~)[B] · 구제중학교[C] · 구제고등여학교[A] · 실업학교 · 사범학교[D] · 사범학교 예과[D] · 체신강습소 고등과 · 철도교습소 중등부 및 보통부 · 청년학교 본과
단기대학 · 고등전문학교고등중학교 전문부(1896~1894) · 구제고등학교 고등과(1918~) · 구제전문학교 · 대학예과 · 사범학교 본과[D] · 고등사범학교 · 청년학교 교원양성소 · 도서관직원양성소 · 고등체신강습소 본과
대학 대학
대학원 대학원 (연구과)
당시 구제전문학교단기대학 · 고등전문학교 과정에 상당하지만 공식 학위가 나오지 않는 고등교육기관.
구제대학 학부를 누적 수학 연령으로 따지면 신제 석사와 동일.

[C] 일반적으로 구제중학교가 중학교와 고등학교를 통합해서 운영했다.[A] 구제중학교가 남자학교이니 고등여학교는 구제중학교의 여학교 버전이다. 교육과정은 동일하다[B] 소학교 졸업자들 대상으로 중학교 과정에 해당하는 교육을 제공함. 재정 문제로 일반화되지는 못했다.[B] 소학교 졸업자들 대상으로 중학교 과정에 해당하는 교육을 제공함. 재정 문제로 일반화되지는 못했다.[C] [A] 구제중학교가 남자학교이니 고등여학교는 구제중학교의 여학교 버전이다. 교육과정은 동일하다[D] 1943년 사범학교령을 통해 모든 사범학교에 대하여 전문학교급으로 승격하고 본과와 예과를 만듦.[D] [D]
하위 틀: 일제강점기 교육기관}}}}}}}}}

[ruby(臺, ruby=たい)][ruby(北, ruby=ほく)][ruby(帝, ruby=てい)][ruby(國, ruby=こく)][ruby(大, ruby=だい)][ruby(學, ruby=がく)]
대북제국대학
Taihoku Imperial University
교표[1] 파일:구 제국대학의 교표.jpg
예과 교표[2] 파일:臺北帝國大學預科校標.png
분류 제국대학 (국립)
개교 1928년 3월 17일[3]
국가 일본 제국(대만)
(~1945년 11월)
중화민국
(1945년 11월~)
명칭 한국어: 대북제국대학 / 다이호쿠제국대학 / 타이베이제국대학
일본어: 臺北帝國大學[4](たいほくていこくだいがく)
중국어: 臺北帝國大學(Táiběi Dìguó Dàxué)
대만어: 臺北帝國大學(Tâi-pak Tè-kok Tāi-ha̍k)
영어: Taihoku Imperial University
개칭 다이호쿠제국대학(臺北帝國大學)
(1928년 3월 16일~1945년 11월 15일)
→국립타이베이대학(國立臺北大學)[5]
(1945년 11월 15일~1945년 12월 15일)
국립타이완대학(國立臺灣大學)[6]
(1945년 12월 15일~)
소재 다이호쿠주 다이호쿠시 도미타초(본캠퍼스)
다이호쿠주 다이호쿠시 도몬초(의학부)
다이호쿠주 다이호쿠시 아카시초(부속병원)

1. 개요2. 역사3. 학과 및 조직4. 출신 인물

[clearfix]

1. 개요

일본 제국대만일치시기타이완 섬에 세운 대학으로, 7번째로 세워진 제국대학이다.

일본의 제2차 세계 대전 패전으로 인해 타이완 섬이 중화민국에 접수된 이후 1945년 11월 국립타이베이대학을 거쳐 12월 15일에 국립타이완대학으로 개편되었다. 식민지 조선경성제국대학이 그랬듯 식민지 대만에 설치된 유일한 구제대학이자 일치시기 대만의 최고학부였다.

약칭은 臺大(일본어 たいだい, 중국어 Táidà, 대만어 Tâi-Tāi)이며, 현재는 국립타이완대학의 약칭으로 쓰인다.

