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6:20:04

도찰원

都察院

1. 개요2. 역사3. 육과급사중4. 관련글

[clearfix]

1. 개요

도찰원(都察院)은 근세 명청시대 감찰 관부이다. 장관은 도어사(都御史), 이후 좌도어사(左都御史), 우도어사(右都御史). 차관은 좌부도어사(左副都御史), 우부도어사(右副都御史).

2. 역사

명나라 홍무제 시기 공포정치의 일환으로 황제가 직속으로 감찰권을 장악하고자 하였고 호유용의 난을 계기로 어사대의 하부 감사 조직인 대원, 전원, 찰원의 삼원 중 찰원을 도찰원으로 확대 개편하여 어사대를 철폐하고 도찰원을 설치하였으며 전국에 순안감찰어사를 파견하여 지방을 감시하였다. 도찰원은 청나라 시기에도 이어져 청 말까지 이어진다.

도찰원의 장관은 정2품 좌, 우도어사, 명나라 시기 육부상서와 같은 품계였다. 청나라 때는 상서와 함께 종1품, 만한병용이 이뤄졌고 좌우도어사는 중앙 군기처의 군기대신, 지방의 총독, 순무겸직하기도 하였다.

3. 육과급사중

어사대관과는 별개로 청나라 중기 이전까지는 육과급사중[1]이라는 간관 관직이 따로 존재했다. 육부에 각각 해당하며 통정사[2]를 통해 온 상소를 베껴 전달했으며 봉박권(거부권)을 지녔다. 7품에 불과했으나 명나라 때는 어사와 함께 권한이 막강했다. 청 중기 이후에는 봉박권이 사라지고 도찰원으로 통합된다.

역사적으론 중국사에서 일관되게 감찰기관을 황제권을 견제하는 감사권을 축소하고 격하하였던 반면 신권을 제약하는 감찰권을 강화하여 명청대 황권이 극대화되는 추세를 알 수 있는데 황제의 권력 강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3]

4. 관련글


[1] 고려중서문하성의 낭사, 조선사간원의 간관에 상당.[2] 왕명을 출납하고 전달하는 관부. 조선의 승정원에 상당.[3] 반면 중화제국의 제권강화 및 간관의 약화 소멸과 반비례하여 조선왕조에서는 삼사(사헌부, 사간원, 홍문관)로 대표되는 대간의 권력 및 사대부 세력이 대두하고 절정에 달하여 군약신강을 거론할 정도로 왕권과 신권이 미묘한 조화를 이루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7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74 (이전 역사)
문서의 r1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