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
가나 | 가봉 | 감비아 | 기니 | |
기니비사우 | 나미비아 | 나이지리아 | 남수단 |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레소토 | |
레위니옹 | 르완다 | 리비아 | 마다가스카르 | |
말라위 | 말리 | 모로코 | 모리셔스 | |
모리타니 | 모잠비크 | 베냉 | 보츠와나 | |
부르키나파소 | 부룬디 | 상투메 프린시페 | 세네갈 | |
세이셸 | 소말리아 | 수단 | 시에라리온 | |
알제리 | 앙골라 | 에리트레아 | 에스와티니 |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이집트 | 잔지바르 | |
잠비아 | 적도 기니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지부티 | |
짐바브웨 | 차드 | 카메룬 | 카보베르데 | |
케냐 | 코모로 | 코트디부아르 | 콩고 공화국 | |
콩고 민주 공화국 | 탄자니아 | 토고 | 튀니지 | |
남자 · 여자 · 풋살 | 남자 · 여자 · 풋살 남자 · 여자 · 풋살| 남자 · 여자 · 풋살 남자 · 여자 · 풋살 | 남자 · 여자 · 풋살 | ||||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be0e0b> | 북부아프리카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wiki style="color:#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6px -1px -11px" | |||||
알제리 | 이집트 | 리비아 | 모로코 | 튀니지 | }}}}}}}}} |
튀니지 축구 국가대표팀 | |||
منتخب تونس لكرة القدم | |||
<colbgcolor=#ffffff> FIFA 코드 | TUN | ||
축구 협회 | 튀니지 축구 연맹 | ||
대륙 연맹 | 아프리카 축구 연맹 | ||
홈 경기장 | 스타드 아마디 아그레비 (Stade Hammadi Agrebi / 60,000석) | ||
별명 | Les Aigles de Carthage (카르타고의 독수리) | ||
감독 대행 | [[튀니지| ]][[틀:국기| ]][[틀:국기| ]] 카이스 야쿠비 (Kaïs Yaakoubi) | ||
주장 | C 유세프 음사크니 (Youssef Msakni) | ||
라이벌 | [[이집트| ]][[틀:국기| ]][[틀:국기| ]] 이집트 | ||
FIFA 랭킹 | 52위 (2024년 11월 28일 기준 / #) | ||
Elo 랭킹 | 60위 (2024년 11월 21일 기준 / #) | ||
공식 SNS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5px -10px -5px" {{{#ff0000 {{{#!folding [ 대표팀 기록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ffff> A매치 최다 출전 | 라디 자이디 (Radhi Jaïdi) - 105경기 / 7골 | |
A매치 최다 득점 | 이삼 제마 (Issam Jemâa) - 84경기 / 36골 | ||
월드컵 최다 득점 | 와흐비 카즈리 (Wahbi Khazri) - 3골 (2018, 2022) | ||
첫 국제경기 출전 | [[튀니지| ]][[틀:국기| ]][[틀:국기| ]] 튀니지 vs [[리비아| ]][[틀:국기| ]][[틀:국기| ]] 리비아 4:2 승 (튀니지 / 1957년 6월 2일) | ||
최다 점수차 승리 | [[튀니지| ]][[틀:국기| ]][[틀:국기| ]] 튀니지 vs [[대만| ]][[틀:국기| ]][[틀:국기| ]] 대만 8:1 승 (이탈리아 로마 / 1960년 8월 18일) | ||
[[튀니지| ]][[틀:국기| ]][[틀:국기| ]] 튀니지 vs [[토고| ]][[틀:국기| ]][[틀:국기| ]] 토고 7:0 승 (튀니지 튀니스 / 2000년 1월 7일) | |||
[[튀니지| ]][[틀:국기| ]][[틀:국기| ]] 튀니지 vs [[말라위| ]][[틀:국기| ]][[틀:국기| ]] 말라위 7:0 승 (튀니지 튀니스 / 2005년 3월 26일) | |||
[[튀니지| ]][[틀:국기| ]][[틀:국기| ]] 튀니지 vs [[지부티| ]][[틀:국기| ]][[틀:국기| ]] 지부티 8:1 승 (튀니지 라데스 / 2015년 6월 12일) | |||
최다 점수차 패배 | [[튀니지| ]][[틀:국기| ]][[틀:국기| ]] 튀니지 vs [[헝가리 축구 국가대표팀| 헝가리]] 1:10 패 (헝가리 부다페스트 / 1960년 7월 24일) |
