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6 11:19:33

동감(2022)

동감 (2022)
Ditto
파일:동감(2022) 메인 포스터.jpg
<colbgcolor=#caa9bf,#010101><colcolor=#dff5fb,#dddddd> 장르 로맨스, 드라마, 판타지, 시대극
감독 서은영
각본
원작 김정권 - 영화 《동감
제작 이정은
주연 여진구, 조이현, 김혜윤, 나인우, 배인혁
프로듀서 심문보
촬영 정기욱
편집 김형주
음악 김홍집
김진희
시각효과 RASCA
촬영 기간 2022년 5월 31일 ~ 2022년 8월 20일
제작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고고스튜디오
제공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바이포엠스튜디오
배급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CGV
개봉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년 11월 16일
화면비 ○○
상영 타입 2D
상영 시간 114분 (1시간 54분)
제작비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490,145명 (2022년 12월 27일 기준)
스트리밍
[[넷플릭스|
NETFLIX
]]
#!if 링크 != null
[[https://www.netflix.com/title/|▶]]
#!if 주석 != null
^^^^
#!if 링크1 != null
[[https://www.netflix.com/title/|▶]]
#!if 주석1 != null
^^^^
#!if 링크2 != null
, [[https://www.netflix.com/title/|▶]]
#!if 주석2 != null
^^^^
[A]
[A]



상영 등급 파일:영등위_12세이상_2021.svg 12세 이상 관람가[3]
공식 홈페이지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고고스튜디오

1. 개요2. 포스터3. 예고편4. 시놉시스5. 등장인물
5.1. 주연5.2. 조연5.3. 특별출연
6. 줄거리7. 사운드트랙8. 평가9. 흥행
9.1. 대한민국
10. 기타11. 외부 링크

1. 개요

2022년 11월 16일에 개봉한 한국 영화. 유지태, 김하늘 주연의 2000년동명의 영화가 원작이다.

2. 포스터

파일:동감(2022) 시나리오 표지.jpg 파일:동감(2022) 티저 포스터.jpg
시나리오 표지 티저 포스터[4]
파일:동감(2022) 캐릭터 포스터 용.jpg 파일:동감(2022) 캐릭터 포스터 무늬.jpg
무늬
{{{#!wiki style="margin: -16px -11px; letter-spacing: -0.3px" 파일:동감(2022) 캐릭터 포스터 한솔.jpg 파일:동감(2022) 캐릭터 포스터 영지.jpg 파일:동감(2022) 캐릭터 포스터 은성.jpg
한솔
영지
은성
}}}
캐릭터 포스터
파일:동감(2022) 메인 포스터.jpg
메인 포스터

3. 예고편

▲ 티저 예고편
▲ 타입별 로맨스 영상
▲ 메인 예고편
▲ 제작기 영상

4. 시놉시스

1999년, '용'은 첫눈에 반하게 된 '한솔'을 사로잡기 위해 친구에게 HAM 무전기를 빌린다.

2022년, ‘무늬’는 인터뷰 과제를 위해 오래된 HAM 무전기를 작동시킨다.

"씨큐... 씨큐... 제 목소리 들리세요?"

개기 월식이 일어난 날, 시간을 뛰어넘어 기적처럼 연결된 ‘용’과 ‘무늬’는 서로의 사랑과 우정을 이야기하며 특별한 감정을 쌓아가는데...

1999 - 2022
마음을 수신합니다.

5. 등장인물

5.1. 주연

  • 김용 (여진구)
    95학번 기계공학과 복학생.
  • 김무늬 (조이현)
    21학번 사회학과 학생.
  • 서한솔 (김혜윤)
    용의 첫사랑. 99학번 기계공학과 학생 이자

