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9 22:36:34

라디슬라프 크레이치(1999)


1 주제 사 · 2 도허티 · 3 부에노 · 4 S. 부에노 · 5 무네치 · 6 올페 · 7 안드레 · 8 고메스
9 스트란 라르센 · 10 J. 아리아스 · 11 황희찬 · 12 아그바두 · 14 톨루 · 15 모스케라
21 R. 고메스 · 23 치레와 · [[토티 고메스|24 토티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db913; font-size: .8em"]] · 25 벤틀리 · 26 후버르 · 27 벨가르드
28 페르 로페스 · 30 곤살레스31 존스톤 · 36 마네 · 37 크레이치 · 38 차추아
파일:UEFA POR.png 비토르 페레이라
※본 문서는 간략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파일:2526-ladislav-krejci.webp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No. 37
라디슬라프 크레이치
Ladislav Krejčí
<colbgcolor=#fdb913,#fdb913><colcolor=#231f20,#231f20> 출생 1999년 4월 20일 ([age(1999-04-20)]세)
체코 남모라바주 로시체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체코|{{{#!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체코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체코}}}{{{#!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90cm, 체중 86kg
포지션 센터백, 미드필더[1]
주발 왼발
소속 <colbgcolor=#fdb913,#fdb913><colcolor=#231f20,#231f20> 유스 FC 슬로반 로시체 (2006~2008)
FC 즈브로요프카 브르노 (2008~2011)
FC 슬로반 로시체 (2011~2012)
FC 즈브로요프카 브르노 (2012~2016)
프로 FC 즈브로요프카 브르노 (2016~2019)
AC 스파르타 프라하 (2019~2024)
지로나 FC (2024~ )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2025~ / 임대)
국가대표 21경기 3골 (체코 / 2022~ )[2]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db913,#fdb913><colcolor=#231f20,#231f20> 역대 등번호 <colbgcolor=#ffffff,#1c1d1f>체코 축구 국가대표팀 - 7번
FC 즈브로요프카 브르노 - 11번
AC 스파르타 프라하 - 37번
지로나 FC - 18번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 17번
}}}}}}}}} ||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여담6. 같이 보기

1. 개요

체코 국적의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소속 축구 선수. 포지션은 센터백이다.

2. 클럽 경력

2.1. FC 즈브로요프카 브르노

남모라바주 로시체에서 태어나 지역팀 FC 슬로반 로시체와 FC 즈브로요프카 브르노의 유소년 팀에서 성장했다. 그리고 2016년 10월 2일, 스파르타 프라하와의 1부리그 경기를 통해 프로 무대에 데뷔했다.

어린 나이에 빠르게 메인 스쿼드에 자리잡으면서 조금씩 출전 기회를 늘려나갔으며, 2부 리그로 강등된 2018-19 시즌부터 주전으로 완벽히 발돋움했다.

2.2. AC 스파르타 프라하

2019년 6월 9일, 스파르타 프라하와 4년 계약을 체결했다.

첫 시즌부터 레귤러로 자리잡았으며, 다음 시즌부터는 페널티킥을 전담할 정도의 좋은 킥력과 훌륭한 고공 능력을 바탕으로 리그에서 8골, 컵대회까지 포함해서 무려 11골을 성공시켰다.

2022-23 시즌을 앞두고는 보르젝 도츠칼이 은퇴를 하면서 주장 완장을 이어받았고, 주장으로서 팀을 훌륭히 이끌며 2014년 이후 오래간만에 스파르타가 리그 타이틀 획득하는데 기여했다. 시즌 종료 후 공을 인정받아 리그 협회에서 선정한 올해의 미드필더상을 수상했다.

다음 시즌도 우승을 차지하면서 주장으로서 리그 2연패를 달성했다. 다만, 24R 빅토리아 플젠전에서 경고 누적으로 시즌 두 번째 퇴장을 당하면서 스파르타에 입단한 이래로 5개의 레드카드를 수집하며 구단 역사상 최다 레드카드 수집자라는 불명예 기록을 쓰기도 했다.

2.3. 지로나 FC

현지 시간 2024년 6월 14일, 지로나 FC가 크레이치 영입을 공식 발표하였다.# 계약 기간은 5년, 이적료는 €8m+3m로 추정된다.

2.3.1. 2024-25 시즌

리그 1R 레알 베티스와의 원정 경기에 후반 36분 교체 출전하면서 데뷔전을 치렀다. 결과는 1:1 무승부.