{{{#!wiki style="color: #fff; margin: 5px -10px -5px" {{{#ff0000 {{{#!folding [ 대회별 성적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ffff> 세계대회 | ||
월드컵 | [진출] 6회[1] [최고] 9위/조별리그 (1978) | ||
컨페드컵 | [진출] 1회 [최고] 6위/조별리그 (2005) | ||
올림픽 | [진출] 4회 [최고] 13위/조별리그 (1988) | ||
대륙대회 | |||
네이션스컵 | [진출] 21회 [최고] (2004) | ||
아랍컵 | [진출] 2회 [최고] (1963) | ||
지중해 게임 | [진출] 12회 [최고] (2001) | ||
팬아랍 게임 | [진출] 2회 [최고] (1957) |
유니폼 컬러 | 홈 | 어웨이 | 서드 |
상의 | |||
하의 | 14 | 8 | 2 |
양말 |
[clearfix]
1. 개요
튀니지의 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FIFA 랭킹 최고 순위는 14위(2018년 4월 12일 ~ 6월 6일), 최저 순위는 65위(2010년 7월 14일)이다.'카르타고의 독수리(Les Aigles de Carthage)'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2. 플레이 스타일
피지컬은 좋으나 그게 전부다. 별로 실력이 없다. 때문에 어찌저찌 본선에 올라올 경우 같은 조에 튀니지가 걸린 다른 팀들이 환호를 할 정도이며 2018년 월드컵의 경우 여기에 파나마까지 같이 묶이는 바람에 벨기에와 잉글랜드가 월드컵을 16강부터 시작한다는 소리까지 들었다. 실제로도 벨기에가 3전 전승, 잉글랜드가 2승 1패를 기록하면서 사이좋게 16강 토너먼트에 진출하는 일이 벌어지자 진짜 16강부터 월드컵을 시작한 격이 되었다. 이 정도로 세계적인 경쟁력은 없는 팀이다.3. 특징
FIFA 월드컵에서는 2022년까지 6회 진출하였으며 1978년에[2] 아프리카 역사상 처음으로 월드컵 1승(멕시코를 3-1로 이겼다)을 거두며 1승 1무 1패 78월드컵 9위 성적을 거두었지만 아깝게 8강에 올라가지 못한 기록이 있다. 1998년부터 2006년까지 3회 연속 본선행을 이룬 바 있고 2010년 최종 예선에선 나이지리아와 같은 조가 되어 '독수리 더비 매치(카르타고의 독수리 튀니지 vs. 슈퍼이글스 나이지리아)'가 성사되었는데 마지막 경기를 남겨두기 전까지 거의 본선에 진출할 뻔했지만 모잠비크한테 덜미를 잡히는 바람에 본선 진출권을 나이지리아한테 내주면서 4회 연속 본선 진출은 안타깝게 실패했다.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은 2004년에 1번 우승했다. 지에드 자지리의 모국. 북아프리카 국가 중에선 모로코와 더불어 월드컵 본선 진출을 가장 많이 해본 국가다.그런데 2010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3무를 거두고 조에서 꼴찌하는 진기록을 남기더니 2012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는 첫 경기부터 보츠와나한테 0-1로 덜미를 잡혔다. 물론 겨우 그 한 경기 진 것 가지고 깔 수는 없는 노릇이기에 아직은 더 지켜봐야 하겠지만 팬들에게 걱정을 안겨준 건 사실이다. 그 뒤 차드에 3-1로 승리하여 보츠와나전 패배를 일단은 만회했지만 그 다음 말라위전에서 2-2로 비겼다. 토고전에서 2-1로 승리했는데 보츠와나와의 재경기서 또 0-1로 졌다.
201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선 토고, 코트디부아르, 알제리랑 같은 조를 이뤄 알제리를 1-0으로 이겼지만 코트디부아르에 0-3으로 대패하면서 똑같은 1승 1패를 거둔 토고와 마지막 3차 예선전에서 1:1로 비겼으나 골득실로 밀려 3위로 밀려 탈락했다.
2014 브라질 월드컵 예선에선 최종예선에 진출, 카메룬과 예선 진출을 다투게 되었다. 1차전 안방경기에선 무재배로 비겼다. 그리고 원정에서 1-4로 참패하며 탈락했다.
2018 러시아 월드컵 2차예선에서 모리타니를 2경기 모두 2-1로 이기고 최종예선에 진출해 리비아,기니, 콩고 민주 공화국이라는 상대적으로 쉬운 조에 들어갔다. 리비아와 기니는 이겼지만 콩고 민주 공화국도 2연승으로 같이 1,2위를 다투는 지라 2017년에 가질 콩고와의 2경기 여부에 따라 12년만에 월드컵 진출이 이뤄질지 가려질 듯 하다. 결국 12년만에 월드컵 진출이 이뤄졌다. 본선 G조에 속해 1차전 잉글랜드전 추가시간에 해리 케인에게 골 먹고 1-2로 아깝게 졌고, 이후 멘탈이 털렸는지 벨기에에겐 2-5로 대패를 하며 탈락 확정. 그러나 마지막 파나마와의 경기에선 2-1 역전승을 거둬 1978년 이후 40년만의 월드컵 본선 2승째를 거뒀다.
