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1 16:01:59

A-1 스카이레이더

제2차 세계 대전의 미군 항공병기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1943-1947).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letter-spacing: -0.75px"
제2차 세계 대전
미군항공기
<colbgcolor=#1874cd> 전투기
육군 전투기
P-26 피슈터, 세버스키 P-35, P-36 호크, P-39 에어라코브라, P-63 킹코브라, P-66 뱅가드, P-40, P-43 랜서, P-47 썬더볼트, P-50, P-51 머스탱, P-55 어센더, P-75 이글, 슈퍼마린 스핏파이어 Mk V/VIII/IX/XI
함재기/해병전투기
BF2C, F2A 버팔로, F9C 스패로호크, F4F 와일드캣, F4U 콜세어, F6F 헬캣, XF5F 스카이로켓, F5U 플라잉 팬케이크, F7F 타이거캣, F8F 베어캣
쌍발전투기
P-38 라이트닝, P-61 블랙위도우, XP-58 체인 라이트닝, XFM/YFM-1 에어라쿠다
제트기/혼성동력기
FR 파이어볼, P-80 슈팅스타, FH 팬텀A, P-81, P-59 에어라코메트, XP-79 플라잉 램A
뇌격기 TBD 데버스테이터, TBF(M) 어벤저, XTB2D 스카이파이렛
폭격기
공격기/급강하 폭격기
SB2C 헬다이버, SBD 돈틀리스, BTD 디스트로이어, A-20, A-26 인베이더, A-29, SB2A 버커니어(A-34), A-35, A-38A, SB2U 빈디케이터, A-1 스카이레이더A, A2D 스카이샤크A, 카이저-플리트윙스 XBTK, XA-41
중형 폭격기
B-10, B-18 볼로, B-34 렉싱턴, B-25/PBJ 미첼, B-26 머로더, B-57 캔버라A/N
중폭격기
B-17 플라잉 포트리스, B-24/PB4Y 리버레이터, B-29 슈퍼 포트리스N, B-32 도미네이터, B-35/B2T 플라잉 윙N, B-36 피스메이커A/N, B-49 플라잉 윙N
수상기 OS2U 킹피셔, SOC 씨걸, SO3C 씨뮤, SC 씨호크, 네이벌 에어크래프트 팩토리 PN 시리즈
비행정 PBY 카탈리나, PB2Y 코로나도, PBM 마리너, 휴스 H-4 허큘리스
대잠초계기 PV-2 하푼, P2V 넵튠A
회전익기 R-4
비행선 아크론급, K급
수송기 C-46 코만도, C-47 스카이트레인, C-54 스카이마스터, C-97 스트라토프레이터
연락기 L-1, L-2 그래스호퍼, L-3 그래스호퍼, L-4 그래스호퍼, L-5 센티넬
훈련기 T-6 텍산, P-64
노획 항공기 Ki-61 토니, Ki-43 오스카, Ki-84 프랭크, A6M2 지크, J2M 잭, G8N 리타A, Ki-96A, J1N 어빙A, J7W1 신덴A, J9Y 킷카A, MXY-7 바카A, Bf 109 F-4, Fw 190 A-8, He 219, Ta 152H-0, Me P.1101A, Ho 229 V3A, Bü 181A, Ba 349A, C-011, C-013A, Fl 282A, Do 335A, WNF 342 V4A,
기타 항공기 노스롭 N1M, 노스롭 N9M
순항 미사일 JB-2 룬, BQ-7/8
취소선: 계획되었다 취소되었거나, 도입이 취소된 기종, 윗첨자A: 전후 완공/노획, 윗첨자N: 핵투발 수단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파일:맥도넬 더글라스 로고.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315288,#FFF {{{#!folding 맥도넬 더글라스 항공기 목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000,#e5e5e5
민항기
<colbgcolor=#eee8aa,#544e10> 쌍발기 DC-9MD-80MD-90MD-95(B717)
3발기 DC-10MD-11
4발기 DC-8MD-12
군용기
전투기 FH 팬텀F2H 밴시F3H 데몬F3D 스카이나이트F-6(F4D)F5D 스카이랜서F-4 팬텀 II
F-101F-15F/A-18F/A-18E/F
공격기 BTD 디스트로이어A-1A-3A-4AV-8B
폭격기 B-18A-20A-26
급강하폭격기 SBD 돈틀리스
뇌격기 TBD 데버스테이터
수송기 C-17C-47C-54
공중급유기 KC-10
훈련기 T-45
헬리콥터
군용 MD 500AH-64
더글라스의 1945년 이전 모델
쌍발기 DC-1DC-2DC-3 ‧ DC-5
4발기 DC-4DC-6DC-7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A-1H.jpg
A-1H(AD-6) 스카이레이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Douglas.skyraider.folded.arp.jpg
A-1D(AD-4N) 스카이레이더. 함재기답게 날개를 접을 수 있었다.
파일:external/www.nmusafvirtualtour.com/mobile_f.jpg
파일:external/www.airventure.de/Bild9.jpg
A-1E(AD-5) 스카이레이더 콕핏 A-1D(AD-4N) 스카이레이더 콕핏

