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8 20:15:45

대학전쟁


[[대학전쟁|
파일:대학전쟁 틀 로고.png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30%"
{{{#!folding [ 시즌 1 ]
{{{#!wiki style="margin:-2px -1px -10px;word-break:keep-all"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tablecolor=#000><tablebordercolor=#fff> 파일:대학전쟁_로고.png
<rowcolor=#000> 참가자 목록
[[대학전쟁/참가자#서울대학교|
서울대
]] 경도현 · 박현민 · 송현석 · 정현빈
[[대학전쟁/참가자#카이스트|
카이스트
]] 소현지 · 양준혁 · 최서연 · 허성범
[[대학전쟁/참가자#포항공과대학교|
포항공대
]] 문소율 · 신재윤 · 심민섭 · 이현수
[[대학전쟁/참가자#연세대학교|
연세대
]] 김기홍 · 박나윤 · 손주형 · 조현준
[[대학전쟁/참가자#고려대학교|
고려대
]] 김정민 · 이동규 · 이지수 · 채승민
[[대학전쟁/참가자#하버드 대학교|
하버드
]] David · Janice · Ray · Sky
<rowcolor=#000> 에피소드 및 진행 과정
1회전 · 2회전 · 3회전 · 4회전 · 5회전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30%"
{{{#!folding [ 시즌 2 ]
{{{#!wiki style="margin:-2px -1px -10px;word-break:keep-all"
파일:대학전쟁2로고.png
<rowcolor=#000> 참가자 목록
[[대학전쟁2/참가자#서울대학교|
서울대
]] 김규민 · 우수한 · 육준형 · 조준형
[[대학전쟁2/참가자#고려대학교|
고려대
]] 강라엘 · 서하은 · 이현승 · 최성현
[[대학전쟁2/참가자#연세대학교|
연세대
]] 박세환 · 양현승 · 이승찬 · 임정훈
[[대학전쟁2/참가자#카이스트|
카이스트
]] 박지성 · 오형석 · 최유찬 · 황기현
[[대학전쟁2/참가자#포항공과대학교|
포항공대
]] 이주영 · 전지성 · 최진현 · 하민수
[[대학전쟁2/참가자#옥스퍼드|
옥스퍼드
]] 최원진 · 하은 · 이승찬 · 장문혁
[[대학전쟁2/참가자#MIT|
MIT
]] 허서윤 · 이다은 · 박민석 · 전현우
<rowcolor=#000> 에피소드 및 진행 과정
1회전 · 2회전 · 3회전 · 4회전 · 5회전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30%"
{{{#!folding [ 시즌 3 ]
{{{#!wiki style="margin:-2px -1px -10px;word-break:keep-all"
파일:대학전쟁2로고.png
<rowcolor=#000> 참가자 목록
<rowcolor=#000> 에피소드 및 진행 과정
1회전 · 2회전 · 3회전 · 4회전 · 5회전 }}}}}}
}}}