2022 카타르 월드컵에서 최종예선에 올라와 말리와 1승 1무를 거두며 본선 진출을 확정해 2회 연속 진출에 성공했다. 본선에선 덴마크, 호주, 프랑스와 함께 D조에 편성되었다. 덴마크와의 1차전에선 0-0으로 비기며 1978년 월드컵 서독전 이후로 44년만에 클린시트를 기록했지만, 호주와의 2차전에선 0-1으로 패했다. 디펜딩 챔피언 프랑스와의 3차전에서는 깜짝 1-0 승리를 거두며 월드컵 본선 3번째 승리를 챙김과 동시에 16강 진출의 희망을 살렸지만 같은 시간 호주가 덴마크에게 1-0으로 승리하며 이번에도 조별 리그의 벽을 넘지 못하고 탈락하며 아쉬움을 남겼다.
한국과 역대전적은 1승 1무 1패로 백중세이지만, 골 득실까지 따지면 1득점 4실점으로 오히려 한국에 경합 열세라고 볼 수도 있다. 2002년 3월 13일(현지시간) 홈에서 열린 한국과의 평가전에서는 0-0으로 비겼으며, 12년 뒤인 2014년 5월 28일 한국에서 열린 친선경기에서는 한국 대표팀을 1-0으로 이겼다. 그러나 2023년 10월 13일 한국에서 열린 친선경기에선 한국에 0-4로 대패하며 설욕당했다.[3]
자국리그가 강한 편이다. 아프리카 리딩 클럽들 중 튀니지 클럽들이 몇몇 있으며, 따라서 대표팀에도 국내파와 해외파가 조화롭게 균형된 스쿼드를 보유하고 있다. 아랍권이다 보니 중동으로도 몇몇 진출해 있는데, 주전 공격수 유세프 음사크니는 카타르 알 두하일에서 남태희와 같이 뛰고 있다. 해외파 중 우리가 알 만한 선수들은 AS 생테티엔의 와흐비 카즈리, 프랑크푸르트의 엘리에스 스키리, 올랭피크 드 마르세유와 발렌시아 CF에서 뛰었던 아이멘 압데누어 정도가 있다. 자국 레전드로는 볼턴에서 뛰어 우리에게도 낯이 익은 A매치 105경기 7골을 기록한 중앙수비수 라디 자이디가 있다.
2023년 아프리카 네이션스컵에서 조별리그에서 매우 나쁜 성적[4]으로 광탈하면서 피파랭킹이 기존 28위에서 39위로 11계단이나 떨어지고, 랭킹 점수도 34점이나 잃었다.[5]
현재 유니폼 스폰서는 카파이다.
4. 역대 감독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0000 1%, #ffffff 5%, #ffffff 95%, #ff0000 99%)"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FFF><tablebgcolor=#FFFFFF> | 튀니지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wiki style="margin: 0 -10px" {{{#ff0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 1956년 ~ 현재 | ||||
1대 투르키 | 2대 셰리프 | 3대 크리스티치 | 4대 마토시치 | 5대 제라르 | |||||
6대 벤 나세프 | 7대 라도지치치 | 8대 세레타 | 9대 라도지치치 | 10대 히젬 | |||||
11대 나기 | 12대 체탈리 | 13대 히젬 | 14대 디히브 | 15대 히젬 | |||||
16대 쿠레샤 | 17대 자와위 | 18대 뱅상 | 19대 벤 오스만 | 20대 피에슈니첵 | |||||
21대 틀릴리 | 22대 피에슈니첵 | 23대 마흐주브 | 24대 자와위 | 25대 벤자르티 | |||||
26대 카스페르차크 | 27대(대행) 셀미 | 28대 스콜리오 | 29대 크라우츤 | 30대 미셸 | |||||
31대 수아야 | 32대 자와위 | 33대 르메르 | 34대 코엘류 | 35대 벤자르티 | |||||
36대 마르샹 | 37대 벤자르티 | 38대 수아야 | 39대 트라벨시 | 40대 말룰 | |||||
41대 크롤 | 42대 레이컨스 | 43대 카스페르차크 | 44대 말룰 | 45대 벤자르티 | |||||
46대 지레스| 47대 케비에르 | 48대 카드리 | |||||
현직 | |||||
49대(대행) 루히치 · 부사이디 | |||||
5. 선수 명단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1%, #ff0000 5%, #ff0000 95%, #ffffff 99%)"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000000 | <rowcolor=#ffffff>포지션 | 등번호 | 이름 | 생년월일 | 출장 | 골 | 소속 클럽 |
GK | 1 | 아이멘 마틀루티 (Aymen Mathlouthi) | 1984년 9월 14일 ([age(1984-09-14)]세) | 73 | 0 | 에투알 스포르티브 뒤 사엘 | |
16 | 아이멘 다흐멘 (Aymen Dahmen) | 1997년 1월 28일 ([age(1997-01-28)]세) | 15 | 0 | CS 스팍시앵 | ||
22 | 베시르 벤 사이드 (Bechir Ben Saïd) | 1994년 11월 29일 ([age(1994-11-29)]세) | 7 | 0 | US 모나스티르 | ||
26 | 모우에즈 하센 (Mouez Hassen) | 1995년 3월 5일 ([age(1999-10-28)]세) | 20 | 0 | 클뢰브 아프리캥 | ||
