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7px" | <tablebgcolor=#FF0000><tablebordercolor=#FF0000> | 로잔 연방 공과대학교 관련 틀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colcolor=#ffffff> 로잔 연방 공과대학교 (EPFL) École polytechnique fédérale de Lausanne Swiss Federal Institute of Technology in Lausanne | ||
| ||
대학 정보 | ||
<colbgcolor=#FF0000> 국가 |
| |
분류 | 국립연구대학 | |
설립 | <colbgcolor=#FF0000><colcolor=white> 설립일 | 1853년 11월 7일 ([age(1853-11-07)]주년) |
설립명 | École spéciale de Lausanne | |
총장 | Anna Fontcuberta i Morral | |
소재지 | Route Cantonale, 1015 로잔, 스위스 | |
언어 | 프랑스어, 영어 | |
재학생 | 학부생 | 7,250명 (2025 기준) |
대학원생 | 6,750명 (2025 기준) | |
교수 | 372명 (2023 기준) | |
국적 | +130 | |
예산 | ~11.6억 스위스 프랑 (2023 기준) | |
교색 | Rouge (#FF0000) [1] | |
홈페이지 | ||
소셜 미디어 | ||
소속 연맹 및 단체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nopad> | ||
▲ 위치 |
<nopad> |
1. 개요
대학 홍보 영상 | |||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000,#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로잔 연방 공과대학교(프랑스어: École polytechnique fédérale de Lausanne (EPFL), 영어: Swiss Federal Institute of Technology in Lausanne)는 스위스의 프랑스어 사용 권역인 로잔에 위치한 연방 공과대학으로, 독일어 사용 지역에 위치한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와 함께 2개교로 구성된 스위스 연방 공과대학교의 일원이다. 오직 이 2개 학교만 스위스 연방정부의 직접 지원을 받는다.
2013년 공학부문 QS 세계 대학 랭킹 8위에 랭크된 것을 시작으로, 12년 연속 공학부문 세계랭킹 12위 이내에 위치하였다. QS Engineering 10위(2024-2025), 11위(2019-2020), 12위(2017-2018).
종합 부문에서도 QS 세계 대학 랭킹 12위(2018), 14위(2021~2022) 등 세계 최상위를 기록하였다. THE 세계 대학 랭킹 에서도 공학부문이 꾸준히 10위권, 종합 랭킹은 30위권에 랭크되고 있다.
세계경제포럼이 선정한 세계 최상위 26개 대학 중 하나이며('유럽의 MIT'), 과목별로도 전기공학, 재료공학 등 다수의 전공이 꾸준히 세계 탑 10 안에 들며 그 위상을 보여주고 있다. (2023, 2024 전기전자공학 세계 6위, 7위)
영국의 옥스포드 대학교, 케임브리지 대학교, 자매학교인 ETH 취리히와 함께 세계 최고수준의 공과대학으로 손꼽히며, 외국인들에게 입학난이도가 굉장히 어려운것으로 알려져있다. 실제로 Reddit, Gradcafe, 인도커뮤니티 등에서 EPFL과 ETH 석사 합격생들의 스펙을 보면 졸업 학점이 3.85/4.00 (미국의 숨마쿰라우데 수준) 이상인 경우가 대부분일 정도로 지원자들의 수준이 높다. 이에 양질의 추천서와 연구 인턴경험 등도 중요하다.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 CERN 과의 협업도 매우 활발하며 (LPAP, LPHE 등의 연구실), 2020년까지 호라이즌 유럽 프로젝트의 주축 대학으로 활동하였다. 현대 컴퓨터 마우스의 산실이며, 대학의 랜드마크이자 세계적으로 유일무이한 Rolex Learning Center를 비롯하여 캠퍼스는 교육과 연구 분야에 있어 쾌적한 생활환경과 최신식의 근무환경을 제공한다. 연구 및 교육협력, 국제교류를 위한 유럽의 선도 공과대학교 네트워크 T.I.M.E. 연합 및 CESAER 협회의 일원이며 현재 1만 4천여명의 학생(2025년 기준 학부 7,250명, 석박사 6,750명)이 재학 중이다. 1853년 당시 École spéciale de Lausanne라는 사립 대학으로 설립되었으며 1869년 공립화되어 스위스 연방정부 산하로 편입되었고, 몇 번의 명칭 변경 끝에 1969년 현재의 명칭을 갖게 되었다.