2. 역사

  • 1922년: 대만 총독 덴 겐지로(田健治郎)가 제국대학 설립을 위한 계획을 개시
  • 1925년: 제10대 총독 이자와 다키오(伊澤多喜男)가 대만문화의 중심으로 삼을 제국대학 설립계획을 구체화[7]
  • 1928년 3월 17일: 쇼와 3년 칙령 제31호 대북제국대학관제(臺北帝國大學官制) 공포, 대북제국대학 설립[8]
  • 1928년 4월 1일: 문정학부, 이농학부 개강(제1회 신입생 59명)
  • 1936년: 의학부를 설치하고 1897년 개교한 대북의학전문학교부속 의학전문부로 흡수
  • 1938년: 부속의원 개원
  • 1941년 7월: 예과 설치
  • 1943년 3월: 이농학부를 이학부와 농학부로 분리
  • 1943년 5월: 공학부 설치
  • 1944년: 재학생 394명 중 대만인 117명, 도서관 장서량은 9개 제국대학 중 3위
  • 1945년: 문정학부, 이학부, 농학부, 공학부 등 5개 학부(114개 강좌) 재학생 382명
  • 1945년 11월 15일: 중화민국 정부가 대북제국대학을 접수(책임자 羅宗洛), 중국식 學院학제로 개편하고[9] 국립대북대학(國立臺北大學)으로 개칭
  • 1945년 12월 15일: 중화민국 행정원 결의에 따라 국립대만대학(國立臺灣大學)으로 개칭

파일:taihokuimperialuniversityfrontgate.jpg
파일:thiumaingate.jpg
▲ 대북제국대학 정문(출처)

대북제국대학의 설립 계기나 설립 과정은 식민지 조선경성제국대학과 유사하다. 1919~1920년에 일본 제국의 통치방침이 내지연장주의(內地延長主義)[10]로 변경되고, 제2차 대만교육령(1922년)이 공포됨에 따라 대만에 고등교육기관으로 제국대학을 설립하기로 하였다. 이에 준비작업을 거쳐 1928년대북제국대학([ruby(臺北帝國大學, ruby=たいほくていこくだいがく)])이라는 제국대학이 설립되었다. 경성제국대학의 설립계획 당시 교명이 '조선제국대학'이었던 것과 마찬가지로 대북제국대학 역시 설립준비위 단계에서는 '대만대학'으로 호칭하는 등 '대만제국대학'으로 계획되었으나 '대만 제국'의 대학이라고 이해될 수 있다는 이유로 제국의회추밀원 심사단계에서 소재지 타이베이(臺北, 따이빡/다이호쿠, 대북)의 이름을 딴 '대북제국대학'(臺北帝國大學)으로 개교하게 되었다(출처 : 고베대학 논문). 보다 상세한 내용은 국립대만대학 역사관 참조. 졸업장 관련 기사.

파일:f_20621546_1-1.jpg

파일:臺北帝大鳥瞰圖.jpg
▲ 조감도

파일:臺北帝大平面圖.jpg
▲ 평면도

대북제국대학 설립 이전에도 대만에는 대만인 및 대만 내 일본인 교육을 통한 식민지 체제 유지를 위해 전문학교들을 개교했는데, 대북제국대학 설립 이후 대북제국대학은 구제전문학교들을 하나씩 흡수한다.

대북제국대학은 주로 의학전문학교를 모체로 승격된 제국대학들과 달리, 홋카이도제국대학처럼 농림전문학교를 모체로 삼았다. 현재 국립대만대학 캠퍼스 일대에 위치하고 있었던 대북고등농림학교(臺北高等高等農林學校)[11]를 대북제국대학 부속 농림전문부로 흡수하면서 이농학부를 설치하고 그 주변에 문정학부와 부속도서관 등을 건립하였다. 당시 주소는 대만 다이호쿠주 다이호쿠시 도미타초 47번지(臺北州 臺北市 富田町 47番地).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는 정문과 수위소는 1931년 3월 31일 준공되었다(참조).

파일:臺北大帝文政學部.jpg
▲ 문정학부

파일:臺北帝大理農學部.jpg
▲ 이농학부

파일:臺北帝大農林專文部.jpg
▲ 부속농림전문부

파일:臺北帝大圖書館.jpg
▲ 부속도서관[12]

1928년 개교 당시에는 문정학부, 이농학부 등 2개 학부와 부속농림전문부로 구성되어있었다(출처). 1928년 설치된 부속도서관은 최초 대북고등농림학교 교사 건물에 입주하였다가(참조) 별도의 부속도서관 건물이 1930년 준공되었고 지속 확장 증축(참조)되었다.