1. 개요2. 제원3. 상세4. 특징
4.1. 최후의 실전 투입 피스톤 엔진 전투기
5. 실전6. 기타7. 매체에서8. 참고 링크9. 관련 문서10. 둘러보기

1. 개요


Douglas A-1 Skyraider
더글라스 A-1 스카이레이더

미국 더글라스에서 1944년 7월 6일에 개발이 시작되어 시제기가 1945년 3월 18일에 첫 비행, 1946년 12월 양산기가 생산된 제트기 시대에서 마지막으로 등장한 레시프로 공격기다.

2. 제원

A-1 Skyraider
최초 비행 : 1945년 3월
퇴역 : 1979년
분류 : 단발 공격기
전장 : 11.84 m
전폭 : 15.25m
전고 : 4.78m
엔진 : 라이트 R-3350-26W 성형엔진, 2,700마력[1]
공중량 : 12,095 lb
최대 이륙중량 : 25,000 lb[2]
최대속도 : 518 km/h
무장
  • 주익에 20mm M2 기관포 4문
  • 15개소의 하드포인트, 8,000 lb(3500kg)까지의 폭장[3]
  • 싱크대, 변기[4]

3. 상세

최초에는 XBT2D Destroyer II란 이름으로 BTD 디스트로이어[5]의 후계기로서 항공모함 탑재형 장거리 급강하폭격기뇌격기로 설계되었다.[6] 그것도 SBD 돈틀리스TBF(M) 어벤저보다 더 뛰어난 성능의 기체를 요구한 미 해군에 의해 강력한 엔진[7]과 거대한 동체[8]를 가지고 등장했으며, 제트전투기항공모함에 실리게 된 이후에도 그 무지막지한 저속성능과 생존성, 폭장량, 전투행동반경과 10시간에 달하는 작전시간(로이터링 타임)을 살려 미 해군의 지상공격기로 6.25 전쟁에서 베트남 전쟁까지 활약했다.[9] 공중에서 빙빙 돌다가 무전을 받고 날아와서 지원 후 날아가는[10] 기체의 맛을 본 미군이 후속으로 만든 것이 A-10이다.

이후, 베트남전 등지에서는 공군도 사용했다. 주로 근접항공지원 역할을 담당했다. 예를 들면 기체가 추락/격추당해 국경 근처에 고립된 아군 조종사를 구출하는 임무를 지원하는 식. 미 공군에서도 A-1로 의회 명예 훈장을 받은 조종사가 둘이나 있을 정도로 치열한 전장에 자주 사용되었다. 이후에는 A-7D가 역할을 이어받는다.

1957년에 생산이 종료되었다. 총 3,000대 가량이 생산되었고 이후 영국, 프랑스, 스웨덴, 베트남 등 여러 국가들의 공군에서도 이용된다.

4. 특징

무식하게 단단한 동체와 탑재능력[11]을 살려 이것저것 파생형이 많다. 조기경보기, 대잠전기, 전자전기, 표적견인기 등등으로 상당한 개량이 있었으며 이후 A계열 공격기의 원조가 된다.[12]

6.25 전쟁 때 처음 실전배치되었으며, 베트남 전쟁에서는 AH-1과 함께 베트콩들이나 월맹군들을 찢어발기고 다녔다. 주로 공격기로 운용되었지만, 미 해군의 A-1은 월남전에서 제트 전투기인 MiG-17을 2대나 격추한 전과가 있다. 그 중 한 번은 정면으로 달려들었다가 A-1 2기의 기관포 세례에 당한 것이었고[13] 나머지 1건은 MiG-17 조종사가 어쩌다가 선회전으로 말려들어 선회반경이 더 좁은 A-1에게 역으로 꼬리를 잡혀 어이없게 격추당한 경우였다.[14]

4.1. 최후의 실전 투입 피스톤 엔진 전투기

최후의 피스톤 엔진 전투기 공중전 기록으로 남게 되었다.

참고로 가스터빈 방식의 터보프롭 엔진의 경우에는 EMB 314 슈퍼 투카노 등이 있다.

