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bordercolor=#003278>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03278><colcolor=#fff> 투수 | 17 이볼디 · 22 그레이 · 33 더닝 · 35 라이터 · 41 밀너 · 43 암스트롱 · 48 디그롬 · 51 말리 · 52 페닝턴 · 55 마틴 · 57 로버트 · 58 가라비토 · 60 윈 · 61 브래드포드 · 62 R.가르시아 · 66 스보즈IL-60 · 67 라츠 · 68 처치 · 71 웹 · 80 라커 · 87 코니엘 · # 커벨로 · # 테오도 · # 산토스 · # 잭슨 | |
포수 | 11 히가시오카 · 28 하임 | ||
내야수 | 2 시미언 · 5 시거 · 6 영 · 8 스미스 · 20 듀란 · 21 버거 · 56 포스큐 · 59 오넬라스 | ||
외야수 | 3 타베라스 · 4 피더슨 · 32 카터 · 36 랭포드 · 38 해리스 · 53 A.가르시아 | ||
''' | |||
| }}}}}}}}} |
데인 더닝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시카고 화이트삭스 등번호 51번 | ||||
카슨 풀머 (2016~2019) | → | 데인 더닝 (2020) | → | 라이언 테페라 (2021) | |
텍사스 레인저스 등번호 33번 | |||||
야디엘 리베라 (2020) | → | 데인 더닝 (2021~) | → | 현역 |
| |
<colbgcolor=#003278><colcolor=#ffffff> 텍사스 레인저스 No.33 | |
데인 더닝 Dane Dunning | |
본명 | 데인 앤서니 더닝 Dane Anthony Dunning |
출생 | 1994년 12월 20일 ([age(1994-12-20)]세) |
플로리다 주 오렌지 파크 | |
국적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클레이 고등학교 - 플로리다 대학교 |
신체 | 193cm | 102kg |
포지션 | 선발 투수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 입단 | 2016년 드래프트 1라운드 (전체 29번, WSH) |
소속팀 | 시카고 화이트삭스 (2020) 텍사스 레인저스 (2021~) |
계약 | Arb 2 / $2,660,000 |
연봉 | 2025 / $2,660,000 |
가족 | 아버지 존 더닝, 어머니 정미수, 형 제이크 더닝[1] # |
SNS |
[clearfix]
1. 개요
텍사스 레인저스 소속 우완 투수.한국인 어머니 미수 더닝(한국명 정미수)과 미국인 아버지 존 더닝[2] 사이에서 태어난 한국계 2세이다.
2. 선수 경력
데인 더닝의 선수 경력 | ||
통합 선수 경력 : 데인 더닝/선수 경력 | ||
|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3. 피칭 스타일
평균 90마일대 초반의 비교적 느린 패스트볼[3]을 구사하는 우완 기교파 투수이다. 변화구론 커터, 슬라이더, 커브, 체인지업을 장착하고 있으며 이들 중 커터와 슬라이더를 자주 쓰는 편이다.2023 시즌 전엔 패스트볼 구사율이 50% 이상에 커터 구사율이 높지 않았으나 2023시즌부터 패스트볼 구사율을 줄이고 커터의 구사율을 높이며 성적이 매우 좋아지고 있다. 또한 2023시즌 전엔 9이닝당 볼넷이 3개 이상이었지만 2023시즌부턴 2개 정도로 내려오면서 제구가 많이 좋아졌다.
4. 수상 내역
수상 |
월드 시리즈 우승 (2023) |
5. 여담
- 2020 시즌 국내 해외야구 뉴스에서 자주 보이는 이름인데, 이는 더닝이 시카고 화이트삭스의 슈퍼 루키인 한국계 미국인이므로 조회수를 늘리기 훌륭한 주제이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서 한국 대표팀으로 선발이 가능[4]하기 때문에 더욱 자주 언급하는 것이다.[5] 데닝과 같이 메이저리그에서 뛰는 한국계 미국인으로는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의 내야수 토미 에드먼이 있는데 에드먼의 경우에는 부상으로 인하여 참가가 불발된 더닝과는 달리, 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에서 대한민국 국가대표팀에 승선하였다.[6][7] 2021년에는 한국인 선수인 양현종이 소속팀 텍사스와 마이너 계약을 맺고 메이저리그로 승격해 한솥밥을 먹었다.
- 21시즌 양현종이 텍사스에서 활동할 당시 스프링 캠프에서 먼저 다가와 본인을 한국계라고 소개하며 적응을 도와줬다고 한다. 그이후 데뷔전 축하 글[8]도 올려주고 본인 집에 초대해 식사도 같이 하며 많이 친해진 모습[9]을 보여줬다.