DF | 2 | 빌렐 이파 (Bilel Ifa) | 1990년 3월 9일 ([age(1990-03-09)]세) | 37 | 0 | 쿠웨이트 SC | |
3 | 몬타사르 탈비 (Montassar Talbi) | 1998년 5월 26일 ([age(1990-03-09)]세) | 26 | 1 | FC 로리앙 | ||
4 | 야신 메리아 (Yassine Meriah) | 1993년 7월 2일 ([age(1993-07-02)]세) | 26 | 1 | ES 튀니스 | ||
6 | 딜랑 브론 (Dylan Bronn) | 1995년 6월 19일 ([age(1995-06-19)]세) | 38 | 2 | US 살레르니타나 1919 | ||
12 | 알리 말룰 (Ali Maâloul) | 1990년 1월 1일 ([age(1990-01-01)]세) | 79 | 2 | 알 아흘리 SC | ||
20 | 모하메드 드레거 (Mohamed Dräger) | 1996년 6월 25일 ([age(1996-06-25)]세) | 36 | 3 | FC 바젤 | ||
21 | 와즈디 케츠리다 (Wajdi Kechrida) | 1995년 11월 5일 ([age(1995-11-05)]세) | 3 | 0 | 아트로미토스 FC | ||
24 | 알리 아브디 (Ali Abdi) | 1993년 12월 20일 ([age(1993-12-20)]세) | 5 | 0 | SM 캉 | ||
MF | 5 | 나데르 간드리 (Nader Ghandri) | 1995년 2월 18일 ([age(1995-02-18)]세) | 7 | 0 | KVC 베스테를로 | |
8 | 한니발 메브리 (Hannibal Mejbri) | 2003년 1월 21일 ([age(2003-01-21)]세) | 27 | 0 | 번리 FC | ||
13 | 페르자니 사시 (Ferjani Sassi) | 1992년 3월 18일 ([age(1992-03-18)]세) | 80 | 6 | 무소속 | ||
14 | 아이사 라이두니 (Aïssa Laïdouni) | 1996년 12월 13일 ([age(1996-12-13)]세) | 27 | 1 | 알 와크라 SC | ||
15 | 모하메드 알리 벤 롬드하네 (Mohamed Ali Ben Romdhane) | 1999년 9월 6일 ([age(1999-09-06)]세) | 18 | 0 | ES 튀니스 | ||
17 | 엘리스 스키리 (Ellyes Skhiri) | 1995년 5월 10일 ([age(1995-05-10)]세) | 0 | 0 |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 ||
18 | 갈리엔 찰랄리 (Ghailene Chaalali) | 1994년 2월 28일 ([age(1994-02-28)]세) | 32 | 1 | ES 튀니스 | ||
25 | 아니스 벤슬리만 (Anis Ben Slimane) | 2001년 3월 16일 ([age(2001-03-16)]세) | 20 | 4 | 셰필드 유나이티드 FC | ||
FW | 7 | 유세프 음사크니 (Youssef Msakni) | 1990년 10월 28일 ([age(1990-10-28)]세) | 90 | 17 | 알 아라비 SC | |
9 | 이삼 제발리 (Issam Jebali) | 1991년 12월 25일 ([age(1991-12-25)]세) | 13 | 2 | 감바 오사카 | ||
10 | 와흐비 카즈리 (Elias Achouri) | 1991년 2월 8일 ([age(1991-02-08)]세) | 74 | 25 | 몽펠리에 HSC | ||
11 | 타하 야신 케니시 (Taha Yassine Khenissi) | 1992년 1월 6일 ([age(1992-01-06)]세) | 50 | 9 | 쿠웨이트 SC | ||
19 | 세이페딘 자지리 (Seifeddine Jaziri) | 1993년 2월 12일 ([age(1993-02-12)]세) | 29 | 10 | 자말렉 SC | ||
23 | 나임 슬리티 (Naïm Sliti) | 1992년 7월 27일 ([age(1992-07-27)]세) | 71 | 14 | 알 에티파크 FC | ||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2년 12월 1일 |
6.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wiki style="margin: -1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0000 1%, #ffffff 5%, #ffffff 95%, #ff0000 99%)"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fff> | 튀니지 축구 국가대표팀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0000> 순서 | 선수 이름 | 출전 횟수 | 첫 경기 | 마지막 경기 |
1 | 라디 자이디 | 105회 | 1996.6.2 | 2009.6.6 | |
2 | 유세프 음사크니 | 102회 | 2010.1.9 | 2024.1.24 |
7. 역대 전적
7.1. FIFA 월드컵
