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29 23:41:45

에스와티니 축구 국가대표팀

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아프리카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파일:가나 국기.svg
파일:가봉 국기.svg
파일:감비아 국기.svg
파일:기니 국기.svg
가나
가봉
감비아
기니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파일:남수단 국기.svg
기니비사우
나미비아
나이지리아
남수단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니제르 국기.svg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파일:레소토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니제르
라이베리아
레소토
파일:레위니옹 기(기학 협회 제안).svg
파일:르완다 국기.svg
파일:리비아 국기.svg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레위니옹
르완다
리비아
마다가스카르
파일:말라위 국기.svg
파일:말리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말라위
말리
모로코
모리셔스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파일:베냉 국기.svg
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모리타니
모잠비크
베냉
보츠와나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파일:부룬디 국기.svg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파일:세네갈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부룬디
상투메 프린시페
세네갈
파일:세이셸 국기.svg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세이셸
소말리아
수단
시에라리온
파일:알제리 국기.svg
파일:앙골라 국기.svg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알제리
앙골라
에리트레아
에스와티니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파일:우간다 국기.svg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잔지바르 국기.svg
에티오피아
우간다
이집트
잔지바르
파일:잠비아 국기.svg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지부티 국기.svg
잠비아
적도 기니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지부티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파일:차드 국기.svg
파일:카메룬 국기.svg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짐바브웨
차드
카메룬
카보베르데
파일:케냐 국기.svg
파일:코모로 국기.svg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케냐
코모로
코트디부아르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파일:토고 국기.svg
파일:튀니지 국기.svg
콩고 민주 공화국
탄자니아
토고
튀니지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 파일:남부아프리카축구연맹.png남부아프리카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
{{{#!wiki style="color:#fff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6px -1px -11px"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레소토 국기.svg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파일:말라위 국기.svg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나미비아
남아프리카공화국
레소토
마다가스카르
말라위
모리셔스
모잠비크
파일:보츠와나 국기.svg
파일:세이셸 국기.svg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파일:앙골라 국기.svg
파일:잠비아 국기.svg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파일:코모로 국기.svg
보츠와나
세이셸
에스와티니
앙골라
잠비아
짐바브웨
코모로
}}}}}}}}} ||
파일:Eswatini_Football_Association.png
에스와티니 축구 국가대표팀
Sihlangu Semnikati
정식명칭 Sihlangu Semnikati[1]
Eswatini national football team[2]
FIFA 코드 SWZ
FIFA 랭킹 159위[3]
Elo 랭킹 158위[4]
협회 에스와티니 축구 협회 (EFA)
연맹 아프리카 축구 연맹 (CAF)
지역연맹 남아프리카 축구 연맹 (COSAFA)
감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에스와티니|{{{#!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에스와티니}}}{{{#!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시피소 은티바네 (Sifiso Ntibane)
주장 시야본가 음드룰리 (Siyabonga Mdluli)
최다출전자 토니 차베제 (Tony Tsabedze) - 72경기
최다득점자 토니 차베제 (Tony Tsabedze) - 17골
홈 구장 솜흘롤로 국립 경기장 (Somhlolo National Stadium, 20,000석)
첫 국제경기 출전 VS 파일:말라위 국기.svg 말라위 (2:0 승)
파일:영국 국기.svg 스와질란드 (1968년 5월 1일)
최다 점수차 승리 VS 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 (6:0 승)
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 (2015년 10월 9일)
최다 점수차 패배 VS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0:10 패)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2013년 3월 22일)
별칭 Sihlangu Semnikati (왕의 방패)
유니폼 어웨이
상의 하늘 하양
하의 하늘 하양
양말 노랑 하양
1. 개요2. 역대전적

1. 개요

에스와티니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FIFA 랭킹 최고 순위는 88위(2017년 4월 6일 ~ 5월 31일), 최저 순위는 190위(2012년 9월 5일 ~ 11월 6일)이다.

홈구장은 솜흘롤로 국립 경기장이며 감독은 도미닉 쿠네네이다. 왕의 방패(Sihlangu Semnikati)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아직까지 월드컵과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본선에 진출한 기록은 없다.

과거 벨기에 1부리그 메헬렌에서 뛰었던 데니스 마시나가 이 국가 소속이다.

2. 역대전적

2.1. FIFA 월드컵

<rowcolor=#fff> 연도 결과 순위 경기 승점 득점 실점
영국의 식민지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930 우루과이
독립 이전(영국령 스와질랜드)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1934 이탈리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1938 프랑스
파일:브라질 국기.svg
1950 브라질
파일:스위스 국기.svg
1954 스위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1958 스웨덴
파일:칠레 국기.svg
1962 칠레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66 잉글랜드
※ 에스와티니 왕국
파일:멕시코 국기.svg
1970 멕시코
축구 협회 창립 이전
파일:독일 국기.svg
1974 서독
불참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78 아르헨티나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2 스페인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6 멕시코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0 이탈리아
파일:미국 국기.svg
1994 미국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1998 프랑스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2002 한국·일본
파일:독일 국기.svg
2006 독일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0 남아공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4 브라질
파일:러시아 국기.svg
2018 러시아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2 카타르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2026 캐나다/멕시코/미국
? ? ? ? ? ? ? ? ?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2030 스페인/포르투갈/모로코
? ? ? ? ? ? ? ?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34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합계 본선진출 없음

2.2. 네이션스컵

<rowcolor=#fff> 대회 결과 순위 경기 득점 실점 승점
영국의 식민지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1956-1970).svg
1957
독립 이전(영국령 스와질랜드)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1959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1962
파일:가나 국기.svg
1963
파일:튀니지 국기.svg
1965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1968
※ 에스와티니 왕국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1956-1970).svg
1970
CAF 비회원국
파일:Flag_of_Cameroon_(1961-1975).svg
1972
파일:이집트 국기(1972-1984).svg
1974
파일:에티오피아 국기(1975-1987).svg
1976
파일:가나 국기.svg
1978
불참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1980
불참
파일: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 국기.svg
1982
불참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1984
기권
파일:이집트 국기.svg
1986
예선 탈락
파일:모로코 국기.svg
1988
불참
파일:알제리 국기.svg
1990
예선 탈락
파일:세네갈 국기.svg
1992
예선 탈락
파일:튀니지 국기.svg
1994
불참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1996
기권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1998
불참
파일:가나 국기.svg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2000
예선 탈락
파일:말리 국기.svg
2002
예선 탈락
파일:튀니지 국기.svg
2004
예선 탈락
파일:이집트 국기.svg
2006
예선 탈락
파일:가나 국기.svg
2008
예선 탈락
파일:앙골라 국기.svg
2010
예선 탈락
파일:가봉 국기.svg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2012
예선 탈락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3
기권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2015
예선 탈락
파일:가봉 국기.svg
2017
예선 탈락
파일:이집트 국기.svg
2019
예선 탈락
파일:카메룬 국기.svg
2021
예선 탈락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2023
예선 탈락
파일:모로코 국기.svg
2025
예선 탈락
파일:케냐 국기.svg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파일:우간다 국기.svg
2027
? ? ? ? ? ? ? ? ?
합계 본선진출 없음


[1] 스와티어[2] 영어[3] 2024년 12월 19일 기준[4] 2024년 12월 22일 기준[24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