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23 13:54:18

슈퍼마린 시파이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eafire_105-sx336_before_display_at_cotswoldairshow_2010_arp.jpg
The Vickers Supermarine Seafire[1]
1. 제원2. 개요3. 개발4. 운용5. 버전6. 기타7. 미디어 등장8. 둘러보기

1. 제원

  • 시파이어 L Mk.III
전폭 9.8 m / 4.0 m
전장 9.12 m
전고 3.48 m
자체중량 2,472 kg
전비중량 3,275 kg
최고속도 고도 5,100 ft (1,514 m) 상공에서 578 km/h (359 mph)
상승력 1,219 m에서 17.5 m/s
항속거리 821 km
엔진 롤스로이스 멀린 55M 12기통 수랭식 엔진, 1,585 마력
무장 양측 주익에 20 mm 히스파노-수이자 HS.404 기관포 1문씩, 문당 탄약 120발
양측 주익에 303구경 M1919 브라우닝 기관총 2정씩, 정당 탄약 350발
250 lbs 폭탄 2발 + 500 lbs 폭탄 1발
  • 시파이어 F. Mk 47
전폭 11.25 m / 5.82 m
전장 10.46 m
전고 3.88 m
자체중량 3,937 kg
전비중량 4,853 kg
최고속도 고도 20,500 ft (6,248 m) 상공에서 727 km/h (452 mph)
상승력 해수면에서 24.4 m/s
항속거리 652 km
엔진 롤스로이스 그리폰 88 12기통 수랭식 엔진, 2,350 마력
무장 양측 주익에 20 mm 히스파노-수이자 HS.404 기관포 2문씩, 문당 탄약 325발
60 lbs RP-3 로켓 8발
500 lbs 폭탄 3발

2. 개요


영국 해군에서 운용한 함재기로 공군의 스핏파이어의 함재기 버전이다. 각 버전마다 함재기 버전의 시파이어가 존재하지만 영국 해군은 미국에서 수입한 전투기도 적극적으로 사용했다.

3. 개발

당시 영국 해군은 다수의 항공모함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함재기의 질은 그리 좋지 않은 상태였다. 비록 상대인 독일이나 이탈리아 해군이 항공모함을 보유하고 있지 않기는 했지만 지중해 전역등에서는 지상기지에서 발진한 육상기는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요소였다. 당시 영국군이 보유한 함재기는 페어리 풀머같이 성능에 문제가 있는 함재기들이었으며 이는 영국군도 알고 있는 문제였다. 비록 이탈리아군의 CR. 42 정도는 상대할 수 있었지만 MC.200이나 MC. 202 폴고레같은 기체를 상대로는 풀머로는 무리였다. 결국 영국은 이런 함재기를 해결하기 위해서 미국에서 수입하는 한편 기존에 사용되던 스핏파이어를 함재기로 운용할 생각을 하게 된다.

1941년 말에 48기의 스핏파이어 Vb형이 후크를 장착한 형태로 개조된다. 이 버전을 시파이어 lb라고 부르며 이것이 첫번째 시파이어의 버전이다. 이 버전은 주로 항공모함에서 스핏파이어를 운용하는 경험을 쌓는 용도로 사용되었다. 이후 어레스터 후크의 사용의 편의를 위해서 동체의 후방의 높이를 낮추고 기체 강도를 강화하는 개량이 가해진다. 이후 스핏파이어 Vc형을 시파이어로 개조한 것을 시파이어 IIc라는 형식번호를 부여한다. 그러나 본격적으로 함재기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물건은 시파이어 III부터인데 IIc를 개량한 형태로 날개접기가 가능한 첫 시파이어이다. 이후 그리폰 엔진을 장착한 형식도 등장하지만 그때는 전쟁이 거의 끝날 무렵이였다. 시파이어의 총 생산량은 2,334대이다.