역대 월드컵 전적 순위 : 44위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프랑스의 식민지 | |||||||||
1930년 우루과이 | 독립 이전(프랑스령 튀니지) | ||||||||
1934년 이탈리아 | |||||||||
1938년 프랑스 | |||||||||
1950년 브라질 | |||||||||
1954년 스위스 | |||||||||
※ 튀니지 제1공화국 | |||||||||
1958년 스웨덴 | 없음[6] | ||||||||
1962년 칠레 |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 ||||||||
1966년 잉글랜드 | 기권 | ||||||||
1970년 멕시코 |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 ||||||||
1974 서독 | |||||||||
1978년 아르헨티나 | 조별리그 | 9위 | 4 | 3 | 1 | 1 | 1 | 3 | 2 |
1982년 스페인 |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 ||||||||
1986년 멕시코 | |||||||||
1990년 이탈리아 | |||||||||
1994년 미국 | |||||||||
1998년 프랑스 | 조별리그 | 26위 | 1 | 3 | 0 | 1 | 2 | 1 | 4 |
2002년 한일 | 조별리그 | 29위 | 1 | 3 | 0 | 1 | 2 | 1 | 5 |
2006년 독일 | 조별리그 | 24위 | 1 | 3 | 0 | 1 | 2 | 3 | 6 |
2010년 남아공 |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 ||||||||
※ 튀니지 제2공화국 | |||||||||
2014년 브라질 |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 ||||||||
2018년 러시아 | 조별리그 | 24위 | 3 | 3 | 1 | 0 | 2 | 5 | 8 |
2022년 카타르 | 조별리그 | 21위 | 4 | 3 | 1 | 1 | 1 | 1 | 1 |
2026년 북중미 | ? | ? | ? | ? | ? | ? | ? | ? | ? |
2030년 월드컵 | ? | ? | ? | ? | ? | ? | ? | ? | ? |
2034년 사우디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6회[12] | 14 | 18 | 3 | 5 | 10 | 14 | 26 |
총 성적은 3승 5무 10패 승점 14점으로 월드컵 통산 순위 44위를 기록하고 있다. 2022년 대회에서 승점 4점을 쌓으면서 순위가 세 계단이 상승했으며, 아일랜드, 북아일랜드 그리고 사우디아라비아와 승점이 같다. 하지만 평균 점수[13]에서 아일랜드 · 북아일랜드 1.08(승점 14점 / 13경기), 사우디아라비아 0.74(승점 14점 / 19경기)를 기록하여 아일랜드, 북아일랜드에 밀리지만 사우디아라비아에 앞서 승점이 같은 네 나라 중 3위다.
다른 나라들과의 상대전적은 다음과 같으며, 굵게 표시된 팀은 역대 월드컵 우승팀이다.
독일 : 1무(1978) 잉글랜드 : 2패(1998, 2018) 스페인 : 1패(2006) 프랑스 : 1승(2022) 멕시코 : 1승(1978) 폴란드 : 1패(1978) 콜롬비아 : 1패(1998) 루마니아 : 1무(1998) 벨기에 : 1무 1패(2002, 2018) 러시아 : 1패(2002) 일본 : 1패(2002) 사우디아라비아 : 1무(2006) 우크라이나 : 1패(2006) 파나마 : 1승(2018) 덴마크 : 1무(2022) 호주 : 1패(2022) |
대륙별 상대전적은 다음과 같다.
유럽 1승 4무 7패 남미 1패 북중미 2승 아시아 1무 2패 |
북중미의 멕시코를 상대로 1978년 월드컵 16개국 본선에서 이겼는데 이 경기가 바로 아프리카의 월드컵 첫 승리 기록이다. 그러나 이 이후에는 월드컵 32강 본선에서 전부 1무 2패로 광탈하는 바람에 40년 동안 다른 대륙팀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지 못하다가, 또다시 북중미 팀인 파나마를 상대로 2:1로 승리하는 바람에 북중미에만 2승을 거두었다.
튀니지에 패배를 안긴 팀들은 잉글랜드(2패), 폴란드(1패), 콜롬비아(1패), 러시아(1패), 일본(1패), 스페인(1패), 우크라이나(1패), 벨기에(1패), 호주(1패)로 총 9개팀으로, 그 중에 2패를 안긴 잉글랜드를 제외한 나머지 8개팀을 상대로는 한번씩만 패배했으며, 이들 중 벨기에를 제외한 나머지 8개팀[14]을 상대로는 전패를 기록하고 있다.
반면, 튀니지가 가장 많은 승점을 얻어간 팀은 멕시코 , 파나마, 프랑스로 1경기 3점을 획득했는데, 두 팀은 북중미 소속이고, 나머지 한 팀은 월드컵에서 2회 우승한 프랑스이다. 한 경기 최다득점 기록은 1978년 16강 조별리그 멕시코전 3:1 승리로 세 골이 최고 기록이며, 최다실점 기록은 2018년 32강 조별리그 벨기에전 2:5 패배로 5실점이 월드컵에서 당한 최다실점 기록이다.