|
- 왼쪽 팔 부분에 한국어로 같은 피라고 써있는 문신이 있고 본인 스스로도 WBC에서 한국 대표팀 소속으로 출전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힌 것을 보면 어느 정도 한국에 대한 애정을 가진 것도 사실인 듯. 기회가 된다면 KBO 리그에서도 뛰어보고 싶다는 말을 남겼다. # 그러나 2022년 9월 23일 DKTV와의 인터뷰에서 불참 의사를 밝혔다. 24일 고관절 수술로 시즌을 마감한다는 소식이 나왔고 그 동안 부상을 참고 던졌다는 사실이 알려진 것을 봐서는 부상 때문에 불참을 택한 것으로 보인다. 그렇기에 그가 한국 대표팀의 유니폼을 입고 뛰는 모습을 보려면 4년 뒤인 2026년까지 기다려야 할 것으로 보인다.[10]
- 6살 위의 둘째 형 제이크 더닝도 투수로 2013년 샌프란시스코 자이언츠에서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에 데뷔했으며, 2년간 샌프란시스코에서 뛰다 2017년 시카고 화이트삭스와 마이너 리그 계약을 맺었으나 그 해 6월에 방출당했다. 이후 미국의 독립 리그인 애틀랜틱 리그에서 뛰다 2018년 은퇴했다. 정확한 근황은 불명이지만, 데인의 인스타에서 올라오는 모습으로 보건대 현재는 가정을 꾸리고 육아에 전념하는 듯. 형 제이크 쪽이 데인보다 더 아시안 느낌이 강하다. 물론 데인도 수염을 밀고 안경을 벗으면 어느 정도 아시안 얼굴이 보이긴 하지만.
- 플로리다 대학교에 다닐 적 만난 레이첼 카스텔리와 캠퍼스 커플로 지내다 2019년 12월에 결혼했다. 아내는 대학교에서 피크볼[11] 선수로 활약했었다.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ab0003> | 워싱턴 내셔널스 역대 1라운드 지명선수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91919,#ffffff | 1969년 ~ | ||||
1969 베일러 무어 투수 / 전체 22번 | 1970 배리 푸트 포수 / 전체 3번 | 1971 유격수 / 전체 4번 | 1972 바비 굿맨 포수 / 전체 5번 | 1973 게리 로니키 유격수 / 전체 8번 | |
1974 론 소레이 3루수 / 전체 9번 | 1975 아트 마일스 유격수 / 전체 10번 | 1976 밥 제임스 투수 / 전체 9번 | 1977 빌 걸릭슨 투수 / 전체 2번 | 1978 글렌 프랭클린 유격수 / 전체 9번 | |
1979 팀 월락 1루수 / 전체 10번 | 1980[1] 테리 프랑코나 외야수 / 전체 22번 | FA 롤랜드 오피스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1981 대런 딜크스 투수 / 전체 18번 | FA 팀 블랙웰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
1983 리치 스톨 투수 / 전체 14번 | 1983[2] 브라이언 홀맨 투수 / 전체 16번 | 1984 밥 카프리 포수 / 전체 13번 | 1984[3] 놈 찰턴 투수 / 전체 28번 | 1985 피트 잉카빌리야 3루수 / 전체 8번 | |
1986 케빈 딘 외야수 / 전체 15번 | 1987 딜라이노 드실즈 시니어 유격수 / 전체 12번 | 1987[4] 타이론 킹우드 외야수 / 전체 28번 | 1988 데이브 와인하우스 투수 / 전체 19번 | 1989 포수 / 전체 10번 | |
1990 셰인 앤드류스 3루수 / 전체 11번 | 1990[5] 론델 화이트 외야수 / 전체 24번 | 1990[5] 게이브 화이트 투수 / 전체 28번 | 1990[7] 스탠 스펜서 투수 / 전체 35번 | 1990[8] 벤 반 린 투수 / 전체 37번 | |
1990[9] 스탠 로버트슨 외야수 / 전체 40번 | 1991 클리프 플로이드 1루수 / 전체 14번 | 1992 B.J. 월러스 투수 / 전체 3번 | 1993 크리스 슈왑 외야수 / 전체 18번 | 1993[10] 호수에 에스트라다 외야수 / 전체 31번 | |
1994 히람 보카치카 유격수 / 전체 21번 | 1994[11] 마이크 서먼 투수 / 전체 31번 | 1995 마이클 배럿 유격수 / 전체 28번 | 1996 투수 / 전체 5번 | 1997 조니 브릿지스 투수 / 전체 23번 | |
1997[12] 크리스 스토우 투수 / 전체 37번 | 1997[13] 스캇 호지스 유격수 / 전체 38번 | 1997[14] 브라이언 헵슨 투수 / 전체 44번 | 1997[15] 톰 피트맨 1루수 / 전체 45번 | 1997[16] T.J. 터커 투수 / 전체 47번 | |
1997[17] 셰인 아서스 투수 / 전체 48번 | 1997[18] 투티 마이어스 외야수 / 전체 52번 | 1998 조시 맥킨리 유격수 / 전체 11번 | 1998[19] 브래드 윌커슨 외야수 / 전체 33번 | 1999 조시 거들리 투수 / 전체 6번 | |
2000 저스틴 웨인 투수 / 전체 5번 | 2001 조시 카프 투수 / 전체 6번 | 2002 클린트 에버츠 투수 / 전체 5번 | 2003 채드 코데로 투수 / 전체 20번 | 2004 빌 브레이 투수 / 전체 13번 | |
2005 라이언 짐머맨 3루수 / 전체 4번 | 2006 크리스 마레로 외야수 / 전체 15번 | 2006[20] 콜튼 윌리엠스 투수 / 전체 22번 | 2007 로스 뎃와일러 투수 / 전체 6번 | 2007[21] 조시 스모커 투수 / 전체 31번 | |
2007[22] 마이클 버게스 외야수 / 전체 49번 | 2008 투수 / 전체 9번 | 2009 스티븐 스트라스버그 투수 / 전체 1번 | 2009[23] 드류 스토렌 투수 / 전체 10번 | 2010 브라이스 하퍼 외야수 / 전체 1번 | |
2011 앤서니 렌던 3루수 / 전체 6번 | 2011[24] 알렉스 메이어 투수 / 전체 23번 | 2011[24] 브라이언 굿윈 외야수 / 전체 34번 | 2012 루카스 지올리토 투수 / 전체 16번 | FA 라파엘 소리아노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
