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탁구 여자 단식 우승자 | ||||
| ||||
(1988) | → | (1992 / 1996) | → | (2000) |
덩야핑 Deng Yaping | 邓亚萍 | |
| |
출생 | 1973년 2월 6일 ([age(1973-02-06)]세) |
허난성 정저우시 | |
국적 | |
신체 | 149~150cm |
종목 | 탁구 |
학력 | 칭화대학 (영어학과) 노팅엄 대학교 (현대중국학 / 석사) 케임브리지 대학교 (토지경제학 / 박사) |
링크 |
[clearfix]
1. 개요
중국의 前 탁구 선수. "탁구 마녀"라고도 불린, 1990년대 세계 여자 탁구계의 1인자였다.[1]2. 행적
탁구인 2세로, 아버지는 허난성 탁구선수, 감독이었고 덩야핑 역시 아버지에게 탁구를 배웠다.덩야핑은
2004년에 탁구선수 린즈강과 결혼했고, 2006년에 아들 린한밍을 낳았다. 린한밍은 전국학생 탁구대회 순위가 높은 편이며, 2024년에는 제24회 쌍어배 전국고등학생 탁구대회에 베이징사범대학제2부중 소속으로 출전해 복식 우승을 차지하기도 했다.
2008 베이징 올림픽 선수촌 부주임을 역임했으며, 인민일보의 부비서장으로 언론인 활동도 잠깐 했고, 2010년대 들어선 스포츠 벤처 회사도 창립하는 등 여러 가지 일을 하고 있다.
3. 수상 기록
1990~1997년 동안 세계랭킹 1위에 90%가 넘는 통산 국제전 승률과, 비교적 짧은 시간에 이룬 것이라고는 믿기 힘들 정도로 그야말로 무시무시한 수상 경력을 자랑한다. 위키백과 등지에서 기록된 메이저대회 우승기록 외에도 적어도 몇 십 개가 넘는 대회에서 우승한 걸로 알려져 있다.올림픽 | ||
금메달 | 1992 바르셀로나 | 여자 복식 |
금메달 | 1992 바르셀로나 | 단식 |
금메달 | 1996 애틀랜타 | 여자 복식 |
금메달 | 1996 애틀랜타 | 단식 |
세계선수권 | ||
금메달 | 1989 도르트문트 | 여자 복식 |
금메달 | 1991 치바 | 단식 |
금메달 | 1993 예테보리 | 단체전 |
금메달 | 1995 톈진 | 단체전 |
금메달 | 1995 톈진 | 여자 복식 |
금메달 | 1995 톈진 | 단식 |
금메달 | 1997 맨체스터 | 단체전 |
금메달 | 1997 맨체스터 | 여자 복식 |
금메달 | 1997 맨체스터 | 단식 |
은메달 | 1991 치바 | 단체전 |
은메달 | 1991 치바 | 여자 복식 |
은메달 | 1993 예테보리 | 여자 복식 |
은메달 | 1995 톈진 | 혼합 복식 |
은메달 | 1997 맨체스터 | 혼합 복식 |
아시안 게임 | ||
금메달 | 1990 베이징 | 단체전 |
금메달 | 1990 베이징 | 단식 |
금메달 | 1990 베이징 | 혼합 복식 |
금메달 | 1994 히로시마 | 단체전 |
금메달 | 1994 히로시마 | 혼합 복식 |
은메달 | 1990 베이징 | 여자 복식 |
은메달 | 1994 히로시마 | 여자 복식 |
은메달 | 1994 히로시마 | 단식 |
아시아선수권 | ||
금메달 | 1994 톈진 | 단체전 |
금메달 | 1994 톈진 | 혼합 복식 |
금메달 | 1994 톈진 | 단식 |
은메달 | 1994 톈진 | 여자 복식 |
월드컵(단식) | ||
금메달 | 1992 라스베가스 | 여자 복식 |
금메달 | 1996 애틀랜타 | 단식 |
동메달 | 1990 서울 | 여자 복식 |
월드컵(단체전) | ||
금메달 | 1990 홋카이도, 아오모리, 닝 | 단체전 |
금메달 | 1991 바르셀로나 | 단체전 |
금메달 | 1995 애틀랜타 | 단체전 |
4. 기타
- 1993년 6월 내한해 주병진쇼에 출연한 적이 있었다.
- 2012년 영화 코리아에서 김재화가 덩야핑을 모티브로 하는 덩야령을 맡아 연기하였다. 탁구 남북 단일 팀의 단체전 세계 제패를 다루는 작품인 만큼 영화에서 주인공들이 넘어야 하는 최종 보스 격으로 그려졌으며, 작품에서도 툭 치고 가는 장면을 연출하였다.[3] 다만 실제론 단신인 덩야핑과 달리, 김재화는 장신이라는 게 함정.
- 왕난이 처음 대표팀에서 큰별 덩야핑을 만났을 때 생각보다 그녀가 지저분해 실망했다고 한다. 허나 이후 챔피언 자리에 오르고 보니 승리 외엔 다른걸 신경 쓸 여유가 없어서 본인도 불결해진걸 알고 후회했다고 한다.
- 예능에 나가면 밥주걱이나 숟가락으로도 탁구를 쳐보라는 요청을 받는 촌극이 자주 벌어진다. 하지만 워낙 전설적인 실력을 가진 선수라 밥주걱이나 숟가락으로 탁구로 해도 탁구채를 가진 일반인들을 금방 이기는 편. 심지어는 로봇과의 대결을 신청받기도 했다.
- 영국 배우 베네딕트 컴버배치와 만남을 가져 가볍게나마 탁구 경기를 겨뤄보기도 했다.
[1] 전체 커리어로는 마룽에 밀리지만, 단기간의 싹쓸이 측면만 본다면 더 위라고 보는 의견도 있을 정도다. 여자 탁구 선수로만 한정하면 전체 커리어에서도 90년대 이후 덩야핑-왕난-장이닝-딩닝-천멍-쑨잉사로 이어지는 중국 본좌 라인 중에서 (때론 장이닝과 함께) 최고로 쳐주는 경우가 많은 편이다.[2] 1993년 세계선수권 단식 우승도 덩야핑이 예선에서 탈락하는 이변이 벌어지는 바람에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이뤄낼 수 있었다.[3] 참고로 이 대회 결승에서 덩야핑은 유순복한테 덜미를 잡히는 이변을 연출하며 3-2로 우승을 내주고 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