14R 에스파뇰전에서는 전반 27분 코너킥 상황에서 판더베이크의 머리를 맞고 흐른 볼을 침착하게 왼발로 골문에 밀어넣으면서 데뷔골을 기록했고, 4:1 승리를 이끌었다. 이후 다음 경기인 15R 비야레알전에서도 골을 넣으면서 2경기 연속 득점을 기록했다. 경기는 2:2 무승부를 끝났다.

8월 중순부터 울버햄튼 원더러스 FC와 링크가 뜨고 있다.

2.4.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2025년 8월 28일, 울버햄튼 원더러스 FC로의 이적이 공식 발표되었다. 1시즌 임대에 일정 조건을 달성하면 완전 이적하게 된다. 이적 시 계약 기간은 2030년까지다.

2.4.1. 2025-26 시즌 (임대)

3. 국가대표 경력

연령대 대표팀을 두루 거쳐왔으며, 거쳐간 대표팀마다 주전 멤버로 활약해왔다.

2022년 3월, 월드컵 지역예선 플레이오프를 앞두고 처음으로 성인 대표팀에 소집되었다. 그리고 3월 24일, 스웨덴과의 플레이오프 준결승전에서 후반 막판에 안토닌 바라크 대신 교체 투입되며 데뷔전을 치렀다. 이후 팀은 연장에서 결승골을 먹히며 결승 진출이 좌절되었다.

2023년 3월 25일, UEFA 유로 2024 예선 폴란드전에서 데뷔골을 넣었다.

4. 플레이 스타일

왼발잡이 센터백으로, 수비형 미드필더 포지션 또한 소화가 가능하다.

정확하고 높은 타점의 위협적인 고공 능력이 가장 큰 장점이며, 발도 빠른 편이어서 라인을 올리는 상황에서도 장점을 잘 활용할 수 있다. 스파르타 프라하에서 페널티킥 키커를 전담했을 정도로 킥력 또한 우수하며 발밑 또한 매우 좋은 편이라 후방에서 탈압박을 하거나 앞선에 있는 선수에게 롱패스를 보여주는 장면 또한 자주 연출한다. 장점만 보자면 육각형에 매우 가까운 중앙 수비수이며 신체적인 능력 또한 매우 좋은 편이기에 많은 기대를 받고 있다.

다만, 중앙 수비수로서의 가장 큰 단점은 집중력. 위험한 태클로 카드 수집을 자주 해서 팀을 위기로 몰아넣는 장면이 자주 나올 뿐만 아니라 후방 빌드업 과정에서 해서는 안 되는 패스미스를 자주 저질러서 불안한 모습을 꽤나 자주 보여준다. 이런 프로필을 가진 어린 왼발잡이 중앙 수비수가 겨우 9M이라는 싼 가격에 지로나행을 택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이다.

다행히 지로나에 온 뒤로는 이런 단점은 개선되어서 리그 상위권의 패스 수와 성공률을 보여주었다. 실수를 줄이고 성장한다면 S급의 평가를 받는 중앙 수비수가 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선수이다.

5. 여담

6. 같이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2025-26 시즌 스쿼드
파일:2526-jose-sa.webp
파일:2526-matt-doherty.webp
파일:2526-hugo-bueno.webp
파일:2526-marshall-munetsi.webp
1 2 3 4 5
주제 사
José Sá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GK
1993.01.17 ([age(1993-01-17)])
2021~2026
맷 도허티
Matt Doherty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 DF
1992.01.16 ([age(1992-01-16)])
2023~2026
우고 부에노
Hugo Bueno

파일:스페인 국기.svg | DF
2002.09.18 ([age(2002-09-18)])
2022~2028
산티아고 부에노
Santiago Bueno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 DF
1998.11.09 ([age(1998-11-09)])
2023~2028
마셜 무네치
Marshall Munetsi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 MF
1996.06.22 ([age(1996-06-22)])
2025~2028
파일:2526-david-moller-wolfe.webp
파일:2526-andre.webp
파일:2526-joao-gomes.webp
파일:2526-jorgen-strand-larsen.webp
파일:2526-jhon-arias.webp
6 7 8 9 10
데이비드 묄레르 올페
David Møller Wolfe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DF
2002.04.23 ([age(2002-04-23)])
2025~2030
안드레
André

