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7 00:23:42

어태커급 호위항공모함

파일:영국 국기.svg 제2차 세계 대전의 영국 해군 군함 파일:영국 해군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color=#c8102e> 제2차 세계 대전
영국군해군 군함
초계함 <colbgcolor=#fefefe,#191919>24형, 브리지워터급, 헤이스팅스급, 밴프급, 쇼어햄급, 그림스비급, 킹피셔급, 비턴급, 이그렛급, 블랙 스완급, 플라워급, 캐슬급
호위함 리버급, 캡틴급, 콜로니급, 로크급, 베이급
구축함 R급, S급, V급, W급, 셰익스피어급, 엠버스케이드급, 아마존급, A급, B급, C급, D급, E급, F급, G급, H급, I급, 트라이벌급, J급, K급, N급, 헌트급, L급, M급, O급, P급, Q급, R급, S급, T급, U급, V급, W급, Z급, C급, 배틀급, 웨폰급A, 게일급, 데어링급A
잠수함 H급, L급, U급, V급, X급, X1, P611급, S급, T급, 그램퍼스급, 암피온급, 리버급, 레인보우급, 파르티안급, 오딘급
모니터함 로버츠급,에레버스급
경순양함 C급, D급, E급, 리앤더급, 엠피온급, 아레투사급(1934), 타운급, 다이도급, 크라운 콜로니급, 미노토어급(스윕트셔급), 넵튠급, 미노토어급(1947)
중순양함 호킨스급, 카운티급, 요크급, 서리급, 어드미럴급
순양전함 리나운급, 어드미럴급, J3급, G3급, K2·K3급, I3급
전함 아이언 듀크급, 퀸 엘리자베스급, 리벤지급, N3급, L급, 넬슨급, 킹 조지 5세급, 라이온급, 뱅가드급A
호위항공모함 오더시티, 액티비티, 나이라너급, 아처, 어벤저급, 어태커급, 룰러급(보그급 호위항공모함), 프레토리아 캐슬
경항공모함 유니콘, 1942년 설계 경량 함대 항공모함, 센토어급A
정규항공모함 아거스, 허미즈, 이글급, 커레이저스급, 아크로열, 일러스트리어스급, 임플래커블급, 오데이셔스급A, 몰타급, 하버쿡
기타 페어마일 어뢰정, 알제린급 소해함, 캐서린급 소해함, 소드피시, 인섹트급 연안포함
취소선: 실제로 건조되지 못한 함선
윗첨자A: 전후 완공된 함선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제2차 세계 대전의 캐나다 해군 군함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항공모함 <colbgcolor=#fefefe,#191919>나보브, 펀처
순양함 온타리오, 우간다, 프린스급
구축함 A급, C급, D급, 가티노, G급, H급, V급, 윅스급, 클렘슨급, 타운급, 트라이벌급
잠수함 U-190, U-889
호위함 리버급, 로크급
초계함 플라워급, 캐슬급
소해함 레이크급, 뱅거급, 카퍼스카싱급, 펀디급, 르웰린급
군수지원함 던급
취소선: 독일에게 압류됨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항공모함의 계보 파일:영국 해군기.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정규항공모함
최초 평갑판 항공모함

아거스급 항공모함


 
최초 항모 설계

허미즈급 항공모함


 
전함 → 항공모함
아일랜드형 함교 도입

이글급 항공모함


 
순양함 → 항공모함

커레이저스급 항공모함


 
갑판 일체화 설계

아크로열급 항공모함


 

 

 
경사 비행갑판
증기식 캐터펄트 도입

오데이셔스급 항공모함


 
1943년 계획, 취소

몰타급 항공모함


 
1963년 계획, 취소

CVA-01급 항공모함


 
호위항공모함
노획상선 개조

오더시티


 

 

 

 

 