파일:臺北帝大醫學部.jpg
▲ 의학부

파일:.臺北帝大醫學部醫院.jpg 파일:0053.jpg
▲ 의학부 부속의원

1935년에는 대북의학전문학교(臺北醫學專門學校)[13]를 부속 의학전문부로 흡수하면서 의학부를 설치했고, 1938년 대만총독부병원(臺灣總督部病院)을 대북제국대학 부속의원으로 흡수했다. 1939년에는 대만총독부 중앙연구소 위생부(臺灣總督部 中央研究所 衛生部)[14]를 흡수하여 열대의학연구소를 부설했다.

파일:taihokuimperialuniversitymaingate.jpg
예과 이과공류[15] 단체사진

파일:臺北帝大工學部新館.jpg
▲ 공학부

1941년 예과를 부설하고, 1943년에는 공학부를 설치하였으며(참조),[16] 이농학부를 이학부와 농학부로 분리하여 5개 학부가 완성되었다. 또한 일본의 동남아 전역 수행을 위해 남방인문연구소, 남방자원과학연구소를 부설하였다.

1945년 8월 15일 일본이 무조건 항복하면서 태평양 전쟁에서 패전했고, 10월 25일에 중화민국국민혁명군타이완 섬을 접수한다. 대북제국대학은 1945년 11월 15일에 중화민국 교육부에 접수되어 '국립대북대학'이 되고, 공식적으로는 동년 12월 15일에 행정원 결의로 교육부 결의에 따라 '국립대만대학'으로 개칭되었다. 그리고 중국식 학제에 따라 예과를 통합하며 '학부' 명칭이 '학원'으로 바뀌고 문정학부가 문학원과 법학원으로 분리되어 6개 학원(學院) 22개 학계(學系) 체제로 개편되었다. 대북제국대학이 국립대만대학으로 개편되는 과정과 관련해서는 링크 참조.

대학본부 차원에서 경성제대의 역사를 인정하지 않는 서울대학교[17]와는 달리, 국립타이완대학은 자신이 대북제국대학을 승계했음을 인정하고 교사(校史)에서도 대북제국대학 시절까지 거슬러 올라가 1928년 개교한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사실 국립타이완대학도 중국국민당이 철권을 휘두르던 독재정권 시기에는 1945년에 개교했다는 공식 견해를 표명하고 있었는데, 민주화되면서 1945년 개교인지 1928년 개교인지에 대해 학내 견해가 엇갈리다가[18] 대만정명운동(台灣正名運動)의 일환으로 2007년에 공식적으로 '1928년 개교' 입장을 확정함으로써 대북제국대학을 대만대학의 전신으로 공식화했다. 국립대만대학 공식사이트의 소개 항목에서는 1928년 대북제국대학으로서 개교하였다고 설명하고 있으며, 역대 총장에 대북제국대학 시기 총장들까지 모두 포함해 소개하고 대수를 계산하고 있다. 그렇지만 지금도 국립타이완대학의 개교기념일은 대북제국대학 개교일이 아닌 중화민국 정부가 대북제국대학을 접수한 11월 15일이다.11월 15일에 개최된 개교 90년 행사

3. 학과 및 조직

1928년 개교 당시의 조직은 아래와 같다.
  • 문정학부
    • 총합 12개 강좌 - 국어학&국문학(일어일문학), 서양문학, 동양사학, 철학&철학사, 동양윤리학&서양윤리학, 심리학, 경제학, 토속학&인종학, 헌법, 행정법, 민법&민사소송법, 형법&형사소송법
    • 4개 학과 - 철학과, 사학과, 문학과, 정학과
  • 이농학부
    • 총합 10개 강좌 - 생물학, 화학, 지질학, 기상학, 식물학, 동물학, 식물병리학, 농예화학1-토양비료학, 응용생물학, 곤충학&양잠학
    • 4개 학과 - 생물학과, 화학과, 농학과, 농예화학과
  • 이농학부 부속 식물원, 이농학부 부속 농장 등으로 구성
  • 부속농림전문부