2014 에릭 페디 투수 / 전체 18번 | FA 맥스 슈어저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2016[26] 카터 키붐 유격수 / 전체 28번 | 2016[27] 데인 더닝 투수 / 전체 29번 | FA 대니얼 머피 영입으로 인한 지명권 상실 | |
2017 세스 로메로 투수 / 전체 25번 | 2018 메이슨 데나버그 투수 / 전체 27번 | 2019 잭슨 러틀리지 투수 / 전체 17번 | 2020 케이드 카발리 투수 / 전체 22번 | 2021 브래디 하우스 유격수 / 전체 11번 | |
2022 엘리지아 그린 외야수 / 전체 5번 | 2023 딜런 크루스 외야수 / 전체 2번 | 2024 시버 킹 유격수 / 전체 10번 | 2024[CBA] 케일럽 로마비타 포수 / 전체 39번 | ||
* [1] FA 루디 메이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 FA 조엘 영블러드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3] FA 매니 트리요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4] FA 안드레 도슨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5] FA 마크 랭스턴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5] [7] FA 허비 브룩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8] FA 파스쿠알 페레즈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9] 찰스 존슨 지명 거부로 인한 지명권 보상[10] FA 스파이크 오웬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1] FA 데니스 마르티네즈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2] FA 멜 로하스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3] FA 모이세스 알루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4] FA 마크 라이터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5] FA 제프 파세로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6] FA 레니 웹스터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7] FA 앤디 스탠키위츠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18] 존 패터슨 지명 거부로 인한 지명권 보상[19] FA 다린 플레처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0] FA 에스테반 로아이자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1] FA 알폰소 소리아노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2] FA 호세 기옌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3] 애런 크로우 지명 거부로 인한 지명권 보상[24] FA 애덤 던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4] [26] FA 조던 짐머맨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27] FA 이안 데스몬드 이적으로 인한 지명권 보상[CBA]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No.25 | No.33 | No.30 |
토미 에드먼 | 데인 더닝 | 롭 레프스나이더 | |
No.55 | No.41 | No.10 | |
라일리 오브라이언 | 조 로스 | 셰이 위트컴 |
데인 더닝의 수상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MLB 월드 시리즈 우승반지 |
2023 |
[1] 1988년생[2] 존 더닝이 주한미군으로 근무할 당시 만나 1985년 한국에서 결혼식을 올린 후 곧장 미국으로 건너갔다.[3] 리그 전체 평균 구속이 93~94마일 정도로 잡히는 메이저리그 기준으로 90마일대 초반은 확실히 느린 축이다.[4] 규정상 WBC는 본인의 국적으로만 참여가 가능한 다른 국제대회들과 달리, 본인의 국적 이외에도 본인의 출생 국가나 부모의 국적, 해당 국가의 영주권 등으로도 참여가 가능하기 때문.[5] 마침 한국 대표팀에는 우완 선발투수가 부족하며, 양현종의 증언과 허구연의 주목도 있다.[6] 예전에는 다윈 바니, 행크 콩거, 타이슨 로스, 동생인 조 로스가 메이저리그에서 뛰는 대표적인 한국계 미국인이었다. 이 중에서 현재 빅리그에 남은 건 조 로스 한 명이고, 다른 선수들은 은퇴했거나 메이저리그 로스터에 진입하지 못하고 있다.[7] 미치 화이트도 토론토 블루제이스에서 뛰었으나 2025년부터 SSG 랜더스에서 뛰게 되었기 때문에 성적여하에 따라 국가대표 합류 확률이 높은 편이다.[8]
[9]
[10] 물론 그 사이 부상 없이 MLB에 안정적으로 붙어 있는다는 전제가 있어야 하겠지만. 23시즌 12승, 172이닝, ERA 3점대를 달성하면서 팀 3선발 정도의 준수한 활약을 했다. 이 기량을 유지한 채로 대표팀에 합류하면 매우 든든한 선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11] 배드민턴, 테니스, 탁구의 요소가 결합된 패들 스포츠로 미국을 중심으로 활성화되고 있는 새로운 스포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