4. 운용

1942년에서 1943년에 영국 해군은 시 허리케인을 시파이어로 대체한다. 1942년 11월 횃불 작전에서 처음으로 시파이어가 투입되었다. 그 이후 연합군이 시칠리아에 상륙할 때 방공임무를 담당했다. 또한 1944년에 티르피츠를 공격할 때 역시 공격부대를 호위하는 역할을 맡았다. 그리고 1944년에 영국 태평양 함대가 편성되었을 때 임플래커블급 항공모함에 전투기로 탑재되어 임무를 수행한다.
파일:supermarine-seafire-fr47.jpg
전폭기로 개조된 시파이어 FR. 47

한국 전쟁이 발발하고, 엔진을 그리폰 엔진으로 바꾼 시파이어 FR.47 편대들이 영국 항공모함 HMS 트라이엄프에서 임무를 수행하게 되는데 시파이어는 1950년 9월까지 운용되었다. 그 이후로는 시퓨리가 투입되었으며 시파이어는 한국에서 철수할 때까지 360소티의 임무를 수행하였다. 이 기간동안 2대의 시파이어를 손실하였는데 첫번째는 B-29의 오사로 인한 것이었고 두번째는 착륙과정에 문제가 생긴 것이었다.

5. 버전

  • IB형 : 스핏파이어 VB형을 개조한 버전이지만 항공모함에 이착륙이 되도록 개조한 버전이라 날개접기가 불가능했다. 주로 훈련용으로 사용되었다.
  • IIC형 : 스핏파이어 VC형을 개조한 버전으로 Ib형과 큰 차이는 없으나, IB형이 기존의 공군기를 받아서 개조한 것이라면 이쪽은 공장에서 IB형과 유사한 기능을 갖추도록 생산돼서 나온 것이라는 것이 차이점. IB형과 마찬가지로 날개접기는 불가능했다. 총 생산량은 372대.
  • III형 : 시파이어중 최초로 날개접기가 가능한 버전이며 시파이어중 가장 많은 생산량을 차지하는 버전이다. 또한 이 버전은 멀린엔진을 사용하는 마지막 버전의 시파이어이다. 총 생산량은 1,218대이며 이는 시파이어 총 생산량의 절반을 넘는 수치이다.
  • XV형 : 최초로 그리폰엔진을 사용한 버전으로 여러 버전의 스핏파이어의 특성이 뒤섞여 있다. 동체는 V형에서, 날개뿌리의 연료탱크는 IX형에서, 확장된 안정판과 조종간은 VIII형에서, 그리폰 엔진은 XII형에서 가지고 왔다. 이전 버전인 III형과 마찬가지로 날개접기가 가능하다. 그러나 배치시기가 너무 늦어서 종전무렵에나 배치가 되었다. 생산대수는 232대.
  • XVII형 : XV형의 개량형으로 버블형 캐노피가 장착되었으며 동체 하부가 개선되어 항공모함에서의 이착함이 보다 안전해졌다.
  • 45형 : 그리폰 60시리즈를 장착한 버전이며 날개접기가 불가능하였다. 또한 엔진의 출력이 너무 강해서 기체의 안정성도 좋지 않았고 훈련용으로 사용되었다.
  • 46형 : 스핏파이어 Mk. 22을 개조한 버전으로 날개접기를 제외하면 45형의 문제를 거의 다 해결하였으나 종전으로 양산은 취소되었다. 그리폰 80 시리즈를 사용한 기체는 동축반전 3엽 프로펠러를 장착했다.
  • 47형 : 시파이어의 마지막 버전으로 46형과 비슷하지만 날개접기가 가능하다. 한국전쟁 초기에 투입되었었다.

6. 기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eafire_F_XVII_SX_336_wings_up.jpg
  • 일부 형식은 무려 3단으로 날개접기가 가능한 형태였다고 한다. A6M처럼 날개 끝을 살짝 접은 다음(대신 이쪽은 접은 부위가 아래로 내려간다.)그 날개를 다시 접어 올리는 형태였다. 사진은 XVII형의 모습.뭔가 익숙한 포즈인데
  • 원판인 스핏파이어도 이착륙이 까다로운 편이었는데 이는 시파이어도 예외가 아니라 사고도 많이 발생했다고 한다. 가뜩이나 까다로운 이착륙이 항모운용이라는 극한 상황에서 난이도가 더욱 올라가며 난감해져 버려 운용에 큰 문제가 생겨버렸고 극도로 짧은 항속거리라는 문제까지 겹쳐서[2] 함재기로서는 사실상 실패작이라는 평가까지 받기도 한다.