5. 실전

5.1. 6.25 전쟁

파일:d89b4d41c53e39cbebd3709931fbc4a3d15c7c458b325e8dd3c60a04bea6802d.jpg
파일:1abbc9d49a7cd5a1410bb3a82a9edfe64cc4fbc140af1c78c3cb1179330855e2.png

위의 에피소드와 마찬가지로 미 해군 제195공격비행대(VA-195)에서, 싱크대를 '무장'으로서 달고 출격해서[15] 실전에서 폭탄들과 함께 떨군 일이 있었다고 전해진다. 후술할 베트남 전쟁 당시의 변기 폭탄 에피소드도 실은 이때의 일에서 후대의 조종사들이 영감을 얻어 행한 일이라고 한다. '6.25 전쟁 때는 부엌을 적진에 투하했으니 이번엔 화장실을 적진에 떨어뜨려보자!'라는 발상이었다고.[16]

5.2. 베트남 전쟁

  • 월남전 당시의 에피소드로는, 격추당한 동료 조종사를 구하기 위해 적군에게 점령당한 활주로에 착륙해서 조종사를 태우고 이륙한 사건이 있다.[17] 나중에 세어보니 동체에 총알 구멍이 19개였다고 한다. 이 에피소드에서 모티브를 따와 영화 '아이언 이글(Iron Eagle, 1986)'에서 비슷하게 연출됐다.
파일:external/vnafmamn.com/ashaw_rescue1.jpg
당시 상황을 그린 일러스트.
  • 역시 월남전 당시의 에피소드로, 미 해군 일부 조종사와 항모 승조원들이 북폭 6백만 파운드(약 2,721,554.22 kg)를 비공식적으로 기념하기 위해 신관을 단 변기를 '무장'으로 달고 출격해서 실전에서 폭탄들과 함께 떨군 일이 있었다. 그야말로 뭐든지 탑재해서 떨굴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해 보인 일화.당시 해당 비행대 소속 조종사의 증언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A-1H_VA-25_CVA-41bomb.jpg
    거사 당일인 1965년 10월 4일에 촬영된 사진. 사진 제일 왼쪽(오른쪽 주익 끝 파일런)에 달린 게 바로 그 문제의 변기 폭탄이다. 이 녀석이 6.25 때 싱크대보다 더한 물건이 되어 버린게, 그 때의 싱크대는 단순히 폭탄에다 싱크대를 매단 것이었지만 이 변기 폭탄은 망가져서 버리려던 함내 변기 하나를 주워다 항공폭탄용 신관과 꼬리날개를 달아 외관을 그럴 듯하게 꾸민 특제품이다(...)[18] 해당 기체는 CV-41 USS 미드웨이 함상에서 출격 대기중이던 미 해군 제 25 공격비행대대(VA-25) 소속 A-1H BuNo 135297번기로, 심지어 당시의 조종사는 해당 비행대대의 대대장 클래런스 스토다드(Clarence W. Stoddard Jr.) 중령[19]이었다!

    사실은 스토다드 중령과 무장사 등이 윗선 몰래 꾸민 일로, 변기 전용 랙(rack)도 무장사들이 자작한 것. 임무 당일 갑판 승무원들도 함교 쪽에서 보지 못하도록 몸으로 가리는 등 협조를 아끼지 않았는데, 출격 직전에야 사태를 파악한 함교로부터 '씨X 572번기 우측 날개에 달려있던 거 뭐야?!(What the hell was on 572’s right wing?)'라는 경악에 찬 사자후가 함내 통신을 타고 터져나왔다고.(...)

    임무 공역은 메콩강 삼각주 일대였는데, 당시 지상에서 이를 목격한 항공통제팀이 증언하길 '변기가 휘파람 소리를 내며 지나갔으며, 투하 직후에는 자칫 동체에 부딪칠 뻔했다'고 한다. 아마 폭탄에 비해 가벼운 무게와 외형 때문에 기체 주변 기류에 잘못 휘말린 듯.[20][21] 여담으로 게임 워 썬더에서 이 변기 폭탄을 인게임 무기로 재현해냈다(...) 영상 링크
  • 월남 패망 직전, 월남 공군 소속 스카이레이더 8기(16기라는 말도 있다.)가 탈출해 태국으로 망명해버렸다. 갑자기 조종사와 멀쩡한 군용기가 거저 생긴 태국 국왕과 군부는 입이 째지고... 월맹군이 점령한 공산 베트남 측에서 전투기와 조종사의 반환을 요구했지만 대놓고 거절하지는 않고 차일피일 미루다가 마침내 베트남도 포기했다. 사실 태국 정부는 망명을 받은 그 다음 날 바로 스카이레이더에 태국 공군 라운델을 도색해놓은 상황이었다. 애초부터 돌려줄 생각은 눈꼽만큼도 없었던 것이다.
  • MiG-17과 도그파이팅해서 MiG-17를 격추한 전적이 있다. 첫번째 기록은 1965년 6월 20일 VA-25 소속 Clinton B. Johnson 대위, (A-1H buno.139798)와 Charles W. Hartman III 중위, (A-1H buno.137523)에 의해 기록되었다.