||<-3><tablealign=right><tablewidth=550><tablebordercolor=#000><colbgcolor=#000><colcolor=#fff><tablebgcolor=#fff,#1f2023> Coupang play 예능
대학전쟁 (2023)
Elite League ||
파일:대학전쟁 포스터4.jpg
장르 예능, 두뇌 게임, 서바이벌, 게임쇼
촬영 기간 2023년
방영 기간 2023년 11월 3일 ~ 2023년 12월 15일
방영 회차 8부작
방송 분량 554분 (9시간 14분)
제작사 MBN
출연진 <colbgcolor=#000><colcolor=#fff> 성우 심혜린
진행자 황인성
참가자
서울대
경도현, 박현민, 송현석, 정현빈
카이스트
소현지, 양준혁, 최서연, 허성범
포항공대
문소율, 신재윤, 심민섭, 이현수
연세대
김기홍, 박나윤, 손주형, 조현준
고려대
김정민, 이동규, 이지수, 채승민
하버드
David, Janice, Ray, Sky
독점 스트리밍
[[쿠팡플레이|
coupang play
]]
,
시청 등급 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 12세 이상 관람가[3화별도]
외부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제작진 정보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기획 <colcolor=#000>김성한[쿠]
총괄PD 안혜연[쿠]
PD 권오용[M], 우세진[쿠], 이유경[쿠], 고병현[앤]
제작 박진성[M]
작가 김정선, 권영, 양소라, 정다정, 탁초연, 민소정, 원형준, 정서후
연출 허범훈[M], 김인지[M], 장지연[M], 조정환[M], 양준하[M], 정대영[앤], 조재영[앤], 오재균[앤], 정영훈[앤], 정민정[앤]
외부 연출 정지윤, 제갈윤, 김진아
프로덕션 박세진, 송윤정, 김우중
마케팅 홍보 조규동, 황누리, 김범준, 박지민, 진혜주
디지털 마케팅 이주현, 노은형, 김경준
콘텐츠 관리 김나경, 주창민, 박소영
제작기술 이재원, 이중훈, 최인선
편집 구기원, 김진성, 정호진, 김예일
섭외 윤정아, 정수경
자막 김소리, 이지은, 김수정 }}}}}}}}}

1. 개요2. 공개 정보
2.1. 포스터2.2. 예고편
3. 참가자4. 방영 목록
4.1. 영상클립
5. 전체 규칙6. 진행 결과7. 평가 및 반응8. 기타
8.1. 사용된 BGM

[clearfix]

1. 개요

파일:대학전쟁_로고.png
<colcolor=#fff> "서카포연고 진짜 서열이 결정된다"
대한민국 최고 명문대 상위 1%의 진짜 천재들이
모든 것을 걸고 오직 두뇌만을 활용하여 맞붙는
순도 100% 리얼리티 두뇌 배틀 서바이벌
쿠팡플레이의 예능 프로그램.

대한민국의 명문대에 재학중인 상위 1% 천재들이 순수 두뇌만을 사용해 겨루는 서바이벌 프로그램이다.

2. 공개 정보

  • 2023년 10월 17일: 프로그램 방영이 최초로 공개되었다. # '국내 명문대 5개교(서울대, 카이스트, 포항공대, 연세대, 고려대) 재학생 상위 1%가 참가하며, 정치·배신·연합·속임수 없이 두뇌 능력(암산, 연산, 추리, 게임, 암기력 등)만 활용해 미션을 수행한다'는 시놉시스와 제작진 정보가 공개되었다. <더 지니어스>, <대탈출>, <소사이어티 게임> 등을 집필한 김정선, 권영 작가, <국대는 국대다> 연출을 맡은 허범훈, 김인지 PD가 참여했다.
    <nopad> 파일:대학전쟁 포스터2.jpg
    대한민국 1% 찐천재들의
    피튀기는 두뇌 서바이벌⏱️
    서카포연고 중 대한민국 최고 대학은 어디?!
    학교의 명예를 건 명문대생들의 전쟁👑
    쿠팡플레이 예능 <대학전쟁>
    11월 3일 금요일 저녁 8시!
    쿠팡플레이에서 시작됩니다🤜🤛
    #쿠팡플레이 #coupangplay #대학전쟁
  • 10월 31일: 메인 예고편이 공개되었다. #쿠플 유튜브 #쿠플 인스타 #MBN 유튜브 2번째 포스터도 공개되었다. # 포스터에서는 각 대학교의 상징(, 넙죽이, 포닉스, 독수리, 호랑이)이 부식되어 바닥에 널브러져 있다.
    <nopad> 파일:대학전쟁 포스터3.jpg
    “카이스트는 천재?! 포항공대는 인재?! 연세대는 크림빵?!"🥖
    전쟁의 서막을 알리는 불꽃튀는 디스전🔥
    대학의 명예를 걸고 싸우는 상위 1% 천재들의 서바이벌
    <대학전쟁>, 11월 3일 금요일 저녁 8시
    쿠팡플레이에서 시작합니다😈