7. 미디어 등장

  • 중화민국의 모바일게임 강철소녀에서 Mk.III 형식이 4성 함재기로 등장한다.
  • 월드 오브 워쉽에서는 영국 항공모함 8티어 임플래커블의 공격기로 등장한다.
  • 워 썬더에서는 영국 해군 항공대 트리 4랭크에 그리폰 엔진을 장착한 F. Mk. XVII와 이중반전 프롭을 장착한 최종 생산형인 FR. Mk. 47이 등장한다.
  • 벽람항로에서는 함재기 중 전투기로 등장하지만 위치는 미묘하다. F6F헬캣이나 F4U콜세어에 밀려 중반부터도 콜세어를 얻었을 경우 밀려나게 된다. 그냥저냥 뉴비일 때나 쓰는 수준.
  • 전함소녀에서는 시파이어, 시파이어MKXV, 시팽, 시파이어 함상정찰기가 등장한다. 함상정찰기는 특이하게도 정찰기가 아니라 전투기로 분류된다.
  • 에어컨플릭트 퍼시픽 캐리어에서 2c형으로 추정되는 시파이어가 있다. 켐페인에서는 등장하진 않지만 인스턴트 배틀에서 사용할수 있으며 화력이 약간 애매한거 말곤 나쁘진 않다. 20mm 기관포 2문과 12.7mm 기관총 2정이 주 무장이다.

8. 둘러보기

제2차 세계 대전의 영국군 항공병기
파일:RAF_type_C1_roundel.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color=#242b3d> 제2차 세계 대전
영국군항공기
전투기 복엽기 <colbgcolor=#fefefe,#191919>글로스터 글래디에이터
단엽기 볼튼 폴 디파이언트, 슈퍼마린 스핏파이어 F/LF/HF, 호커 허리케인, 호커 타이푼, 호커 템페스트, 슈퍼마린 스파잇풀
함재기 글로스터 시글래디에이터, 페어리 풀머, 페어리 파이어플라이, 호커 시허리케인, 슈퍼마린 시파이어 F, 슈퍼마린 시팽, 호커 시퓨리 FBA, 드 해빌랜드 시호넷 F/NFA
쌍발기 브리스톨 보파이터, 웨스트랜드 훨윈드, 드 해빌랜드 모스키토 FB/NF, 드 해빌랜드 호넷A
제트기 글로스터 미티어, 드 해빌랜드 뱀파이어A, 슈퍼마린 어태커A
뇌격기 페어리 소드피시, 페어리 알바코어, 페어리 바라쿠다, 블랙번 파이어브랜드, 브리스톨 뷰포트
폭격기 경폭격기 드 해빌랜드 모스키토 B, 페어리 배틀, 브리스톨 블렌헤임
中폭격기 빅커스 웰링턴, 암스트롱-위트워스 휘틀리, 핸들리 페이지 햄든, 잉글리시 일렉트릭 캔버라A
重폭격기 숄트 스털링, 핸들리 페이지 핼리팩스, 아브로 랭커스터, 아브로 링컨
급강하폭격기, 공격기 블랙번 스쿠아, 페어리 바라쿠다, 브리스톨 브리건드A, 웨스트랜드 와이번A
수송기 빅커스 발레타
정찰기 슈퍼마린 스핏파이어 FR/PR, 슈퍼마린 시파이어 FR, 드 해빌랜드 모스키토 PR, 드 해빌랜드 호넷 FR/PRA
렌드리스 항공기 전투기 벨 에어라코브라, 커티스 키티호크, 리퍼블릭 썬더볼트, 노스 아메리칸 머스탱, 브루스터 버팔로(B-339E), 그루먼 마틀렛, 그루먼 가넷(헬캣), 보우트 콜세어, 록히드 라이트닝
뇌격기, 공격기 제너럴 모터스 어벤저, 브루스터 버뮤다,V-156 체사피크, 더글라스 하복, 벌티 벤전스
폭격기 록히드 허드슨, 록히드 벤추라, 마틴 볼티모어, 컨설리데이티드 리버레이터 B, 보잉 포트리스, 노스 아메리칸 미첼, 마틴 머로더, 보잉 워싱턴A, 마틴 메릴랜드
회전익기 시코르스키 호버플라이
수상기 슈퍼마린 왈루스, 컨솔리데이티드 카탈리나, 컨솔리데이티드 코로나도, 숄트 선더랜드
시제기 빅커스 베놈, 글로스터 E.28/39, 에어스피드 플리트 쉐도워, 호커 토네이도, 블랙번 파이어크레스트
노획 기체 메서슈미트 Bf 109, 포케불프 Fw 200, 포케불프 Fw 190, 포케불프 Ta 152, 하인켈 He 219, 하인켈 He 70, BV 184, BV 185, BV 187, 하인켈 177, 슈토르히 Fi 156, 융커스 188 A-2, A-3, 아라도 232 B-0, MXY-7 오카A, C-012A, 도르니에 335A, 융커스 352A, 메서슈미트 Me 410 A-3A
무기대여법으로 공여받은 기체는 영국식 표기로 기재하였다. 윗첨자A: 전후 도입/노획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현대 프랑스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008080> 프랑스 항공우주군
Armée de l'Air et de l'Espace