파일:브라질 국기.svg | MF
2001.06.16 ([age(2001-06-16)])
2024~2029
주앙 고메스
João Gomes

파일:브라질 국기.svg | MF
2001.02.12 ([age(2001-02-12)])
2023~2030
예르겐 스트란 라르센
Jørgen Strand Larsen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FW
2000.02.06 ([age(2000-02-06)])
2025~2029
존 아리아스
Jhon Arias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 FW
1997.09.21 ([age(1997-09-21)])
2025~2029
파일:2526-hee-chan-hwang.webp
파일:2526-emmanuel-agbadou.webp
파일:2526-tolu-arokodare.webp
파일:2526-yerson-mosquera.webp
파일:2526-rodrigo-gomes.webp
11 12 14 15 21
황희찬
Hee Chan Hwa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1996.01.26 ([age(1996-01-26)])
2022~2028
에마뉘엘 아그바두
Emmanuel Agbadou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 DF
1997.06.17 ([age(1997-06-17)])
2025~2029
톨루 아로코다레
Tolu Arokodare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 FW
2000.11.23 ([age(2000-11-23)])
2025~2029
제르손 모스케라
Yerson Mosquera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 DF
2001.05.02 ([age(2001-05-02)])
2021~2030
호드리구 고메스
Rodrigo Gomes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MF
2003.07.07 ([age(2003-07-07)])
2024~2029
파일:2526-tawanda-chirewa.webp
파일:2526-toti.webp
파일:2526-dan-bentley.webp
파일:2526-ki-jana-hoever.webp
파일:2526-jean-ricner-bellegarde.webp
23 24 25 26 27
타완다 치레와
Tawanda Chirewa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 FW
2003.10.12 ([age(2003-10-12)])
2023~2027
토티 고메스
Toti Gomes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DF
1999.01.16 ([age(1999-01-16)])
2020~2027
대니얼 벤틀리
Daniel Bentley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GK
1993.07.13([age(1993-07-13)])
2023~2027
키야나 후버르
Ki-Jana Hoever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DF
2002.01.18 ([age(2002-01-18)])
2020~2026
장리크네르 벨가르드
Jean-Ricner Bellegarde

파일:아이티 국기.svg | MF
1998.06.27 ([age(1998-06-27)])
2023~2028
파일:2526-fer-lopez.webp
파일:2526-sam-johnstone.webp
파일:2526-mateus-mane.webp
파일:2526-ladislav-krejci.webp
28 30 31 36 37
페르 로페스
Fer López

파일:스페인 국기.svg | FW
2004.05.24 ([age(2004-05-24)])
2025~2030
엔소 곤살레스
Enso González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 FW
2005.01.20 ([age(2005-01-20)])
2023~2029
샘 존스톤
Sam Johnstone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GK
1993.03.25 ([age(1993-03-25)])
2024~2028
마테우스 마네
Mateus Mané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FW
2007.09.16 ([age(2007-09-16)])
2025~2027
라디슬라프 크레이치
Ladislav Krejčí

파일:체코 국기.svg | DF
1999.04.20 ([age(1999-04-20)])
2025~2026[1]
파일:2526-jackson-tchatchoua.webp
38
잭슨 차추아
Jackson Tchatchoua

파일:카메룬 국기.svg | DF
2001.09.14 ([age(2001-09-14)])
2025~2030
구단 정보
구단주: 곽광창 / 감독: 비토르 페레이라 / 홈구장: 몰리뉴 스타디움
출처: 구단 공식 웹사이트 / 최종 수정 일자: 2025년 9월 5일