1945년 종전시 기준으로는 경성제국대학보다 많은 문정학부, 이학부, 농학부, 의학부, 공학부 등 5학부로 구성되어 있었다. 1945년 당시 조직은 아래와 같다.
  • 본부 - 서무과, 회계과, 학생과
  • 문정학부
    • 총합 25개 강좌
    • 4개 학과 - 철학과, 사학과, 문학과, 정학과
  • 이학부
    • 총합 13개 강좌
    • 4개 학과 - 화학과, 동물학과, 식물학과, 지질학과
    • 부속 식물원
  • 농학부
    • 총합 22개 강좌
    • 5개 전공 - 농학전공, 농업경제학전공, 농업토목학전공, 농예화학전공, 수의학전공
    • 부속농장[19]
  • 의학부
    • 총합 24개 강좌
    • 부속 병원[20]
  • 공학부
    • 총합 30개 강좌
    • 4개 학과 - 기계공학과, 전기공학과, 응용화학과, 토목공학과
  • 예과 - 문과(문정학부 진학생반), 이과이농류(이학부/농학부 진학생반), 이과의류(의학부 진학생반), 이과공류(공학부 진학생반)
  • 부속의학전문부
  • 부속도서관
  • 열대의학연구소 - 열대병학과, 열대위생학과, 세균혈청학과, 화학과, 후생학과, 서무과, 士林지소, 臺中지소, 臺南지소
  • 남방인문연구소 - 제1부(정치, 법제, 재정, 경제 연구), 제2부(문화, 민족 연구), 서무계
  • 남방자원과학연구소 - 제1부(농림가축품종 개량 등 농학 연구), 제2부(농림산품 가공 등 농예과학 연구), 제3부(천연자원 관련 이화학 연구 및 지질조사), 해남도유림연구소(海南島榆林研究所), 실험실, 서무계

출처
파일:臺北帝國大學組織.jpg

경성제국대학이 중국 관련 연구기관을 점차 강화해나간 데 비해 대북제국대학은 동남아 관련 연구기관을 점차 강화해나갔다. 이를 1930년대 및 1940년대 일본의 확장주의적 행보와 연관짓기도 한다. 일본이 조선을 중국 침공의 전초기지로 활용한 것처럼 대만을 동남아 침공의 전초기지로 삼았다는 것이다.

3.1. 예과

파일:taihokuimperialuniversitypreparatoryschool.png

대북제국대학 예과(臺北帝國大學 預科) - 쇼와 16년(1941년) 칙령 제388호 대북제국대학 관제 제16조의2에 의거 설치.[21] - 대북주(臺北州) 시치세이군(七星郡) 시린마치(士林街)[22]국립대만대학 선수반(先修班, 한국의 의예과 격)[23]

일본의 제국대학구제고등학교를 졸업해야 입학 자격이 있었다. 그런데 홋카이도조선에는 구제고등학교가 없었기 때문에, 홋카이도제국대학경성제국대학에는 부속 예과를 두었다(구제고등학교 문서의 제국대학예과 항목 참조). 대만에는 구제고등학교가 이미 존재하고 있었으나[24], 대북고등학교 졸업생들은 대북제국대학 대신 내지의 제국대학 진학을 선호하여[25] 대북제국대학의 정원을 채우지 못하는 사태가 계속 발생하자[26] 결국 대만총독부는 1941년 대북제국대학 예과를 설치하였다.

파일:臺北帝大預科生徒.jpg

불과 3회 수료생[27] 배출 후 종전으로 학부 본과에 통합되어 사라졌으나, 대북제국대학 예과는 대북고등학교와 라이벌로서 교류전을 치렀다고 한다(링크 참조). 이 교류전은 대북제국대학 예과가 개교한 1941년 제1회 대회가 개최되어 대북고등학교가 승리하고, 이듬해 1942년 제2회는 대북제국대학 예과가 승리하여 1승1패를 기록했으나 1943년 전쟁의 격화로 운동회가 중단되었고 종전되면서 양교가 승부를 가리지 못하고 끝나버렸다고 한다. 관련 자료는 현재 국립대만대학에 보관 중이다.

파일:67773644_2333329190113748_1702214368264978432_o.jpg
파일:20170907224321.jpg
▲ 대북제국대학 예과와 대북고등학교의 교류전(대북제국대학 운동장)

대북제대 예과 관련 상세한 내용은 링크 및 구제고등학교들을 소개해놓은 사이트의 대북제국대학 예과 페이지와 대북고등학교를 참조하기 바람. 전반적인 내용에 관해서는 나무위키 구제고등학교 문서 및 일본어 위키백과 제국대학 예과구제고등학교 항목을 참조.