프랑스 해군 항공대
Aéronavale
회전익기 <colbgcolor=#008080> 공격헬기 HSS-1육/해/공/R, SA 313B 알루에트 II육/해/R, SA 341F 가젤, SA 342M 가젤, AS565 AA해/공, AS565 AB/CA해/공, 타이거 HAP, 타이거 HAD
다목적 헬기 알루에트 III육/해, AS332 쉬페르 푸마해/공, AS565 팬서해/공 AS532 쿠거
수송헬기 SA 321쉬페르 프렐롱 해/공/R, AS330 푸마육/공, EC725 카라칼, NH90 TTH 카이만, SE.3000R
대잠헬기 AS332F 쉬페르 푸마, AS532 SC, NH90 NFH 카이만
프롭 전투기 스핏파이어 LF.Mk. IXR, Ki-43원정군/C/R, A6M2-N원정군/C/R, 시파이어해/R , F8F-1B해/R, F4U-7해/R
제공 전투기 1세대 M.D.450 우라강R, S.O. 4050 보투르 NR, F-84F/GR, 미스테르 IIR, 미스테르 IVR, 아퀼롱 203해/R
2세대 F-100DR, F-86KR, 쉬페르 미스테르 B.2R, 에탕다르 IVM해/R, F-8E (FN)해/R
3세대 미라주 III C/ER, 미라주 F1R
4세대 미라주 2000
4.5세대 라팔 C 스탕다르 F3/F3R, 라팔 M
6세대 {FCAS}
공격기 SB2C-5, A-1 스카이레이더R, 1050 알리제해/R, S.O.4050 보투르 IIAR, 재규어 AR, 쉬페르 에탕다르해/R, 미라주 V, 미라주 2000 N/D,
폭격기 PB4Y-2해/R, S.O.4050 보투르 IIBR, 미라주 IVR, AAS 01X
수송기 C-160R, C-119R, C-124, C-130(H/H-30/J-30), A400M 아틀라스, NC.701R
지원기 조기경보기 E-2C 호크아이, E-3F 센트리
대잠초계기 아틀란틱해/R, 아틀란틱 II, {MAWS}
정찰기 브레게 1150 아틀란틱, 다쏘 팔콘, Fi 156해/공/R
신호정보 수집기 C-160G 가브리엘
공중급유기 A330 피닉스, C-135FR, KC-130J
무인기 UAV 캠콥터 S-100, VSR700
UCAV MQ-9, 다쏘 뉴론, {유로드론}
훈련기 EMB 312FR, 푸가 CM.175 제피르R, Ar 96R, 무드리 CAP 10해/공, 미라주 2000B-S5, 다쏘-도르니에 알파 젯, SIPA S.10R
다목적기 다쏘 팔콘 10M
기타 Nord SS.10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C: 노획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기종
취소선: 개발 또는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현대 아일랜드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아일랜드군|
아일랜드 방위군 (1945~현재)
Óglaigh na hÉireann | Irish Defense Force
]]
<colbgcolor=#169B62> 회전익기 <colbgcolor=#169B62> '''[[무장헬기|
경헬기
]]'''
H135(T2/P2+) | AS355 N 에큐워이 2 | SA.319 알루에트 III | SA.342L 가젤
'''
다목적 헬기
'''
AW139 | S-61N | SA.330J 퓨마 | SA.365Fi 도팽 II
'''[[전투기|
전투기
]]'''
프롭 시파이어 LF.III | 허리케인 Mk.(I/IIa~IIc)
공격기 SF.260WE 워리어
폭격기 허드슨 I
'''[[정찰기|
정찰기
]]'''
전술 FR172(H/K)
ISR PC-12NG
'''[[수송기|
수송기
]]'''
경량 CN-235-100M | DH.104 도브 Mk.(4/5/7/8A) | DH.84 드래곤
'''
지원기
'''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C-295 MPA | CN-235-100 MPA