[1] 지로나 FC에서 임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소속 클럽
GK 1 알레시 만도우스
Aleš Mandous
1992년 4월 21일 ([age(1992-04-21)]세) 4 0 파일:체코 국기.svg SK 슬라비아 프라하
16 인드르지흐 스타네크
Jindřich Staněk
1996년 4월 27일 ([age(1994-04-27)]세) 8 0 파일:체코 국기.svg SK 슬라비아 프라하
23 마테이 코바르시
Matěj Kovář
2000년 5월 17일 ([age(2000-05-17)]세) 0 0 파일:독일 국기.svg 바이어 04 레버쿠젠
DF 2 파트리치오 스트로나티
(Patrizio Stronati)
1994년 11월 17일 ([age(1994-11-17)]세) 4 1 파일:헝가리 국기.svg 푸슈카시 아카데미아 FC
3 토마시 홀레시
Tomáš Holeš
1993년 3월 31일 ([age(1993-03-31)]세) 26 2 파일:체코 국기.svg SK 슬라비아 프라하
4 다비트 지마
David Zima
2000년 11월 8일 ([age(2000-11-08)]세) 19 0 파일:체코 국기.svg SK 슬라비아 프라하
5 토마시 페트라셰크
Tomáš Petrášek
1992년 3월 2일 ([age(1992-03-02)]세) 5 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전북 현대 모터스
6 마르틴 비티크
Martin Vitík
2003년 1월 21일 ([age(2003-01-21)]세) 1 0 파일:체코 국기.svg AC 스파르타 프라하
15 다비드 유라세크
David Jurásek
2000년 8월 7일 ([age(2000-08-07)]세) 5 0 파일:독일 국기.svg TSG 1899 호펜하임
18 다비트 두체라
David Douděra
1998년 5월 31일 ([age(1998-05-31)]세) 6 1 파일:체코 국기.svg SK 슬라비아 프라하
- 야쿠프 브라베츠
Jakub Brabec
1992년 8월 6일 ([age(1992-08-06)]세) 41 2 파일:그리스 국기.svg 아리스 테살로니키 FC
- 알레시 마체유
Ales Mateju
1996년 6월 3일 ([age(1996-06-03)]세) 15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스페치아 칼초
- 블라디미르 초우팔
Vladimír Coufal
1992년 8월 22일 ([age(1992-08-22)]세) 40 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MF 8 미할 사딜레크
Michal Sadílek
1999년 5월 31일 ([age(1999-05-31)]세) 21 1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FC 트벤터
12 루카시 마소푸스트
Lukáš Masopust
1993년 2월 12일 ([age(1993-02-12)]세) 34 2 파일:체코 국기.svg SK 슬라비아 프라하
14 루카시 프로보드
Lukáš Provod
1996년 10월 23일 ([age(1996-10-23)]세) 16 2 파일:체코 국기.svg SK 슬라비아 프라하
20 온드르제이 린그르
Ondřej Lingr
1998년 10월 7일 ([age(1998-10-07)]세) 11 0 파일:미국 국기.svg 휴스턴 다이너모 FC
21 알렉스 크랄
Alex Král
1998년 5월 19일 ([age(1998-05-19)]세) 39 2 파일:스페인 국기.svg RCD 에스파뇰
22 토마시 소우체크 파일:주장 아이콘.svg
Tomáš Souček
1995년 2월 27일 ([age(1995-02-27)]세) 66 12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15 파벨 슐츠
Pavel Šulc
2000년 12월 29일 ([age(2000-12-29)]세) 14 4 파일:프랑스 국기.svg 올랭피크 리옹
- 야쿠프 얀크토
Jakub Jankto
1996년 1월 19일 ([age(1996-01-19)]세) 45 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CF 피오렌티나
FW 7 라디슬라프 크레이치
Ladislav Krejčí
1999년 4월 20일 ([age(1999-04-20)]세) 1 0 파일:스페인 국기.svg 지로나 FC
9 아담 흘로제크
Adam Hložek
2002년 7월 25일 ([age(2002-07-25)]세) 34 2 파일:독일 국기.svg TSG 1899 호펜하임
10 모이미르 히틸
Mojmír Chytil
1999년 4월 29일 ([age(1999-04-29)]세) 11 4 파일:체코 국기.svg SK 슬라비아 프라하
13 토마시 츠반차라
Tomáš Čvančara
2000년 8월 13일 ([age(2000-08-13)]세) 6 1 파일:독일 국기.svg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
17 바츨라프 체르니
Václav Černý
1997년 10월 17일 ([age(1997-10-17)]세) 15 5 파일:독일 국기.svg VfL 볼프스부르크
19 토마시 호리
Tomáš Chorý
1995년 1월 26일 ([age(1995-01-26)]세) 1 1 파일:체코 국기.svg FC 빅토리아 플젠
- 파트리크 쉬크
Patrik Schick
1996년 1월 24일 ([age(1996-01-24)]세) 35 18 파일:독일 국기.svg 바이어 04 레버쿠젠
- 얀 쿠흐타
Jan Kuchta
1997년 1월 8일 ([age(1997-01-08)]세) 20 2 파일:체코 국기.svg AC 스파르타 프라하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2월 24일 }}}}}}}}}

1 스타네크 · 2 지마 · 3 홀레시 · 4 흐라냐치 · 5 초우팔 · 6 비티크 · 7 바라크 · 8 셰프치크 · 9 흘로제크
10 시크 · 11 쿠흐타 · 12 두체라 · 13 히틸 · 14 프로보드 · 15 유라세크 · 16 코바르시 · 17 체르니 · 18 크레이치
19 호리 · 20 린그르 · 21 체르브 · 22 소우체크 · 23 야로스 · 24 블체크 · 25 슐츠 · 26 유라세크
파일:UEFA EURO CZE.png 이반 하셰크

[1] 수비형 미드필더, 중앙 미드필더[2] 2025년 9월 6일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