 
승계함정 없음

룰러급 항공모함

경항공모함
기타
유니콘급 항공모함 · 빈딕티브 · 아크로열급 수상기모함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해군 해상 병기의 계보 틀 : 항공모함 | 원자력 잠수함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항공모함의 목록 파일:미합중국 해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2px"
정규항공모함
CV-1
랭글리
CV-2
렉싱턴
CV-3
새러토가
CV-4
레인저
CV-5
요크타운
CV-6
엔터프라이즈
CV-7
와스프
CV-8
호넷
CV-9
에식스
CV-10
요크타운
CV-11
인트레피드
CV-12
호넷
CV-13
프랭클린
CV-14
타이콘데로가
CV-15
랜돌프
CV-16
렉싱턴
CV-17
벙커힐
CV-18
와스프
CV-19
핸콕
CV-20
베닝턴
CV-21
복서
CVL-22
인디펜던스
CVL-23
프린스턴
CVL-24
벨로 우드
CVL-25
카우펜스
CVL-26
몬테레이
CVL-27
랭글리
CVL-28
캐봇
CVL-29
바탄
CVL-30
샌 재신토
CV-31
본험 리처드
CV-32
레이테
CV-33
키어사지
CV-34
오리스카니
CV-35
리프라이절
CV-36
앤티텀
CV-37
프린스턴
CV-38
샹그릴라
CV-39
레이크 쳄벨린
CV-40
타라와
CV-41
미드웨이
CV-42
프랭클린 D. 루즈벨트
CV-43
코럴 시
CV-44
아메리카
CV-45
벨리 포지
CV-46
이오지마
CV-47
필리핀 시
CVL-48
사이판
CVL-49
라이트
CV-50 CV-51 CV-52
CV-53 CV-54 CV-55 CV-56
CV-57 CVA-58
유나이티드 스테이츠
CV-59
포레스탈
CV-60
새러토가
CV-61
레인저
CV-62
인디펜던스
CV-63
키티호크
CV-64
컨스텔레이션
CVN-65
엔터프라이즈
CV-66
아메리카
CV-67
존 F. 케네디
CVN-68
니미츠
CVN-69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CVN-70
칼 빈슨
CVN-71
시어도어 루즈벨트
CVN-72
에이브러햄 링컨
CVN-73
조지 워싱턴
CVN-74
존 C. 스테니스
CVN-75
해리 S. 트루먼
CVN-76
로널드 레이건
CVN-77
조지 H. W. 부시
CVN-78
제럴드 R. 포드
CVN-79
존 F. 케네디
진수
CVN-80
엔터프라이즈
건조중
CVN-81
도리스 밀러
건조예정
CVN-82
윌리엄 J. 클린턴
건조예정
CVN-83
조지 W. 부시
건조예정
CVN-84
건조예정
CVN-85
건조예정
호위항공모함
CVE-1
롱 아일랜드
CVE-2
아처
CVE-3
어벤저
CVE-4
바이터
CVE-5
대셔
CVE-6
알타마하
CVE-7
바니스
CVE-8
블록 아일랜드
CVE-9
보그
CVE-10
브르타뉴어