2.1. 포스터

파일:대학전쟁_로고.png
파일:대학전쟁 포스터1.jpg 파일:대학전쟁 포스터4.jpg
▲ 1차 포스터 ▲ 2차 포스터
파일:대학전쟁 포스터2.jpg 파일:대학전쟁 포스터3.jpg
▲ 1차 포스터 (1:1 비율) ▲ 2차 포스터 (1:1 비율)

2.2. 예고편

▲ 1차 예고편 ▲ 2차 예고편

3. 참가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학전쟁/참가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방영 목록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0><rowbgcolor=#000><rowcolor=#fff><nopad> 회차 || 공개일 || 제목 / 줄거리 || 분량 ||
1화 2023년 11월 3일 EP1 0.1%
대한민국 최고의 명문대 학생들이 학교의 명예를 걸고 진짜 서열을 가리기 위해 모였다.
NO 정치, NO 연합. 이 전쟁에 필요한 것은 오로지 두뇌.
1시간 10분
2화 2023년 11월 3일 EP2 The Rival
서카포연고 중 첫 메인 매치 생존팀이 공개된다.
생존과 탈락 사이, 데스 매치에서 만난 두 대학과 치열한 공방전 속에 드디어 공개된 첫 번째 탈락 팀.
1시간 6분
3화 2023년 11월 10일 EP3 World-class
세계 최고 '명문대'의 등장. 새로운 전쟁의 서막이 열린다.
커진 스케일에 긴장감 가득한 상태로 두 번째 날을 맞이한 참가자들. 최고의 추론 능력자는 누가 될까?
1시간 3분
4화 2023년 11월 17일 EP4 엇갈린 시그널
엇갈리는 시그널, 그리고 치명적인 실수. 한 치 앞을 알 수 없는 승부 속 충격적인 두 번째 메인 매치 결과가 공개된다. 베이스캠프를 떠나게 될 두 번째 대학은?
58분
5화 2023년 11월 24일 EP5 신의 한 수
'대학전쟁'의 첫 연합 대결! 환호와 눈물로 엇갈린 반전의 메인 매치가 공개된다. 과연 승리의 여신은 어느 팀의 손을 들어줄 것인가?
1시간 5분
6화 2023년 12월 1일 EP6 릴레이 매치
연세대와 고려대의 데스매치 결과가 공개된다. 드디어 결승 진출 팀을 가릴 차례. 이제는 개개인의 능력치를 보여줘야 하는 1:1 승자 연전 릴레이 매치가 시작된다.
1시간 13분
7화 2023년 12월 8일 EP7 필승 전략
결승행 티켓을 걸고 펼치는 마지막 메인 매치의 시작. 단 한 끗 차이로 뒤바뀐 대학의 운명과 결승전을 가기 위한 최후의 데스매치가 공개 된다.
1시간 9분
8화 2023년 12월 15일 EP8 서열 정리
대망의 파이널 매치가 시작됐다. 연산, 전략, 공간지각 등 모든 능력을 필요로 하는 역대급 결승전. ‘1등 대학’이라는 타이틀을 차지하게 될 최종 우승 대학은?
1시간 30분

4.1. 영상클립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0><rowbgcolor=#000><rowcolor=#fff><nopad> 회차 || 제목 ||<nopad> 링크 ||
1화 연고전? 고연전? 상위 1% 자존심을 건 대결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2화 대학 서열은 뒤바뀔 것인가?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화 두뇌로만 대결하는 천재들의 서바이벌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화 3화 예고편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화 강력한 우승 후보? 하버드의 등장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화 추리와 팀워크를 활용한 시그널 수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화 4화 예고편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4화 수능 만점, 서울대 두 번 입학한 정현빈 (정현빈 하이라이트)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화 한 치 앞을 내다볼 수 없는 서바이벌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화 5화 예고편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화 연대 에이스가 서울대 에이스 뽑은 이유는?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화 체스판 위 말이 되어 킹을 잡아라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화 6회 예고편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화 고연대? 연고대? 전쟁 시작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화 난 기쁠 때 춤을 춰 (이동규 하이라이트)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화 7화 예고편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화 화목했던 하버드 팀의 위기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화 서울대 용의주도한 전략가 경도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화 최종회 예고편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화 한 치의 양보 없는 결승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미공개 하버드와의 첫 만남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미공개 한자 가르치는 하버드생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미공개 각양각색 천재들의 비법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미공개 똑똑한 MBTI?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미공개 서울대 사전 인터뷰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미공개 고려대 사전 인터뷰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비하인드 코멘터리 1탄 | 허성범에게 마상 입은 정현빈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비하인드 코멘터리 2탄 | 인간 체스, 답은 게임 밖에 있었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 전체 규칙