'''
연락기
'''
비치 B200T 슈퍼 킹에어 | 라이샌더 2
'''[[무인기|
무인기
]]'''
'''
SUAV
'''
클래스 1 - 초소형
ADS 오비터-2B
'''[[훈련기|
훈련기
]]'''
프롭 PC-9M | SF.260D | 프로보스트 (T.51/T.53) | M.14A 매지스터 | 칩멍크 (T.20/T.22A) | M.19 마스터 II | M.9A 마스터 | 앤슨 Mk.I | 스핏파이어 T.9
제트 CM.170-2 쉬페르 마지스테르 | 뱀파이어 T.55
표적예인 마티넷 TT.1 | 배틀 TT.I
VIP 탑승기 리어젯 45 | 걸프스트림 IV | 걸프스트림 III | HS.125-(600/700)B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3D3137>1차
세계대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협상군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동맹군
전간기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2차
세계대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1943-1947).svg
미국
파일:RAF_type_C1_roundel.svg
영국
파일:독일 공군(나치 독일) 라운델2.svg
나치 독일
파일:일본 공군 라운델.svg
일본 제국
파일:Italy-Royal-Airforce.svg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1914-1940).svg
노르웨이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1934-1945).svg
핀란드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Roundel_of_the_Royal_Thai_Air_Force_(1941-1945).svg
태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대만 국장.svg
중화민국
파일:Czech_roundel_(right_wing).svg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파일:Roundel_of_Bulgaria_(1937-1941).svg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1942-1945).svg
헝가리 왕국
파일:Nationalist_air_force_black_roundel_with_arrows.svg
스페인
파일:Manchukuo_Air_Force_Roundel.svg
만주국
파일:Emblem_of_Mongolian_People's_Army.svg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colbgcolor=#3d3137>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공군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서아시아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
파일:아시아 위치.svg
아시아
}}}}}}}}}}}}



[1] 슈퍼마린 및 영국 항공기 제조사들의 후계 기업으로 현재 스핏파이어의 모든 권리를 관리하고 있는 BAE Systems에 따르면 Vickers Supermarine Seafire다. 사진은 시파이어 XVII형의 모습이다.[2] 똑같이 시원찮은 영국제 함상공격기나 뇌격기면 문제없지만 미제 어벤저만 해도 항속거리가 두 배라 배웅이나 해야 하는 사태가 벌어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