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7 04:12:05

더 스테일


모더니즘의 역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letter-spacing: -1px; word-break: keep-all; margin:-6px -2px -12px"
<colbgcolor=#F4ECD5><colcolor=#000> 19세기 리얼리즘 (1840~1860) · 인상주의 (1863~1890) · 탈인상주의 (1886~1905) · 나비파 (1888~1900)
러시아 아방가르드 (1890~1930) · 분리파 (1892~1910)
모더니즘 외 사조
아카데믹 미술(아카데미즘) · 라파엘 전파 (1848~1854) · 미술공예운동 (1860~1910) · 상징주의 (1880~1910) · 아르누보 (1890~1910)
20세기 초 야수파 (1904~1909) · 입체주의 (1907~1914) · 미래주의 (1909~1916) · 다다이즘 (1916~1930) · 초현실주의 (파리 다다) (1920년대)
표현주의 (1905~1930) · 다리파 (1905~1913) · 청기사파 (1911) · 더 스테일 (1917~1931) · 바우하우스 (1919~1933)
구축주의 (1920년대) · 절대주의 (쉬프레마티슴) (1913~1917) · 생산주의 (1917년 이후)
모더니즘 외 사조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1922~1986) · 나치 시대의 미술 (1933~1945)
전후 모더니즘 추상표현주의 (1940년대) · 비정형 미술(앵포르멜) (1960년대)
포스트모더니즘
팝아트 (1960년대) · 미니멀리즘 (1960년대) · 해프닝 (1970년대) · 개념 미술 (1980년대)
}}}}}}}}}

<colbgcolor=black><colcolor=white> 서양 미술사의 시대 · 사조
{{{#!wiki style="color:#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1D1D1D,#e2e2e2
<colbgcolor=#777,#888888> 원시 미술
~ 기원전 12세기
선사 미술 | 메소포타미아 미술 | 이집트 미술
고대 미술
기원전 12세기 ~ 서기 4세기
그리스 고졸기 미술 | 그리스 고전기 미술 | 헬레니즘 미술 | 로마 미술
중세 미술
4세기 ~ 14세기
비잔틴 미술 | 로마네스크 | 고딕
근세 미술
14세기 ~ 19세기
르네상스 | 매너리즘 | 바로크 | 로코코 | 신고전주의 | 낭만주의 | 아카데미즘
근대 미술
19세기 ~ 20세기
모더니즘 | 리얼리즘 | 인상주의 | 탈인상주의 | 라파엘 전파 | 미술공예운동 | 보자르 | 아르누보 | 아르데코 | 탐미주의 | 분리파 | 표현주의 | 다리파 | 청기사파 | 더 스테일 | 바우하우스 | 추상회화 | 야수파 | 미래주의 | 다다이즘 | 초현실주의 | 기하학적 추상 | 아방가르드 | 구축주의 | 구조주의 | 절대주의 | 상징주의 | 입체주의 | 구성주의 | 퇴폐미술 | 권위주의 예술 |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 브루탈리즘
현대 미술
탈근대 미술
20세기 ~
포스트모더니즘 | 행위예술 | 대지 예술 | 개념미술 | 설치예술 | 추상표현주의 | 미니멀리즘 | 스큐어모피즘 | 팝 아트 | 옵아트 | 키네틱 아트 | 해프닝 | 서정적 추상 | 앵포르멜 | 아르테 포베라 | 상황주의 | 제도비평 | 페미니즘 미술 | 소수자 미술 | 탈식민주의 미술 | 신표현주의 | 전유미술 | 극사실주의 | 플럭서스 | 비디오 아트 | 사운드 아트 | 미디어 아트
}}}}}}}}}}}} ||

1. 개요2. 설명

1. 개요

더 스테일(De Stijl, 네덜란드어) 또는 신조형주의는 1917 ~ 1931년 형성된 미술과 건축 분야의 사조이다.

2. 설명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Rietveld_chair_1.jpg
1917년 헤리트 리트펠트가 디자인한 의자
더 스테일 그룹은 형태와 색상의 본질적 요소로 단순화되는 순수한 추상성과 보편성을 추구했는데, 수직과 수평으로 시각적인 구성을 단순화하였고, 검정과 흰색과 원색만을 사용했다. 몬드리안은 "... 이러한 새로운 조형적 발상은 외형의 특성, 다시 말하자면 자연적인 형태와 색상을 무시할 것이다. 반면에 형태와 색상의 추상화, 즉 곧은 선과 명료하게 정의된 원색을 통해 고유한 표현을 찾아야만 한다."라고 했다고 한다.
파일:external/www.mondrian.co.kr/aaaaaaaaaaaaaaaa.png
몬드리안 그림의 변천 과정. #

더 스테일 그룹에서 가장 잘 알려진 예술가는 피트 몬드리안이다. 몬드리안이 사실적인 나무를 추상적인 격자 모양으로 환원시키는 과정을 보여주는 도표는 유명해서 미술 교과에도 실려있다.요즘엔 국영수에 치여서 미술 교과서를 안보지만

더 스테일 그룹의 양식은 굳이 설명할 필요가 없을 정도로 매우 간단하고 명료하다. 이는 입체주의초현실주의 그룹과 완전히 다른 성향이다. 이렇게 된 배경에는 네덜란드가 1차세계대전 당시 국제적으로 고립된 탓도 있다고 한다. 오늘날 미술계에선 더 스테일 그룹의 영향보다 주관과 무의식을 강조하는 초현실주의 계열의 영향이 더 크지만 아무래도 이쪽이 좀더 자유로우니, 디자인, 건축 쪽으로 넘어가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더 스테일은 초기 디자인의 역사 그 자체다. 더 스테일 구성원들은 이후 바우하우스에서 학생들을 가르쳤을 뿐만 아니라, 미스 반 데어 로에 같은 모더니즘 건축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그 영향은 오늘날 한국의 대량생산된 공산품과 아파트 문화에까지 끼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단순하고 직선적이고 평면적인 형태, 명료한 선, 색의 순수한 사용, 실내를 넘어서는 공간의 확장 등은 포스트모더니즘 이전의 모더니즘 디자인의 핵심 그 자체였으니 말이다.

록 밴드 화이트 스트라입스의 2집 앨범 제목으로도 사용되었다. 2집 외에도 화이트 스트라입스의 앨범 커버와 패션 등은 대부분 빨강, 하양, 검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더 스테일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