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1-13 20:00:13

어사대


御史臺

1. 개요2. 한국사3. 중국사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어사대(御史臺)는 전근대 한국중국, 베트남감사 기관이다. 현대감사원, 하원의 감찰위원회(감사위원회), 검찰청과 같은 기능을 수행했다.

어사대의 장관은 어사대부, 차관은 어사중승이라고 하며 어사대의 감찰관 관원을 어사, 대관(臺官)이라고 한다.

2. 한국사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국왕 / 황제 한림원
도병마사 / 도평의사사
식목도감
삼사 중서문하성 중추원
상서도성
상서육부 어사대
조선 중앙정치기구 · 대한제국 중앙정치기구 }}}}}}}}}

고려감찰 기구이다. 어사대의 장은 재상급이 겸직하는 판사판어사대사(判御史臺事) 및 어사대부이다.

역시 관원을 대관이라고 하여 중서문하성의 낭사(郎舍), 곧 간관(諫官)과 아울러 대간이라고 한다.

고려에서 성종조 당나라, 송나라직제를 답습하면서 사헌대를 고쳐 어사대를 설치했다. 이후 고려 전기 현종김훈, 최질의 난으로 어사대를 혁파하고 금오대[1]를 설치했다가 김훈, 최질을 주살하고 반란토벌하여 도로 어사대, 충렬왕원간섭기 원의 관제 격하로 감찰사로 바뀌었으며 여말선초 어사대, 사헌부로 자주 명칭이 바뀌다가 최종적으로 사헌부로 바뀌어 조선시대로 이어진다.

어사대의 명칭은 사헌부로 개명되었지만 어사대는 사헌부, 어사는 대관의 별칭으로 쓰였다. 유명한 암행어사의 어사가 어사대의 어사에서 유래한 관직 명칭이다.

3. 중국사

어사대(御史臺)는 원래 진나라에서 유래하여 명나라 대까지 존재하던 중국에서 감찰 기구를 가리키던 말이다.

시황제가 중국을 천하통일하면서 어사대부의 기관을 어사부(御史府)라고 불렀고 전한도 답습하였다.

그러나 한성제 때 본격적인 형태의 삼공 체제가 도입되며 어사대부가 사공(대사공)으로 바뀌면서[2] 사라졌다.

위진남북조양나라, 북위에서 어사부를 어사대로 바꾸어 불렀다.[3]

당나라 삼성육부제가 성립되면서 어사대는 3성 바깥의 특수 기관이 되었다.[4]

황제권의 강화에 따라 어사대의 기능은 송나라대에 오면 현저히 약화되었다. 어사대는 중서성, 추밀원에 이어 재무관부인 삼사가 대두하면서 3부에서 탈락했지만 원나라 시기 다시 조정 3대 관부로 자리잡았다.

명나라 홍무제 시기 호유용의 난으로 어사대를 도찰원(都察院)으로 확대 개편 및 개칭되고 어사대라는 이름은 사라져 도찰원으로 이어진다.[5]

4. 관련 문서


[1] 당송의 금군고려군의 금오위와 같은 명칭이다.[2] 사공은 주례(周禮)에서 삼공의 아래에 놓인 육경(六卿)의 하나로 토목과 산천을 관리하는 벼슬이다.[3] 후한에서 상서(尙書)의 격을 높이면서 세운 관청이 상서대(尙書臺)다. 그러니까 삼부를 이루던 기관이 특별관청 쯤으로 격하된 것.[4] 어사대를 구성하는 3어사 중 시어사는 상서성, 전중시어사는 전중성, 감찰어사는 지방 행정에 예속되어 모두 관할 기관이 달랐기 때문이다.[5] 역사적으론 중국사에서 일관되게 감찰기관을 황제권을 견제하는 점을 축소하고 격하하였던 반면 신권을 제약하는 움직임을 강화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황제의 권력 강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