스위스에 거주하고 있는 시민권자라면 외국인에 비해 입학이 수월하다고 하지만, 학부 안에서 학생들을 걸러내는 시스템이 매우 혹독해서, 졸업인원은 입학인원의 3할밖에 되지 않는다고 한다. 학부 학과 중에는 기계공학, 전기공학, 컴퓨터 공학 등이 명성이 높아 인기가 많은 편이다. 스위스 내 고등학교 졸업생은 Matura 를 취득하면 취리히연방공대와 로잔연방공대에 진학할수 있다고 한다. 영문 위키백과에 따르면 상위 20%의 Gymnasium 졸업자가 Matura 졸업 자격을 갖출 수 있다고 하며, Matura 를 취득하는 것은 스위스 국민이어도 쉽지만은 않다. 고등학교 졸업을 위해 두개의 제2외국어, 수학, 생물학, 화학, 물리, 역사, 지리학, 철학, 예술 등의 과목 시험과 논문 괴정까지 패스해야 한다.
2. 캠퍼스
캠퍼스 소개 영상 | |||
{{{#!wiki style="padding: -5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FFF); margin: 0 -10px" {{{#000,#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nopad> |
▲ 로잔 연방 공과대학교 캠퍼스 |
레만 호 바로 북쪽에 위치해 있으며, 로잔 대학교와 맞붙어 있다. 메인 캠퍼스가 있는 로잔과 더불어 4개의 다른 스위스 도시(프리부르, 제네바, 시옹, 뇌샤텔)에도 연구 분야별로 특성화가 된 캠퍼스가 있다.
[Rolex Learning Center]
Rolex Learning Center는 프리츠커상 수상자이며 일본계 건축가 듀오인 SANAA 가 건축을 디자인하였으며, 1억 1천만 스위스 프랑의 건축비가 쓰였다. 연방정부의 예산뿐 아니라 건축비에 후원한 기업으로 롤렉스, 크레딧스위스, 로지텍, 네슬레 등이 있다. 메인도서관을 비롯하여 오피스, 레스토랑, 서점 등이 입점해있고, 도서관은 50만권의 서적을 보유하며 유럽에서 가장 많은 과학서적을 보유한 도서관으로 평가받고 있다. 다목적홀이자 대강당인 Forum Rolex 에서 진행된 2015년 이란 핵협정 프레임워크에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중국, 러시아의 외교부 장관이 모여 다자 협상이 진행되었고, 유럽연합(EU) 외교안보 고위대표 겸 유럽집행위원회 부위원장 주재로 컨퍼런스가 개최되었다.
[Swiss Tech Convention Center]
Swiss Tech Convention Center는 크레딧스위스가 대규모 자금을 투자하여 건립되었으며, 유럽에서 가장 큰 채용 박람회인 ForumEPFL 이 열리는 것으로 유명하다. ForumEPFL에는 200개 이상의 기업과 130개 이상의 스타트업, 17개의 NGO/IGO 등이 참여하며 23,000여명이 방문한다. 또한 40여개국 이상에서 참여하는 AI/머신러닝 컨퍼런스인 AMLD(Applied Machine Learning Days), 세계최고의 석학들을 초빙하여 강연하는 BrainForum, 매년 1,300여명이 참여하는 스위스의 E-Sports 대회인 PolyLan도 이곳에서 개최된다.
[Sports Center]
제네바 호수(레만 호수)를 낀 스포츠센터 (Sport Sante UNIL+EPFL)
[Museum]
Computer Science 박물관인 Musee Bolo와 건축 박물관인 Archizoom 등이 교내에 위치해있다.