    • 미래의 21학번 김무늬의 엄마
  • 김은성 (배인혁)
    용의 같은 학과 절친. 95학번 기계공학과 학생 이자

    • 미래의 21학번 김무늬의 아빠
  • 오영지 (나인우)
    무늬의 다정다감한 남사친. 21학번 국어국문학과 학생 이자

    • 무늬와 사이가 발전될 오묘한 사이

5.2. 조연

5.3. 특별출연

6. 줄거리

7. 사운드트랙

작품 속 배경인 1990년대 중후반 명곡들의 리메이크로 컬래버레이션 음원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동감(2022)/OST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동감(2022)/OST#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동감(2022)/OST#|]][[동감(2022)/OST#|]]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tablebgcolor=#fff,#1f2023><table width=100%><-6><tablebordercolor=#CAA9BF><bgcolor=#CAA9BF><color=#DFF5FB> 동감 OST ||
<rowcolor=#DFF5FB> 파트 표지 발매일 곡명 아티스트 링크
Part 1
파일:동감(2022) OST Part 1.jpg
2022. 10. 01. <colbgcolor=#f5f5f5,#2d2f34> 너에게로 가는 길 엔플라잉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 2
파일:동감(2022) OST Part 2.jpg
2022. 10. 16. 고백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 3
파일:동감(2022) OST Part 3.jpg
2022. 11. 04. 습관
(Bye Bye)
미노이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 4
파일:동감(2022) OST Part 4.jpg
2022. 11. 06. 개똥벌레 이무진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 5
파일:동감(2022) OST Part 5.jpg
2022. 11. 14. 늘 지금처럼 VIVIZ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 6
파일:동감(2022) OST Part 6.jpg
2022. 11. 16. 편지 윤하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Part 7
파일:동감(2022) OST Part 7.jpg
2022. 11. 25. 너를 위해 황치열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 평가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f0558><bgcolor=#ff0558> 파일:왓챠피디아 로고 화이트.svg ||
별점 2.4 / 5.0



||<-2><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ordercolor=#101322><#101322><tablebgcolor=#fff,#191919> 파일:키노라이츠 화이트 로고.svg ||
지수 50.7% 별점 / 5.0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bgcolor=#03cf5d><tablebordercolor=#03cf5d><tablebgcolor=#fff,#191919>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display:215970"
{{{#!wiki style="display:none; display: inline-block; display: 215970; margin:-5px -9px"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215970|{{{#!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기자·평론가
5.33 / 10
관람객
6.60 / 10
네티즌
6.12 / 10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5px -9px"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wiki style="display:inline-block; vertical-align:middle"
{{{#!wiki style="margin:-10px 0; width:calc(100% + 16px - 1em)"
<table width=100%><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tablecolor=#000,#fff>
기자·평론가
5.33 / 10
관람객
6.60 / 10
네티즌
6.12 / 10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2d2f34><tablebgcolor=#fff,#191919> 파일:다음 로고.svg ||
평점 6.3 / 1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F84C4D><tablebordercolor=#F84C4D><tablebgcolor=#fff,#191919>
파일:CGV 로고 화이트.svg
||
지수 84%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px><:><bgcolor=#da291c><tablebordercolor=#da291c><tablebgcolor=#fff,#191919> 파일:롯데시네마 로고 영문 백색.svg ||
평점 8.8 / 10


||<table align=center><table width=480><bgcolor=#3c2a78><tablebordercolor=#3c2a78><tablebgcolor=#fff,#191919><:> 파일:메가박스 로고 화이트.svg ||
평점 7.9 / 10

  • 상대적으로 원작보다 못한 작품이라는 평가가 우세하고. 하지만 듀나의 경우 원작보다 나아진 점을 들며 별 4개 만점에 3개 평가를 주기도 했다. OST가 인상적이라는 건 공통적으로 인정하는 부분.
  • 유지태가 말하는 연기 잘하는 후배: 류준열, 여진구, 김혜윤.#

9. 흥행

9.1. 대한민국

<colbgcolor=#CAA9BF><colcolor=#DFF5FB>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rowcolor=#DFF5FB> 주차 날짜 일일 관람 인원 주간 합계 인원 순위 일일 매출액 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 12,570명 12,570명 미집계 113,698,000원 113,698,000원
1주차 2022-11-16. 1일차(수) 56,742명 329,007명 3위 539,797,418원 3,226,606,439원
2022-11-17. 2일차(목) 54,829명 3위 509,761,805원
2022-11-18. 3일차(금) 43,319명 3위 425,794,972원
2022-11-19. 4일차(토) 71,019명 3위 726,798,814원
2022-11-20. 5일차(일) 63,112명 3위 650,305,467원
2022-11-21. 6일차(월) 20,360명 3위 192,973,573원
2022-11-22. 7일차(화) 19,626명 3위 181,174,390원
2주차 2022-11-23. 8일차(수) 17,586명 117,610명 4위 154,912,440원 1,148,664,025원
2022-11-24. 9일차(목) 11,638명 4위 106,556,978원
2022-11-25. 10일차(금) 15,490명 4위 150,006,507원
2022-11-26. 11일차(토) 30,663명 4위 320,008,476원
2022-11-27. 12일차(일) 27,566명 4위 283,447,695원
2022-11-28. 13일차(월) 6,601명 4위 58,678,061원
2022-11-29. 14일차(화) 8,066명 4위 75,053,868원
3주차 2022-11-30. 15일차(수) 2,950명 24,955명 11위 22,629,292원 218,694,771원
2022-12-01. 16일차(목) 1,810명 12위 17,023,195원
2022-12-02. 17일차(금) 4,106명 9위 30,738,707원
2022-12-03. 18일차(토) 5,725명 11위 49,756,901원
2022-12-04. 19일차(일) 8,531명 9위 82,076,338원
2022-12-05. 20일차(월) 880명 12위 8,126,690원
2022-12-06. 21일차(화) 953명 15위 8,343,648원
4주차 2022-12-07. 22일차(수) 776명 4,811명 20위 5,755,899원 36,993,265원
2022-12-08. 23일차(목) 915명 19위 6,216,896원
2022-12-09. 24일차(금) 774명 18위 5,514,194원
2022-12-10. 25일차(토) 894명 24위 7,524,493원
2022-12-11. 26일차(일) 894명 23위 7,429,697원
2022-12-12. 27일차(월) 280명 29위 2,290,594원
2022-12-13. 28일차(화) 278명 26위 2,261,492원
5주차 2022-12-14. 29일차(수) 157명 1,012명 23위 1,184,000원 8,792,000원
2022-12-15. 30일차(목) 166명 27위 1,691,300원
2022-12-16. 31일차(금) 45명 55위 471,500원
2022-12-17. 32일차(토) 166명 23위 1,800,200원
2022-12-18. 33일차(일) 343명 16위 2,293,500원
2022-12-19. 34일차(월) 64명 37위 651,900원
2022-12-20. 35일차(화) 71명 44위 699,600원
6주차 2022-12-21. 36일차(수) 9명 180명 64위 88,000원 1,809,200원
2022-12-22. 37일차(목) 5명 78위 61,500원
2022-12-23. 38일차(금) 16명 56위 184,600원
2022-12-24. 39일차(토) 45명 41위 467,500원
2022-12-25. 40일차(일) 66명 30위 616,100원
2022-12-26. 41일차(월) 26명 49위 260,500원
2022-12-27. 42일차(화) 13명 59위 131,000원
합계 누적관객수 490,145명, 누적매출액 4,755,257,700원[최종]