모로코, 알제리와 더불어 북아프리카 3대장이라 할 수 있는데, 공교롭게도 세 나라 모두 월드컵 본선 진출 횟수가 4회로 동일하다. 그러나 1986년 2라운드(16강)에 갔던 모로코[15], 2014년 2라운드(16강)에 오른 알제리[16]와는 달리 아직까지 2라운드에 오른 적은 없다. 다만 튀니지가 세운 업적이 하나 있는데 아프리카 최초로 승리한 팀이라는 점이다. 처음 월드컵에 올라간게 1978년 아르헨티나 대회[17]였는데 디팬딩챔피언 서독과 전 대회 3위팀[18] 폴란드 그리고 월드컵을 개최한 적이 있는 멕시코까지 상당히 어려운 조에 걸렸다. 그러나 월드컵 첫 경기에서 멕시코를 3:1로 잡고 첫 경기를 첫 승으로 만들었다. 전반 종료 직전 PK를 내주고 후반에 내리 세 골을 넣으며 이겼는데 아프리카 역사상 한 경기 세 골을 넣은 것도 처음, 승리를 가져간 것도 처음이어서 전세계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더불어 승점자판기로 생각했던 팀에게 참패한 멕시코는 이후 경기까지 말리며 서독에 0:6으로 대패를 당하며 광탈했고 튀니지는 이 기세를 이어 폴란드전도 0:1로 졌지만 잘 버텼다. 마지막 서독전마저 0:0으로 막아내 1승 1무 1패 78월드컵 9위라는 상당한 성적을 안고 귀국했는데 비록 8강 진출엔 실패했지만 강호들을 상대로 어떻게 싸워야하는지 제대로 보여준 대회였다.
이후 16년간 4연속 월드컵 진출에 실패하다가 1998년부터 3연속으로 진출을 했지만 매번 승점자판기 신세를 면치 못하고 동네북으로 전락, 그 뒤로는 마땅히 국제대회조차 얼굴을 들지 못하고 있다. 20년만에 진출했다지만 승점자판기다.
2002년 월드컵에서 벨기에를 상대로 1무를 거뒀지만, 러시아와 일본에게 각각 0-2로 져서 탈락했다. 공교롭게도 딱 20년만인 2022년 6월 14일에 기린컵 결승에서 일본과 재격돌해 3-0으로 일본을 누르며 설욕했다.
2010년에는 최종예선에서 3승 2무를 기록해 2승 3무의 나이지리아와 비기기만 해도 본선 진출 확정이었지만 종료 직전 역전패당하며 4연속 진출 실패라는 굴욕을 겪었고 2014년에도 약팀들과 만나 무난히 조 1위로 플레이오프에 올라갔지만 카메룬에게 1무 1패로 밀리며 본선에 오르진 못했다. 본선에 올라갈 실력은 있지만 한 끝 차이로 두 번 연속 실패하고 정작 올라갔을때도 동네북 신세가 된다. 네 번의 본선에서 쌓은 승점이 2002년 우리나라가 조별예선에서 쌓은 승점과 같을 정도이니.
2018 월드컵 32강 본선 조별리그에서 벨기에에 2:5로 지면서 월드컵 참가 역시 최다 실점패를 당했다. 역대 경기에서 2006 독일 월드컵 32강 본선 조별리그에서 실점 6실점을 당했는데 이번에 2경기에서 7실점을 당했다. 그나마 최약체인 파나마와의 마지막 경기에서 2:1로 역전승을 거두며 40년만에 월드컵 1승을 거두어 유종의 미를 살렸다.[19]
2022월드컵 32강 본선에선 프랑스, 덴마크, 호주와 D조에서 맞붙게 되었다. 미국 CBS는 튀니지를 호주와 같이 3위나 경쟁할 것이라고 예상하며 1승 2패를 예측하였고, 결과는 1승 1무 1패로 프랑스와 호주(각 2승 1패)에게 밀리고 덴마크(1무 2패)보다 우위를 점하며 조 3위 대회 21위로 마감하였다.[20] 호주에게 패하며 4번째[21]로 아시아 국가에게 2패를 한 국가가 되었으며 이는 같은 조의 덴마크가 똑같이 호주에게 패하며 다음 국가로 이름을 올리는데, 튀니지와 덴마크에게 패배를 안긴 아시아 국가가 일본과 호주로 동일하다.