*아르키메데스 선서의 탄생지
EPFL는 아르키메데스 선서의 탄생지이다. 1990년에 만든 이 선서는 의료계의 히포크라테스 선서와 같은 것으로 엔지니어와 기술자들의 윤리의식을 강조하는 내용이다. 선서는 '나는 내 지식을 인류의 이익을 위해 사용한다, 내 기술을 인권을 존중하지 않는 사람을 위해 사용하지 않는다'는 등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3. 평가
2025 QS 세계 대학 랭킹 - 공학 10위 (전기전자공학 11위, 컴퓨터공학 15위)2024 QS 세계 대학 랭킹 - 공학 10위 (전기전자공학 7위, 컴퓨터공학 11위)
2023 QS 세계 대학 랭킹 - 공학 11위 (전기전자공학 6위, 컴퓨터공학 10위)
2022 QS 세계 대학 랭킹 - 공학 11위 (전기전자공학 10위, 컴퓨터공학 10위)
2021 QS 세계 대학 랭킹 - 공학 12위 (전체 14위)
2020 QS 세계 대학 랭킹 - 공학 11위 (전체 18위)
2019 QS 세계 대학 랭킹 - 공학 11위, Nature Institutions by normalized share-academics index - 8위
2018 QS 세계 대학 랭킹 - 공학 12위 (전체 12위)
2017 QS 세계 대학 랭킹 - 공학 12위 (전체 14위)
2016 QS 세계 대학 랭킹 - 공학 12위 (전체 14위)
2015 QS 세계 대학 랭킹 - 공학 12위 (전체 17위)
2014 QS 세계 대학 랭킹 - 공학 10위 (전체 19위)
2013 QS 세계 대학 랭킹 - 공학 8위 (전체 14위)
로이터 세계대학 랭킹, 라운드 세계대학 랭킹, ARWU 상하이 랭킹 등에서도 세계 10위권을 유지하고 있으며,
과학기술 영향력을 평가하는 레이든 랭킹에서도 유럽 1위, 전세계 13위에 올려놓은바 있다(2013).
취리히에 있는 자매 대학인 취리히 연방 공과대학교(ETH Zurich)와 함께 세계최고의 공과대학교 중 하나라고 불리며 에너지, 화학, 컴퓨터 공학, 전기전자 및 마이크로 공학 등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다.
4. 학과 구성
학교는 다음과 같이 4 개의 School과 2 개의 College 와 그 아래에 Institute (학과)로 이루어져있다.(SB) School of Basic Sciences | ||
(ISIC) Institute of Chemical Science and Engineering | ||
(MATH) Institute of Mathematics | ||
(IPHYS) Institute of Physics |
(IC) School of Computer and Communication Sciences | ||
(IINFCOM) Institute of Computer and Communication Sciences |
(STI) School of Engineering | ||
(IEM) Institute of Electrical and Micro Engineering | ||
(IGM) Institute of Mechanical Engineering | ||
(IBI) Institute of Bioengineering | ||
(IMX) Institute of Materials | ||
(Neuro-X) Nuero X Institute |
(SV) School of Life Sciences | ||
(IGD) Institute for Developmental Genomics | ||
(GHI) Global Health Institute | ||
(BMI) Brain Mind Institute | ||
(ISREC) Swiss Institute for Experimental Cancer Research | ||
(IBL) Interschool Institute of Bioengineering |
(ENAC) School of Architecture,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 ||
(IA) Institute of Architecture | ||
(IIC) Civil Engineering Institute | ||
(IIE) Environmental Engineering Institute |
(CDM) College of Management of Technology | ||
(MTEI) Management of Technology and Entrepreneurship Institute | ||
(SFI) Swiss Finance Institute at EPFL |
(CDH) College of Humanities | ||
(IAGS) Institute for Area and Global Studies | ||
(DHI) Digital Humanities Institute |
5. 입학과 교육
모든 스위스 국립 대학교들과 마찬가지로, 스위스 maturité로 고등교육을 졸업했다면 바로 학사 1학년으로 입학할 수 있다. 국제 학생들의 경우에는 입학 조건이 다르며, 불어가 모국어가 아닐 경우 불어 능력 증명서를 제출해야 한다 (DELF/DALF level B2).학사과정의 첫 번째 해가 특히 잔혹한 편이다. 1학기 시험을 통과하지 못하면 MAN(Mise à niveau)이라는 과정으로 옮겨 1학기 내용을 따라잡아야 하며, 일정 성적을 미칠 시, 1학년을 다시 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1학기 성적이 좋아 MAN을 모면했더라고 2학기를 망하면 마찬가지. 그러나 MAN으로 옮겼을 시에도 일정 성적을 미치지 못하면 퇴학이다. 이 낙제 조건들은 2학년, 3학년 때도 적용되어 많은 학생들의 두려움을 산다.
