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제국 내의 주요 외교공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독일 | 러시아 | 미국 | 벨기에 | 영국 |
이탈리아 | 일본 | 청 | 프랑스 | ||
※ 오스트리아 - 헝가리 제국과 덴마크에서는 외교공관을 두지 않았다. | }}}}}}}}} |
[[대한민국|]] 한독관계 관련 문서 [[독일|]] |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000><colcolor=#fff> 역사 | 조독수호통상조약 · 주한독일공사관 |
사건사고 | 오페르트 도굴 사건 · 동백림 사건 · 한국인 독일호텔 퇴마 살인사건 | |
외교 | 한독관계 · 박정희 대통령 서독 공식 방문 · 주독일 대한민국 대사관 · 주한독일대사관 | |
기타 | 대한민국 vs 독일 · 남해독일마을 · 주독일 한국문화원 · 독일 한국교육원 · 독일문화원 · 파독 근로자 · 압록강은 흐른다 · 장보고급 잠수함 · 손원일급 잠수함 | }}}}}}}}} |
대한제국 내의 외교공관 | ||
주한독일공사관 駐韓德國公使館 Gesandtschaft der Deutsches Reich in Korea | ||
국기 | 국장 | |
<colbgcolor=#dd0000><colcolor=#fff> 상급기관 | 독일 제국 외무청 | |
영사관 설립 | 1885년 | |
공사관 승격 | 1903년 | |
공사관 폐쇄 | 1905년 |
<colbgcolor=#000> 독일 공사관. 회동에 있던 시기에 찍은 것이다.[1] |
[clearfix]
1. 개요
서울특별시 종로구와 중구에 있었던 독일 제국의 옛 공사관이다.2. 역사
1883년(고종 20년)에 조독수호통상조약을 체결하여 조선과 외교관계를 맺은 독일 정부는 한성에 영사관을 설치했다.처음에는 지금의 충무로 서울중앙우체국 뒤편인 낙동에 영사관을 두었다. 그러나 건물이 좁고 낡아서 근처의 빈집을 사용하게 해달라고 조선 측에 여러 번 요청했으나 계속 거절당했다.[2]#
<colbgcolor=#000> 박동 시절 독일 영사관. 원래 민겸호와 묄렌도르프가 살았던 집이었다. |
그런데 몇 년 지나지 않아 문제가 생겼다. 독일 회사 세창양행[3]에서 독일영사관 땅이 자신들 소유라고 주장했던 것. 묄렌도르프가 조선을 떠나면서 세창양행에 땅을 팔았다는 것이다. 이 문제로 1890년(고종 27년)에서 1891년(고종 28년) 사이에 서소문동에 있던 왕립 학교 육영공원 자리로 영사관을 다시 옮겼다.[4]# 현재 서울시립미술관 본관 일대이다. 1892년(고종 29년)에 조오 수호 통상 조약[5]이 체결된 후에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외교 및 통상 업무를 대신 맡았다.
<colbgcolor=#000> 서소문동 시절 독일 영사관[6] |
<colbgcolor=#000> 회동 시절 독일 공사관[8] |
회동 독일공사관에서 촬영한 북문과 뒷뜰의 모습. 뒤에 숭례문이 보인다.[9] |
<colbgcolor=#000> 평동 시절 독일 영사관[10] |
회동에 있던 공사관 건물은 대한제국 정부에서 다시 사들여 탁지부 관리들의 구락부로 활용했고, 이후 경성구락부와 남대문세무서에서 사용하다가 1970년 경에 민간 소유로 넘어간 후 헐렸다. 평동에 있던 영사관 건물은 1920년 6월에 조선식산은행에서 6만원을 주고 사들였다.#
3. 건물
4. 여담
5. 같이보기
[1] 사진 출처 - 서울스토리.[2] 이미 프랑스 정부에서 사용하려 했기 때문이라고.[3] 묄렌도르프의 후원으로 제물포에 진출했고, 이후 각종 근대 문물(군함도!)을 수입하는 창구 역할을 한 회사이다.[4] 육영공원은 전동으로 이전했다.[5] 조선과 오스트리아 헝가리 제국의 통상 조약.[6] 사진 출처 - 문화콘텐츠닷컴.[7] 사진 출처 - 문화콘텐츠닷컴.[8] 왼쪽 사진 출처 - 문화콘텐츠닷컴.
오른쪽 사진 출처 - 문화콘텐츠닷컴.[9] 사진 출처 - 《문화일보》[10] 사진 출처 - 문화콘텐츠닷컴.[11] 당시 이름은 경성.[12] 지금의 세종대로.[13] 지금의 서소문로.
오른쪽 사진 출처 - 문화콘텐츠닷컴.[9] 사진 출처 - 《문화일보》[10] 사진 출처 - 문화콘텐츠닷컴.[11] 당시 이름은 경성.[12] 지금의 세종대로.[13] 지금의 서소문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