4. 출신 인물


[1] 경성제국대학과 동일한 교표로, 일본제국의 제국대학(학부)는 도쿄제국대학부터 나고야제국대학까지 9개교가 공히 이 교표를 사용했다. '다시 보는 경성제국대학'(이충우·최종고/푸른사상/2013)에 실려있는 경성제대 학부 모표 사진 참조.[2] 출처 국립대만대학 역사관. 구제고등학교에 해당하는 제국대학 예과들은 학부와 달리, 타 구제고교들처럼 특색있는 로고를 가지고 있었다. 다른 제국대학 예과 및 구제고교들의 교표는 구제고교기념관 탐방기구제고등학교 문서 참조.[3] 1928년 3월 17일 쇼와 3년 칙령 제30호 대북제국대학에관한건(臺北帝國大學ニ關スル件)(원문) 및 칙령 제31호 대북제국대학관제(臺北帝國大學官制)(원문) 공포.[4] 현재의 신자체로는 台北帝国大学 (타이호쿠테이코쿠다이가쿠).[5] 일본 제국으로부터 타이완 섬을 인수한 중화민국 정부는 11월 15일 대북제국대학을 접수하고 국립대북대학으로 개칭. 臺北帝大正式接收後,翌日《臺灣新生報》即刊出:「臺北大學於昨(十五日)由教育部特派員羅宗洛奉命前往接收……下午三時半接收完畢,關於圖書儀器之點收正在進行收,該校即改為國立臺北大學,現各部均照常工作,繼續上課……。」〈臺北大學正式接收 即招考新生造就本省青年〉,《臺灣新生報》1945年11月16日,2版。[6] 중화민국 교육부는 행정원 결의를 통해 정식 법제로서 국립타이완대학으로 개칭.[7] 당초 일본제국은 대만에 설립할 제국대학에 의학부와 농학부만 설치할 것을 구상했으나, 대만 총독 이자와 다키오의 주장이 관철되어 문정학부를 포함하게 되었다고 한다. 출처[8] 문정학부, 이농학부 및 부속 농림전문부(현재의 국립중흥대학)으로 구성.[9] 기존 문정학부, 이학부, 농학부, 의학부, 공학부 조직을 법학원, 문학원, 이학원, 농학원, 의학원, 공학원 등 6개 학원 편제로 재편.[10] 일본 본토의 법률을 대만에도 동일하게 적용하는 것. 내지연장주의 이전 대만에서는 대만의 발전 정도가 낮다는 이유로 대만 총독의 재량에 따라 일본과 다른 법률을 적용했고, 이는 대만인들에게 차별적으로 적용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런 것들을 없애고 대만인을 일본인과 동등하게 대우해주겠다는 게 정책의 골자였다. 1920년대 일본의 식민지 통치가 온건해지면서 조선에 문화 통치를 했던 것과 유사하게 대만에서도 정책 전환을 한 것이다.[11] 1919년 4월 대만총독부 농림전문학교(臺灣總督部 農林撰文學校)로 농업과와 임업과 2개과를 갖추고 개교하여 1922년 4월 대만총독부 고등농림학교(臺灣總督部 高等農林學校)를 거쳐 1927년 5월 대북고등농림학교(臺北高等農林學校)로 개편. 대북제국대학 부속 농림전문부이자 이농학부의 모체였으나, 1942년 대중고등농림학교(臺中高等農林學校)로 다시 독립해 1943년 타이중에 위치한 새 교사로 이전하게 된다.[12] 1930년 준공되어 사용개시 후 1998년 총도서관 신관 개관 이전까지 국립대만대학 총도서관이었으며 현재는 舊總圖書館으로 불리며 校史館으로 사용 중.[13] 1897년 대북병원 의학강습소(臺北病院 醫學講習所)로 개설되어 1899년 대만총독부의학교(臺灣總督部醫學校), 1918년 대만총독부 의학전문학교(臺灣總督部醫學專門學校)로 승격되었고 1927년 대북의학전문학교(臺北醫學專門學校)로 개칭됨.[14] 1909년 대만총독부 전매국 제약소 검사과로서 대만총독부연구소가 창설되고, 조직 확대를 거쳐 1921년 대만총독부중앙연구소로 발전해 농업부, 임업부, 공업부, 위생부 등 4개 부서를 두고 있었다. 1939년 중앙연구소 폐지시 위생부가 대만대학에 피흡수됨.[15] 공학부 진학반[16] 1940년 대만총독부 내부에 대북제대 총장, 대만총독부 관원들 및 대만전력, 대만척식주식회사 사장으로 구성된 대북제국대학공학부창설준비위원회를 출범시키면서 설치 작업 개시.