  • 대학전쟁에는 대학교마다 재학생 4명씩 5개의 팀이 참여한다.
  • 대학전쟁의 한 회전은 에이스 선발전, 에이스 매치, 메인 매치, 데스 매치로 구성되어 있다.
  • 에이스 선발전: 생존한 모든 팀의 플레이어가 참여하여, 팀 당 선착순 1명이 에이스(대표)로 선발된다.
  • 에이스 매치: 선발전 1위 플레이어가 다른 팀의 에이스 중 1명을 지목해 1:1 게임을 진행한다. 승리한 팀에게는 메인 매치 베네핏이 제공된다. 베네핏의 정보는 메인 매치 규칙 설명 이후에 공개된다.
  • 메인 매치: 생존한 모든 팀의 플레이어가 참여하여, 최하위 팀 2인을 제외한 팀 전원이 생존하여 다음 회전에 진출한다.
  • 데스 매치: 메인 매치 최하위 2팀이 진행하여, 승리한 팀은 다음 회전에 진출, 패배한 팀은 해당 회전의 최종 탈락 팀이 된다.
  • 탈락 팀의 소개 이미지는 퇴장 직전 파쇄된다.
  • 최종 우승 대학 팀에게는 인당 1천만원씩, 총 4천만원의 장학금이 제공된다.
추가 정보 (스포일러 포함) [ 펼치기 / 접기 ]
* 게임의 전체 규칙은 사전에 공지되지 않는다. 즉, 1회전 이후 참가자들은 전체 규칙을 알 수 있다.
  • 2회전에서는 새로운 팀이 참여한다. 즉, 실제 참가 팀은 6팀으로 참가자 수는 24명이다.
  • 결승전은 총 3개의 메인 매치로 진행되며, 2개의 라운드를 먼저 승리한 팀이 최종 우승한다.

6. 진행 결과

1회전 2회전 3회전 4회전 5회전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스포일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GUIDE
메인 매치에서 베네핏을 획득한 팀
통과 메인 매치 종료 시점에서 데스 매치에 진출하지 않은 팀
생존 데스 매치에 진출했으나 데스 매치에서 승리한 팀
탈락 데스 매치에서 패배해 최종 탈락한 팀
||<tablebordercolor=#000><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000><rowbgcolor=#000><tablealign=center><colcolor=#fff><rowcolor=#fff> 진행 || DAY1 || DAY2 ||<width=14.2%> DAY3 ||<width=14.2%> DAY4 ||<width=14.2%> DAY5 ||<|2><nopad> 최종
결과
||
회차 <rowcolor=#fff> 1·2화 3·4화 5·6화 6·7화 8화
에이스 선발전 전자 두뇌 퍼펙트 넘버 생년월일 주사위의 흔적 1R: 수식 금고
2R: 출구 전략
3R: 숨은 패턴 찾기
에이스 매치 소수 체크 밸런스 게임 블라인드 오목 릴레이 매치
메인 매치 300 시그널 수사 침묵 인간 체스 나를 찾아줘
데스 매치 수식양궁 픽셀넘버 매치 & 믹스 회전! 가위바위보
[include(틀:대학전쟁/서울대)] 통과 통과 통과 생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cc; font-size: 0.85em"''' 우승
[include(틀:대학전쟁/고려대)] 통과 통과 생존 통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0.85em"''' 준우승
[include(틀:대학전쟁/하버드)] 통과 통과 탈락 3위
[include(틀:대학전쟁/연세대)] 통과 생존 탈락 4위
[include(틀:대학전쟁/카이스트)] 생존 탈락 5위
[include(틀:대학전쟁/포항공대)] 탈락 6위