CVE-11
카드
CVE-12
커파히
CVE-13
코어
CVE-14
크로애이턴
CVE-15
해밀린
CVE-16
나사우
CVE-17
세인트 조지
CVE-18
알타마하
CVE-19
프린스 윌리엄
CVE-20
바니스
CVE-21
블록 아일랜드
CVE-22
서처
CVE-23
브레턴
CVE-24
래배이저
CVE-25
크로애이턴
BACV-6
모르맥 메일
CVE-26
생가몬
CVE-27
스와니
CVE-28
체난고
CVE-29
산티
CVE-30
차져
CVE-31
프린스 윌리엄
CVE-32
채텀
CVE-33
글레이셔
CVE-34
파이버스
CVE-35
배핀스
CVE-36
볼리나스
CVE-37
바스티안
CVE-38
카네기
CVE-39
코르도바
CVE-40
델가다
CVE-41
에디스토
CVE-42
에스테로
CVE-43
자메이카
CVE-44
키위노
CVE-45
프린스
CVE-46
나이앤틱
CVE-47
페르디노
CVE-48
선세드
CVE-49
세인트 앤드류스
CVE-50
세인트 조셉
CVE-51
세인트 사이먼
CVE-52
버밀리언
CVE-53
윌라파
CVE-54
윈자
CVE-55
카사블랑카
CVE-56
리스컴 베이
CVE-57
안치오
CVE-58
코레히도르
CVE-59
미시온 베이
CVE-60
과달카날
CVE-61
마닐라 베이
CVE-62
나토마 베이
CVE-63
세인트 로
CVE-64
트리폴리
CVE-65
웨이크 아일랜드
CVE-66
화이트 플레인스
CVE-67
솔로몬
CVE-68
칼리닌 베이
CVE-69
카잔 베이
CVE-70
팬샤우 베이
CVE-71
킷쿤 베이
CVE-72
툴라기
CVE-73
갬비어 베이
CVE-74
네헨타 베이
CVE-75
호거트 베이
CVE-76
카다샨 베이
CVE-77
마커스 아일랜드
CVE-78
사보 아일랜드
CVE-79
오매니 베이
CVE-80
페트로프 베이
CVE-81
러디어드 베이
CVE-82
사지노 베이
CVE-83
사전트 베이
CVE-84
섐록 베이
CVE-85
쉬플레이 베이
CVE-86
시트코 베이
CVE-87
스티머 베이
CVE-88
케이프 에스퍼런스
CVE-89
타카니스 베이
CVE-90
테티스 베이
CVE-91
마카사르 스트릭스
CVE-92
윈덤 베이
CVE-93
마킨 아일랜드
CVE-94
룬가포인트
CVE-95
비스마르크 시
CVE-96
살라마우아
CVE-97
홀란디아
CVE-98
콰잘레인
CVE-99
애드미럴티 폴리시
CVE-100
부겐빌
CVE-101
마타니카우
CVE-102
애투
CVE-103
로이
CVE-104
문다
CVE-105
커먼스먼트 베이
CVE-106
블록 아일랜드
CVE-107
길버트 폴리시
CVE-108
쿨라 베이
CVE-109
케이프 글로스터
CVE-110
살레르노 베이
CVE-111
벨라 베이
CVE-112
시보니
CVE-113
퓨젯 사운드
CVE-114
렌도바
CVE-115
바이로코
CVE-116
바도엥 스트릭스
CVE-117
사이도르
CVE-118
시칠리아
CVE-119
포인트 크루즈
CVE-120
민도로
CVE-121
라바울
CVE-122
팔라우
CVE-123
타이니안
CVE-124
바스토뉴
CVE-125
에니웨톡
CVE-126
링가옌
CVE-127
오키나와
CVE-128 CVE-129 CVE-130 CVE-131
CVE-132 CVE-133 CVE-134 CVE-135
CVE-136 CVE-137 CVE-138 CVE-139
파일:미국 국기.svg 미 해군 해상 병기의 계보 틀: 항공모함 | 원자력 잠수함 | 전략 원잠 | 함대공 미사일
}}}}}}}}}


1. 개요2. 제원3. 어태커급의 동형함 목록4. 룰러급의 동형함 목록5. 매체에서의 등장


이 항목은 룰러급에 대한 이야기도 포함되어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HMSAttackerD02.jpg

1. 개요

영국이 랜드리스를 통해 지원받은 보그급 호위항공모함이다. 탑재된 함재기 외에는 보그급과 동일하며, 총 45척이 건조된 보그급 중 8척이 어태커급으로, 26척이 룰러급으로 총 34척을 영국 해군이 운용하였다. 함선의 스펙 등은 보그급 항목 참조. 다만 함재기로 슈퍼마린 시파이어, 페어리 소드피시 같은 영국 함재기를 사용하기도 했다. 영국은 34척의 어태커, 보그급을 운용하는 동안 1척의 손실도 없이 전부 미국에 반환했다.

2. 제원

전장 142미터(흘수)
151미터(최대)
130미터(비행갑판)
전폭 21.18미터(흘수)
25미터(비행갑판)
33미터(최대)
흘수 7.09미터(평균)
7.9미터(만재)
속도 18노트
무장 100mm 50구경장 함포 2문
2연장 보포스 40mm 대공포 8기
단장/2연장 오리콘 20mm 대공포 21기
함재기 20기
출처

3. 어태커급의 동형함 목록

D18 배틀러(Battler)[1] CVE-6
D02 어태커(Attacker)[2] CVE-7
D80 트레일러(Trailer)->헌터(Hunter)[3] CVE-8
D32 체이서(Chaser)[4] CVE-10
D64 펜서(Fencer)[5] CVE-14
D91 스토커(Stalker)[6] CVE-15
D73 퍼수어(Pursuer)[7] CVE-17
D12 스트라이커(Striker)[8] CVE-19
D40 서처(Searcher) CVE-22
D70 래배이저(Ravager) CVE-24
D24 트래커(Tracker)[9] BACV-6