7.2. FIFA 컨페더레이션스컵
년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1992 사우디 컨페더컵 | 진출 실패 | |||||||
1995 사우디 컨페더컵 | 진출 실패 | |||||||
1997 사우디 컨페더컵 | 진출 실패 | |||||||
1999 멕시코 컨페더컵 | 진출 실패 | |||||||
2001 한일 컨페더컵 | 진출 실패 | |||||||
2003 프랑스 컨페더컵 | 진출 실패 | |||||||
2005 독일 컨페더컵 | 조별리그 | 6위 | 3 | 1 | 0 | 2 | 3 | 5 |
2009 남아공 컨페더컵 | 진출 실패 | |||||||
2013 브라질 컨페더컵 | 진출 실패 | |||||||
2017 러시아 컨페더컵 | 진출 실패 | |||||||
2021 카타르 컨페더컵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1회 | 3 | 1 | 0 | 2 | 3 | 5 |
7.3.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역대 순위 : 8위대회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 튀니지 왕국 | ||||||||||
1957 | 불참 | |||||||||
※ 튀니지 제1공화국 | ||||||||||
1959 | 불참 | |||||||||
1962 | 4강 | 3위 | 2 | 1 | 0 | 1 | 5 | 4 | 3 | |
1963 | 조별리그 | 5위 | 2 | 0 | 1 | 1 | 3 | 5 | 1 | |
1965 | 준우승 | 2위 | 3 | 1 | 1 | 1 | 6 | 3 | 4 | |
1968 | 예선 탈락 | |||||||||
1970 | 불참 | |||||||||
1972 | 불참 | |||||||||
1974 | 불참 | |||||||||
1976 | 예선 탈락 | |||||||||
1978 | 4강 | 4위 | 5 | 1 | 2 | 2 | 4 | 5 | 5 | |
1980 | 기권 | |||||||||
1982 | 조별리그 | 7위 | 3 | 0 | 1 | 2 | 1 | 4 | 1 | |
1984 | 예선 탈락 | |||||||||
1986 | 예선 탈락 | |||||||||
1988 | 예선 탈락 | |||||||||
1990 | 예선 탈락 | |||||||||
1992 | 예선 탈락 | |||||||||
1994 | 조별리그 | 9위 | 2 | 0 | 1 | 1 | 1 | 3 | 1 | |
1996 | 준우승 | 2위 | 6 | 2 | 2 | 2 | 10 | 9 | 8 | |
1998 | 8강 | 7위 | 4 | 2 | 1 | 1 | 6 | 5 | 7 | |
2000 | 4강 | 4위 | 6 | 2 | 2 | 2 | 6 | 9 | 8 | |
2002 | 조별리그 | 11위 | 3 | 0 | 2 | 1 | 0 | 1 | 2 | |
2004 | 우승 | 1위 | 6 | 4 | 2 | 0 | 10 | 4 | 14 | |
2006 | 8강 | 7위 | 4 | 2 | 1 | 1 | 7 | 5 | 7 | |
2008 | 8강 | 5위 | 4 | 1 | 2 | 1 | 7 | 6 | 5 | |
2010 | 조별리그 | 11위 | 3 | 0 | 3 | 0 | 3 | 3 | 3 | |
※ 튀니지 제2공화국 | ||||||||||
2012 | 8강 | 6위 | 4 | 2 | 0 | 2 | 5 | 5 | 6 | |
2013 | 조별리그 | 9위 | 3 | 1 | 1 | 1 | 2 | 4 | 4 | |
2015 | 8강 | 7위 | 4 | 1 | 2 | 1 | 5 | 5 | 5 | |
2017 | 8강 | 8위 | 4 | 2 | 0 | 2 | 6 | 7 | 6 | |
2019 | 4강 | 4위 | 7 | 2 | 3 | 2 | 6 | 5 | 9 | |
2021 | 8강 | 8위 | 5 | 2 | 0 | 3 | 5 | 3 | 6 | |
2023 | 조별리그 | 20위 | 3 | 0 | 2 | 1 | 1 | 2 | 2 | |
2025 | ? | ? | ? | ? | ? | ? | ? | ? | ? | |
2027 |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21회 / 우승 1회 | 83 | 26 | 29 | 28 | 99 | 97 | 107 |
7.4. FIFA 아랍컵
대회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레바논 1963 | 우승 | 1위 | 4 | 4 | 0 | 0 | 11 | 1 | 12 |
쿠웨이트 1964 | 불참 | ||||||||
이라크 1966 | |||||||||
사우디아라비아 1985 | |||||||||
요르단 1988 | 조별리그 | 7위 | 4 | 0 | 3 | 1 | 3 | 4 | 3 |
시리아 1992 | 불참 | ||||||||
카타르 1998 | 기권 | ||||||||
쿠웨이트 2002 | 불참 | ||||||||
사우디아라비아 2012 | |||||||||
카타르 2021 | 준우승 | 2위 | 6 | 4 | 0 | 2 | 9 | 6 | 12 |
합계 | 본선진출 3회 / 우승 1회 | 14 | 8 | 3 | 3 | 23 | 11 | 27 |
8. 연령별 대표팀
