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
가나 | 가봉 | 감비아 | 기니 | |
기니비사우 | 나미비아 | 나이지리아 | 남수단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레소토 | |
레위니옹 | 르완다 | 리비아 | 마다가스카르 | |
말라위 | 말리 | 모로코 | 모리셔스 | |
모리타니 | 모잠비크 | 베냉 | 보츠와나 | |
부르키나파소 | 부룬디 | 상투메 프린시페 | 세네갈 | |
세이셸 | 소말리아 | 수단 | 시에라리온 | |
알제리 | 앙골라 | 에리트레아 | 에스와티니 |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이집트 | 잔지바르 | |
잠비아 | 적도 기니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지부티 | |
짐바브웨 | 차드 | 카메룬 | 카보베르데 | |
케냐 | 코모로 | 코트디부아르 | 콩고 공화국 | |
콩고 민주 공화국 | 탄자니아 | 토고 | 튀니지 | |
남자 · 여자 · 풋살 | 남자 · 여자 · 풋살 남자 · 여자 · 풋살| 남자 · 여자 · 풋살 남자 · 여자 · 풋살 | 남자 · 여자 · 풋살 | ||||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 |
레위니옹 축구 국가대표팀 | |
Équipe du Réunion de football | |
정식명칭 | Équipe du Réunion de football[1] |
FIFA 코드 | REU |
Elo 랭킹 | 124위[2] |
협회 | 레위니옹축구협회 (LRF) |
연맹 | 아프리카 축구 연맹 (CAF) |
감독 | 장 피에르 바드 (Jean-Pierre Bade) |
주장 | 베르트랑 바도르 (Bertrand Bador) |
최다출장자 | 장 미셸 퐁텐 (Jean-Michel Fontaine) - 29경기 |
최다득점자 | 장 미셸 퐁텐 (Jean-Michel Fontaine) - 15골 |
홈 구장 | 스타드 장-이불라 (Stade Jean-Ivoula, 7,500석) |
첫 국제경기 출전 | VS 마다가스카르 (2:4 패), 마다가스카르 (1947년) |
최다 점수차 승리 | (비공식) VS 생피에르 미클롱 (11:0 승), 프랑스 생 그라티엔 (2010년 9월 22일) (공식) VS 몰디브 (9:0 승), 레위니옹 생드니 (1979년 8월 28일) VS 몰디브 (9:0 승), 모리셔스 쿠레피페 (1985년 8월 30일) |
최다 점수차 패배 | VS 모리셔스 (2:15 패), 마다가스카르 (1950년) |
별칭 | Club R (클럽 R) |
유니폼 | 홈 | 어웨이 |
<colcolor=#000000> 상의 | 초록 | 하양 |
하의 | 초록 | 하양 |
양말 | 빨강 | 하양 |
[clearfix]
1. 개요
레위니옹의 축구 국가대표팀. 홈구장은 스타드 장-이불라이며 감독은 장-피에르 바데 (Jean-Pierre Bade)이다. 클럽 R(Club R)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프랑스의 해외 준주이므로 프랑스 축구 협회에 속하기 때문에 FIFA 비회원국이며 아프리카 축구 연맹에서는 준회원국 자격을 갖추고 있어 월드컵과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 출전할 수 없는 상태다.루도빅 아조르케가 레위니옹 출신이라 이론적으로 이 국가대표팀으로 뛰는 게 가능하다.
2. 역대전적
2.1.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rowcolor=#000000>연도 | 라운드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수단 1957 | 준회원국 | |||||||||
이집트 1959 | 준회원국 | |||||||||
에티오피아 1962 | 준회원국 | |||||||||
가나 1963 | 준회원국 | |||||||||
튀니지 1965 | 준회원국 | |||||||||
에티오피아 1968 | 준회원국 | |||||||||
수단 1970 | 준회원국 | |||||||||
카메룬 1972 | 준회원국 | |||||||||
이집트 1974 | 준회원국 | |||||||||
에티오피아 1976 | 준회원국 | |||||||||
가나 1978 | 준회원국 | |||||||||
나이지리아 1980 | 준회원국 | |||||||||
리비아 1982 | 준회원국 | |||||||||
코트디부아르 1984 | 준회원국 | |||||||||
이집트 1986 | 준회원국 | |||||||||
모로코 1988 | 준회원국 | |||||||||
알제리 1990 | 준회원국 | |||||||||
세네갈 1992 | 준회원국 | |||||||||
튀니지 1994 | 준회원국 | |||||||||
남아공 1996 | 준회원국 | |||||||||
부르키나파소 1998 | 준회원국 | |||||||||
가나/나이지리아 2000 | 준회원국 | |||||||||
말리 2002 | 준회원국 | |||||||||
튀니지 2004 | 준회원국 | |||||||||
이집트 2006 | 준회원국 | |||||||||
가나 2008 | 준회원국 | |||||||||
앙골라 2010 | 준회원국 | |||||||||
가봉/적도기니 2012 | 준회원국 | |||||||||
남아공 2013 | 준회원국 | |||||||||
적도기니 2015 | 준회원국 | |||||||||
가봉 2017 | 준회원국 | |||||||||
이집트 2019 | 준회원국 | |||||||||
카메룬 2021 | 준회원국 | |||||||||
코트디부아르 2023 | 준회원국 | |||||||||
모로코 2025 | 준회원국 | |||||||||
케냐/탄자니아/우간다 2027 | 준회원국 | |||||||||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0 | 0 | 0 | 0 | 0 | 0 | 0 |
[1] 프랑스어[2] 2024년 12월 22일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