10. 기타

  • 티저 포스터의 색감구도가 원작 20주년 기념 재개봉 포스터와 비슷하다.
    파일:동감(영화) 재개봉 포스터.jpg 파일:동감(2022) 티저 포스터.jpg

    2020 재개봉 포스터 2022 티저 포스터
  • 한국아마추어무선연맹과 한국아마추어무선연맹 서울본부에서 촬영에 쓰일 무전기와 아마추어 무선에서 교신증으로 쓰이는 QSL 카드[6]를 대여했다. 무전기는 켄우드(Kenwood) 사의 TS-900을 대여했고, QSL 카드는 해외와 교신한 뒤 받은 실제 QSL 카드들과 한국아마추어무선연맹 서울본부의 QSL 카드[7]를 대여했다. 엔딩 크레딧의 '미술 / 소품 협찬'에 한국아마추어무선연맹이 적혀 있고, '제작에 도움 주신 분들'에도 관계자들의 성명이 적혀 있다.
  • 이 영화는 개기월식이 일어난 밤에 1999년의 남자 주인공과 2022년의 여자 주인공이 무전으로 연결되어 소통하는 내용인데, 실제 개기월식이 일어난 2022년 11월 8일에 시사회를 개최하였다.
  • 무늬 역의 조이현과 한여름 역의 김보윤은 넷플릭스 드라마 《지금 우리 학교는》 이후로 10개월만에 같은 작품에 출연한다.
  • 극 중 김용이 동감 원작의 주인공인 유지태가 나온 주유소 습격사건을 보러 갔으며, 스크린에 유지태가 등장했다. 엔딩 크레딧의 '제작에 도움 주신 분들'에 유지태의 이름이 가장 먼저 적혀 있다.
  • 2000년 원작과 일본, 중국 리메이크 버전

11. 외부 링크


[A] 2023년 2월 17일 공개.[A] [3] 등급분류 결정내용: 주먹다짐 장면이나 음주, 흡연장면, 그 외 약간의 욕설, 비속어 사용 장면 등이 간결하게 표현되어 폭력성, 약물 및 대사 요소의 유해성이 보통인 12세이상관람가
(내용정보 표시항목: 파일:영등위_폭력성_2021.svg파일:영등위_대사_2021.svg파일:영등위_약물_2021.svg)
[4] 포스터의 '다른 시간 속 우리가 연결되었다'라는 문구의 폰트가 다르다. 1999년 시점인 왼쪽은 명조체를, 2022년 시점인 오른쪽은 고딕체를 사용하였다.[최종] ~ 2022/12/27 기준[6] 김용과 서한솔이 같이 들른 HAM 동아리실 내외부에 덕지덕지 붙은 엽서 크기의 카드를 얘기한다.[7] HAM 동아리실 내부를 비추는 장면에서 선반에 붙어 있다. 좌측 무전기에는 서울본부의 로고 스티커가 붙어 있는 모습도 볼 수 있다.[8] 펌프 장면에 등장하는 Beethoven Virus는 2000년 말에 등장한 곡으로 고증 면에서는 옥에 티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