8.1. U-20 대표팀
8.1.1. FIFA U-20 월드컵
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1977년 튀니지 | 조별리그 | 14위 | 3 | 3 | 1 | 0 | 2 | 1 | 7 |
1979년 일본 | 예선 탈락 | ||||||||
1981년 호주 | 불참 | ||||||||
1983년 멕시코 | 예선 탈락 | ||||||||
1985년 소련 | 조별리그 | 16위 | 0 | 3 | 0 | 0 | 3 | 2 | 6 |
1987년 칠레 | 예선 탈락 | ||||||||
1989년 사우디 | 예선 탈락 | ||||||||
1991년 포르투갈 | 예선 탈락 | ||||||||
1993년 호주 | 예선 탈락 | ||||||||
1995년 카타르 | 예선 탈락 | ||||||||
1997년 말레이시아 | 예선 탈락 | ||||||||
1999년 나이지리아 | 예선 탈락 | ||||||||
2001년 아르헨티나 | 예선 탈락 | ||||||||
2003년 아랍에미리트 | 예선 탈락 | ||||||||
2005년 네덜란드 | 예선 탈락 | ||||||||
2007년 캐나다 | 예선 탈락 | ||||||||
2009년 이집트 | 예선 탈락 | ||||||||
2011년 콜롬비아 | 예선 탈락 | ||||||||
2013년 터키 | 예선 탈락 | ||||||||
2015년 뉴질랜드 | 예선 탈락 | ||||||||
2017년 대한민국 | 예선 탈락 | ||||||||
2019년 폴란드 | 예선 탈락 | ||||||||
2023년 아르헨티나 [22] | 16강 | 15위 | 3 | 4 | 1 | 0 | 3 | 4 | 6 |
합계 | 본선진출 3회 / 16강 1회 | 6 | 10 | 2 | 0 | 8 | 7 | 19 |
9.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fff,#191919> |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우승 국가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 #000000" | 순서 | 우승국 | 우승연도 | 우승 횟수 | |
1 | <colbgcolor=#eeeeef,#191919> | <colbgcolor=#002395,#000> 이집트 | 1957, 1959, 1986, 1998, 2006, 2008, 2010 | ★★★★★ ★★ 7회 | |
2 | 에티오피아 | 1962 | ★ 1회 | ||
3 | 가나 | 1963, 1965, 1978, 1982 | ★★★★ 4회 | ||
4 | 콩고민주공화국 | 1968, 1974 | ★★ 2회 | ||
5 | 수단 | 1970 | ★ 1회 | ||
6 | 콩고 공화국 | 1972 | ★ 1회 | ||
7 | 모로코 | 1976 | ★ 1회 | ||
8 | 나이지리아 | 1980, 1994, 2013 | ★★★ 3회 | ||
9 | 카메룬 | 1984, 1988, 2000, 2002, 2017 | ★★★★★ 5회 | ||
10 | 알제리 | 1990, 2019 | ★★ 2회 | ||
11 | 코트디부아르 | 1992, 2015, 2023 | ★★★ 3회 | ||
12 | 남아프리카 공화국 | 1996 | ★ 1회 | ||
13 | 튀니지 | 2004 | ★ 1회 | ||
14 | 잠비아 | 2012 | ★ 1회 | ||
15 | 세네갈 | 2021 | ★ 1회 |
[1] 튀니지의 월드컵 최고순위 78월드컵 9위(16강 조별리그)[2] 마지막 16개국 본선 진출 월드컵 대회[3] 이 경기에서 이강인이 A매치 데뷔골과 동시에 멀티골까지 기록했다.[4] 2무 1패, 대회 20위(24강 본선 조별리그)[5] 이는 비슷한 전력을 가진 알제리도 마찬가지다.[6] 튀니지 축구협회 창립 이전[16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16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24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12] 최고순위 9위(1978 아르헨티나)[13] 승점/경기횟수를 나눈 점수[14] 잉글랜드-폴란드-콜롬비아-러시아-일본-스페인-우크라이나-호주[15] 그 전 70월드컵 16개국 본선에 진출하여 70월드컵 14위를 기록했었다.[16] 그 전 82월드컵 24개국 본선에 진출하여 당시 2라운드 12강 조별리그에는 진출 실패했으나, 서독과 칠레를 이기며, 82월드컵 13위로 현재까지 월드컵 최고 순위를 기록했고 그 다음 호성적이 첫 2라운드에 진출한 2014월드컵 14위(16강)이다.[17] 16개국 본선 진출 대회[18] 74년과 78년 월드컵은 4강전 없이 8강도 조별리그 방식으로 하여 8강 각 조 1위만 결승행, 각 조 2위는 탈락하여 3,4위전으로 갔다.[19] 대회 24위[20] 허나 여기서 해당 대회 준우승국인 프랑스를, 음바페 등 1군 에이스들이 빠졌다지만 1:0으로 잡아내는 업셋을 보여준다.[21] 앞서 3나라는 이탈리아, 모로코, 독일[22] 2021년 대회는 코로나 사태로 인해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