7. 평가 및 반응

더 지니어스를 필두로 한 국내 두뇌 게임 서바이벌 프로그램에서는 자극적인 상황과 두뇌 영역을 넓게 잡아 포함된 정치질의 존재 때문에 시청자들의 호불호가 갈렸으나, 대학전쟁에서는 자극성과 정치질을 배제하고 참가자들의 두뇌 승부만을 진행했다. 따라서 자극성과 정치질에 불호를 표하는 시청자들에게는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지만 한편으로는 자극성과 정치질이 없어서 문제적 남자, 장학퀴즈 서바이벌 같다는 평도 같이 받았다.

다만 공개 전에는, 동해 공개된 서바이벌들이 하나같이 용두사미 결말로 허무하다는 평가를 받아 기대감이 저하됐고, 또한 최초 공개 당시 참가자들의 학교 서열을 정리한다는 컨셉에 학벌지상주의를 우려하는 반응도 있었다. 더 지니어스 제작진이 참가했다고 홍보했으나, 이미 지니어스의 화제성이 시청자들한테 상당히 떨어진 상황이라서 큰 의미가 없었다.

그러나 공개 이후 참가자들의 능력을 충분히 보여줄 기회가 제공된 게임, 참가자들의 열정적이며 천재적인 면모, 두뇌 서바이벌에 걸맞은 긴장감 넘치는 연출로 우려를 씻어내며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

하지만 방송 내적인 문제점이 여럿 있었다. 에이스선발전에서 컨닝 가능성 등 규칙의 허점, 초반 매치들이 단순한 연산·암기 능력만 강조되어 시청자들의 흥미나 몰입을 이끌어내지 못한 점, 연합이 없다는 홍보 문구와 달리 팀전 게임이 등장한 점, 일부 참가자의 활약상이 제대로 드러나지 않는 악마의 편집[19], 세트장 규모와 디자인 및 조명 문제로 인한 비주얼 하락 등이 있다.

방송 외적으로는 프로그램의 낮은 화제성쿠팡플레이의 마케팅 부족이 지적되었다. 프로그램 내적으로 화제가 될만한 점이 적은데도 불구하고 홍보를 제대로 하지 않았다. 참가자 전원이 일반인 대학생인데도 공식 SNS나 사이트에서 참가자 소개나 정보 등이 전무하거나[20], 초반 회차를 유튜브로 전체 공개하거나 방영 전 홍보 이벤트를 하지도 않았다. 그나마 일부 참가자들의 하이라이트를 올리기는 했으나 화제가 되기엔 모자랐다.

다만 국내에서는 인기가 저조했으나, 해외에서는 2024년 초반부터 틱톡 챌린지를 중심으로 인기를 끌며 관심을 얻고있다. 일부 참가자는 인스타그램 팔로워 수가 10만명에 달할 정도. 이러한 해외 호응을 반영했는지 시즌 2 제작이 확정되었다.