총 11척이지만 어태커급은 8척이다. 좀 이상하게 들릴지는 모르겠지만 마지막 3척은 룰러급에 포함된다. 왜냐하면 저 3척은 어태커급을 건조 할 때 같이 건조돼서 미국에서는 어태커급 목록에 올려놓았다. 여담으로 보그급에서 트래커(BACV-6)는 미국 해군에서 제대로 취역하지 않아 미국 함급 분류에 들어가지 못했다. 그런 이유 때문에 어태커급과 룰러급은 영국이 운용할 때를 기준으로 하거나, 미국이 건조할 때를 기준으로 삼아야 한다. 이경우, 전자는 Dxx라는 번호가 붙을 것이고 후자의 경우는 CVE-xx라는 번호가 붙을 것이다.(보통 전자를 자주 쓴다. 위에 언급된 애매한 1척 때문에라도.)

4. 룰러급의 동형함 목록

어태커급에 포함되기도 하는 3척은 제외했다.(서처, 래배이저, 트래커)
D26 슬링거(Slinger)[10] CVE-32
D52 애슬링(Atheling)[11] CVE-33
D98 엠페러(Emperor)[12] CVE-34
D01 어미어(Ameer)[13][14] CVE-35
D38 베검(Begum)[15] CVE-36
D09 트럼페터(Trumpeter)[16] CVE-37
D42 엠프레스(Empress)[17] CVE-38
D62 케다이브(Khedive)[18] CVE-39
D90 스피커(Speaker)[19] CVE-40
D77 나보프(Nabob)[20] CVE-41
D23 프리미어(Premier)[21] CVE-42
D21 샤(Shah)[22] CVE-43
D07 패트롤러(Patroller)[23] CVE-44
D10 라자(Rajah)[24] CVE-45
D03 라니(Ranee)[25] CVE-46
D85 트론서(Trouncer)[26] CVE-47
D48 새인(Thane)[27] CVE-48
D19 퀸(Queen)[28] CVE-49
D72 룰러(Ruler)[29] CVE-50
D31 아비터(Arbiter)[30] CVE-51
D55 스미터(Smiter)[31] CVE-52
D79 펀처(Puncher)[32] CVE-53
D82 리퍼(Reaper)[33] CVE-54

5. 매체에서의 등장

  • 모바일게임 전함소녀에 어태커급 체이서가 등장한다. 평범한 레어 저속경항공모함에서 엘리트대잠요원이 되는 것이 특징이다.
  • 모바일게임 벽람항로에도 어태커급 체이서가 등장한다. 최초의 대잠스킬을 지닌 경항모로 잠수함이 적으로 등장하는 구조지원 해역에서 활약했었다.


[1] 미국이름:모르맥 메일->알타마하[2] 미국이름:스틸 크래스맨->바니스[3] 미국이름:모르맥펜->블록 아일랜드[4] 미국이름:브르타뉴어[5] 미국이름:크로애이턴[6] 미국이름:해밀린[7] 미국이름:세인트 조지[8] 미국이름:프린스 윌리엄[9] 미국이름:모르맥 메일[10] 미국이름:채텀[11] 미국이름:글레이셔[12] 미국이름:파이버스[13] 미국이름:배핀스[14] D01이라는 번호를 보면 알겠지만 영국이 일찍 서류상에 넣어서 룰러급은 어미어급이라고도 한다.[15] 미국이름:볼리나스[16] 미국이름:바스티안[17] 미국이름:카네기[18] 미국이름:코르도바[19] 미국이름:델가다[20] 미국이름:에디스토[21] 미국이름:에스테로[22] 미국이름:자메이카[23] 미국이름:키위노[24] 미국이름:프린스[25] 미국이름:나이앤틱[26] 미국이름:페르디노[27] 미국이름:선세드[28] 미국이름:세인트 앤드류스[29] 미국이름:세인트 조셉[30] 미국이름:세인트 사이먼[31] 미국이름:버밀리언[32] 미국이름:윌라파[33] 미국이름:윈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