[17] 단과대별로는 입장에 차이가 있다. 경성제대 직계 단과대학(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자연대학 등)에서는 공식간행 단과대학사에서 자신의 전신으로 설명하고 있으며, 해당 학과(국어국문학과, 정치외교학부, 물리학과 등)에서도 동일성을 긍정하고 직접 계승설을 취하고 있다(각 학과별 홈페이지 소개 참조). 구제전문학교와 통합된 단과대학(의과대학, 공과대학, 법과대학 등)에서는 완전한 동일성을 취하진 않으나 단과대학 설치의 主가 된 전신교로 여기고 있으며, 순수하게 구제전문학교가 이어진 단과대학(경영대학, 농생명과학대학, 사범대학 등) 입장은 자신들과는 전혀 연관이 없는 학교로 설명하고 있다.[18] 가령 1990년에는 대만대학 60주년을 기념하는 책자(歡聚與期勉 : 臺大創校六十大慶活動紀實)가 출판되는가 하면, 1995년에는 '대만대학 50년사'(臺大五十年)가 출간되었다.[19] 대북제국대학 농림전문부는 이미 대중고등농림학교(臺中高等農林學校)로 독립해나간 상태.[20] 1932년 타이베이시 明石町에 신축 이전한 대만총독부대북의원이 1938년 대북제국대학 의학부 부속 병원으로 흡수. 現국립대만대학 의학원 부속병원 구관 건물로 사용 중)으로 구성.[21] 1941년 4월 당시 대북제국대학 학부 교지의 문정학부와 병기고 사이(現 국립대만대학 보통교학관 자리)에 가교사를 건설하여 예과를 개교하고, 이듬해인 1942년 臺北州 七星郡 士林街 石角에 준공된 예과캠퍼스로 이전.[22] 1941년 설립 당시 주소로 臺北州七星郡士林街石角字大石角42番地, 現 타이베이시 스린구 雨聲街와 雨聲國小 사이에 해당(1945년 미공군 촬영 항공사진)으로 현재의 스린역 기준으로 북동쪽이다(2017년 현재 기준 지도). 참조[23] 士林의 대북제국대학 예과캠퍼스는 종전 직전인 1945년 일본제국 해군에 징발되었다가 일본의 항복 후 대만에 진주한 중화민국 국군에 의해 접수되어 현재까지 중화민국 국군 군사정보국 청사(속칭 芝山莊)로 사용 중이다. 국립대만대학 도서관 참조.[24] 1922년 제2차 대만교육령 반포 당시에 이미 제국대학 설립까지 계획한 대만총독부에서는 총독이 도쿄로 상경시위를 벌이는 등 각고의 노력 끝에 대북고등학교 고등과 제1회 졸업생이 배출되는 1928년에 맞추어 대북제국대학(臺北帝國大學)을 설립, 개교하면서 당시 대북고등학교 졸업생에게 대북제국대학 무시험 입학자격을 부여하고 별도의 예과를 설치하지 않았다.[25] 리덩후이 총통도 대북고등학교 졸업 후 교토제국대학으로 진학한 경우이다.[26] 대북고등학교의 대만인 졸업생들은 의학부로만 지원자가 몰릴 뿐(의학부 과반수가 대북고교를 졸업한 대만인 학생이었다고 한다), 그나마 특화가 된 농학부를 제외한 이학부와 문정학부는 미달이 심했다. 특히 문정학부가 심각했는데, 도쿄제대 일부는 물론이고 교토제대 문학부 등 대부분의 문과 계열 학부가 구제고교 학생들로 정원을 채우지 못해 미달이 나던 상황에, 외지의 신설 제국대학이 문과계열 정원을 모두 채우는 것은 어려울 수밖에 없었다.[27] 본래 구제고등학교가 3년제이나 전시 수학연한 단축에 따라 3년→2년 6개월→2년으로 단계적 단축[28] 대북제국대학 의학부의 유일한 조선인 졸업생이라고 한다.[29] 리승기의 심복 중 심복이었다고 한다(참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8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8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