8. 기타

  • 나레이션(게임 주최자)은 심혜린 성우가 담당했다.
  • 프로그램 공식 로고는 각 학교를 상징하는 여섯 종류의 색깔 포인트가 들어간 고리 뒤에 딥펜이 X자로 교차되어 있다.
  • 1차 포스터에서 공식 로고보다 '서카포연고 진짜 서열이 정리된다'라는 문구를 로고보다 더욱 눈에 띄게 배치한 탓에, 일부 시청자들이 프로그램 이름을 '서카포연고'로 착각하기도 하였다. 이런 반응을 의식했는지 2차 포스터에선 문구 크기가 작아졌다.
  • 탈락한 팀의 소개 이미지가 파쇄되는 연출은 뱅크시가 '풍선을 든 소녀'를 파쇄한 행위에서 모티브를 따온 듯 하다. 끝까지 파쇄되지 않고 절반이 넘어갔을 쯤에 멈추는 고증도 충실히 재현(?)했다.
  • 정치를 배제해고 두뇌 능력으로만 겨룬다는 점에서 피지컬: 100을 이은 '뇌지컬: 100'이라는 별명도 있다. 탈락자의 상징이 파괴된다는 연출 면에서는 닮은 점이 있다.[21]
  • 커뮤니티에서 참가자와 동문인 시청자들이 이전에 에브리타임에서 참가자 모집을 했다는 증언이 올라왔다. 프로그램 이름을 안 알려주는 등 정보가 너무 적어서 당시에는 관심을 많이 못 받았다고 한다. 그래서 시즌 2는 학교의 각 과의 카카오톡 방을 통해 폼을 작성하고 모집하였다고 한다.
  • 촬영 기간은 2023년 8월 중, 4박 5일간 숙박 촬영으로 진행되었다. 참가자 전원이 대학생이니만큼 여름방학 기간에 촬영을 진행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김정민이 2달 후 군 입대라고 방송에서 나왔고, 인스타그램에서 10월 입대로 밝혀졌으니 8월 중으로 추정된다.
  • 1-2화는 참가자들이 모여서 관람하기도 했다. #
  • 실제 사용되는 대표 색상과 방송 자막에서 사용되는 대표 색상이 조금씩 차이가 있는데, 아무래도 원본을 그대로 사용할 경우 시인성이 떨어지기에[22] 어쩔 수 없이 수정한 것으로 추정된다.
  • 두뇌 서바이벌 프로그램 중 간단하지만 높은 게임 난이도와 이에 걸맞은 캐스팅을 기록했고 그에 반해 낮은 화제성을 지녔다. 이 때문에 커뮤니티에서 훈수를 하는 모습은 찾아보기 어렵다.
  • 방영 이전 연세대 에브리타임에서 스포일러 사건이 있었다. 캡처본
  • 참가자들이 본인 인스타 스토리에 나무위키 캡처본을 올리기도 했다. 귀엽다
  • 참가자들이 방송에서 나온 게임을 직접 해볼 수 있는 사이트를 만들었다! #
  • 2024년 4월 12일 하하하 지식살롱에 경도현, 송현석, 조현준이 출연했다. #
===# 쿠팡플레이 뉴스룸 기사 #===

8.1. 사용된 BGM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학전쟁/BGM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화별도] 파일:영등위_전체관람가_2021.svg 전체 관람가 (3화 한정)[쿠] 쿠팡플레이 소속.[쿠] [M] MBN 소속[쿠] [쿠] [앤] 앤미디어 소속.[M] [M] [M] [M] [M] [M] [앤] 앤미디어 소속.[앤] 앤미디어 소속.[앤] 앤미디어 소속.[앤] 앤미디어 소속.[앤] 앤미디어 소속.[19] 대표적으로 7화 데스매치 '회전! 가위바위보'에서 서울대 팀의 손가락 방향 전략은 경도현이 설명하는 장면이 방송에 나왔으나, 실제로는 송현석이 고안한 것이 참가자들의 SNS로 밝혀졌다.[20] 나무위키에 올라온 참가자들의 프로필은 참가자들이 개인 SNS에 업로드한 것이다. 때문에 계정이 비공개거나 포스팅이 없는 경우에는 사진이 없다.[21] 피지컬: 100 - 자신의 토르소 파괴 / 대학전쟁 - 참가자 소개 이미지 파쇄.[22] 서울대, 카이스트, 연세대의 진한 파랑/남색과 포항공대, 고려대, 하버드의 진홍/크림슨은 붙여놓으면 구별하기 매우 힘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