학부 3학년 때에 교환을 갈 수 있는데, 북미&유럽&호주&동아시아 등 옵션이 꽤나 많은 편이다. 프랑스국립항공우주대학(ISAE-SUPAERO), 미국 카네기멜론대(CMU) 등과 교환 프로그램도 잘 갖추어져 있고, 한국에도 교환신청이 가능하며, 서울대학교, 카이스트, 또는 포항공과대학교 3개의 대학으로 교환학생이 가능하다 (SPK 대학).
대학원 입학 관련, 외부에서의 유학생은 아주 엄격하고 경쟁적인 심사기준을 거쳐서 석박사를 뽑는다. 석사과정부터는 영어수업이 주를 이루기 때문에 불어성적이 입학조건이 아니다. 어느 한 학과의 대학원 입학을 총괄하는 교수에 따르면, 외부에서의 입학신청자의 경우에는 EPFL 학부 졸업자보다 훨씬 높은 능력치를 요구하며 추천서도 3장 요구한다. 박사과정 입학의 경우, EPFL 출신 여부와 상관없이 학과와 연구실에서 엄격한 심사를 통해 뽑는다. 대체적으로 학과 프로그램에 먼저 지원해서 서류 합격을 하게 되면 지도교수 및 연구실을 찾을 수 있는 1년의 시간이 주어진다. 이 1년의 기간 동안 학위논문을 지도해 주고 박사 기간 동안 인건비를 주는 잠재적 지도교수를 찾고 면접을 통해 최종 합격을 하게 된다. 세계 최고의 교수진과 연구환경을 구축하고 있는 만큼 석박사과정 입학의 경쟁률은 매우 높은 편이다.
6. 출신 인물
6.1. 동문
- 자크 뒤보셰 - 2017년 노벨화학상 수상자
- 클로드 니콜리에 - 유럽우주국(ESA) 우주비행사
- 조르주 드 메스트랄 - 벨크로 발명가
- 에릭 파브르 - Nespresso 발명가 (세계최초 일회용 커피용기 시스템)
- 다니엘 보렐 - 로지텍 창업자
- 아르트 데 회스 - 시높시스 CEO, 창립자
- 베뤼에 - Sage 그룹 CEO
- 스테판 쿠델스키 - 휴대용 레코딩플레이어 발명가(나그라)
- 루시드폴 - EPFL 생명공학 박사 대한민국 가수, 화학자, 작가
- 마티아 비노토 - 前 포뮬러 1 스쿠데리아 페라리 감독
- 앤드류 리프만 - MIT Media Lab 연구소 공동이사
- 에바 손 포르제(손재덕) - 프랑스 마크롱신당 하원의원
- 앙드레 보르슈베르그 - Solar Impulse 창업자 겸 CEO
- 아스카르 주마갈리예프 - 전 카자흐스탄 부총리
- 기타 메주르 - 모로코 디지털전환부 장관
- 안드레 쿠델스키 - Kudelski 그룹 CEO
6.2. 교원
- 비아조브스카 - 수학과 교수, 정수론 교수
- 에두아르도 소토 데 모우라 - 건축학과 교수
- 시자 비에이라 - 건축학과 교수
- 조셉 시파키스 - 컴퓨터 과학 교수
- 야노시 파흐 - 수학과 명예교수
- 미하엘 그라첼 - 광자공학 교수
염료 감응형 태양 전지(DSSC) 발명
- 장다니엘 니쿠 - 컴퓨터 과학 교수
- 아민 쇼크롤라히 - 컴퓨터 과학, 수학 교수
- 마틴 오더스키 - 컴퓨터 과학 교수
- 에두아르 부그니옹 - 소프트웨어 아키텍트
- 캐런 스크리브너 - 재료 과학 교수
- 레이몬드 클라벨 - 로봇공학 및 마이크로공학 교수
- 장 뤽 산도스 - 토목공학 교수, 목재 전문가 Sylvatest 및 Polux 발명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