6. 기타

  • 미 해군과 계약 당시 더글라스 사가 경쟁업체에게 밀리지 않기 위해, '지금 너희들이 우리 회사에서 사서 쓰고 있는 BTD 디스트로이어 계약을 파기하고 그 예산을 신형기 개발에 쓰게 해주면 더 쌔끈한 걸 만들어 줄게'라는 제안을 했는데, 이에 미 해군 관계자는 '그럼 그 신형기의 설계도를 내일 아침까지 가져와라!'라고 했다. 신형기라고 말은 꺼냈지만 설계도 같은 것은 있지도 않은 상황이라서, 결국 설계 책임자인 에드워드 하이네만(Ed Heinemann)[22]이 이끄는 더글라스 사의 설계팀이 호텔방에 틀어박혀 하룻밤 만에 설계도를 그려낸 것이 이거 되시겠다.
  • 비싸고 성능과 항속거리 제약이 많던 초기 제트 시대에 나온 튼튼하고 나름 강한 엔진을 탑재한 레시프로기인 특징으로 여러 형식이 제작되었으며 때문에 형식마다 승무원 수도 1인에서 4인까지 다양한 편인데 특이하게 복좌형이 탠덤형이 아닌 사이드-바이-사이드형이다.
  • A-1은 미국의 경정찰/공격기 사업으로 OV-10 브롱코으로 대부분 교체되었다. 하지만 OV-10이 배치된 후에도 계속 사용됐다고...
  • 월남전이 끝나고 아프리카 가봉과 차드에서 활약했다. 같은 프롭기 동지인 T-6과 함께 80년대까지 활동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파일:external/img.bemil.chosun.com/AD-4%20Skyraider%2C%20Gabon%20Air%20Force%2007.jpg

7. 매체에서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 일본 웹소설 별이 펄럭일 때에서는 45년 중순에 실전배치가 된 이후 어뢰 두발 혹은 폭탄 세발씩을 달고 미드웨이급 항공모함에서 출격하며 충격과 공포의 활약상을 보인다. 그리고 몰락 작전의 첫 스타트를 찍는 것도 A-1이다. 작가가 월드 오브 워쉽을 하고난 후에는 뭔가를 깨달았는지 2000파운드 폭탄을 달고 공중전함도 박살내는 위엄을 선보인다.
  • 워 썬더
    파일:external/encyclopedia.warthunder.com/douglas_ad_2.png 파일:douglas_ad_4.png 파일:douglas_ad_4_france.png 파일:AD-4NA.png 파일:A-1H.png

    <rowcolor=white> AD-2 AD-4 ◎AD-4 ◎AD-4NA A-1H

    미국과 프랑스의 4랭크 공격기로 나온다. 미국은 각각 B형과 D형인 AD-2와 AD-4가 있으며[23], 프랑스는 AD-4만이 존재한다. AD-2 기준으로 공대공 로켓 HVAR과 공대함 로켓 타이니 팀은 물론 2000파운드 어뢰 또는 2000파운드, 1000파운드, 500파운드 폭탄을 3.55톤까지 장착할 수 있어서 지상 공격용으로 제법 쓸모있다. AD-4의 경우는 기체 고정 무장과 성능이 늘어났고, 히드라 로켓을 50발 넘게 장착할 수 있다. 이후 2022년 추가된 Fire and Ice 업데이트의 배틀패스에서 베트남전 사양인 A-1H가 등장하게 되었다. 플레어+500파운드 폭탄 26개를 달 수 있는 무지막지한 폭장량과 더불어, 심지어 상술한 변기폭탄까지 장착이 가능하다! 거기에 고증스킨으로 변기폭탄 사진의 572호기 "Paper Tiger II"까지 추가되어 짤방을 충실하게 재현할 수 있다.
  • 한국만화 플라잉 타이거에서 주인공 호림이 처음 타고 싸운 항공기. 이 만화가 20년도 더 된 만화라고 하지만 이미 1990년대에도 골동품이 되어버린 기종이라 당연하지만 A-1을 타고 싸우러가서 적군 MiG-23에게 허무하게 격추당한다. 적군 조종사들은 이걸 보자마자 "우와아! 저 골동품이 하늘도 난다. 어이쿠, 총도 쏜다! 하하하하" 라는 투로 신나게 비웃으며 격추한다.
  • 베트남전 이아드랑 전투를 영화화한 위 워 솔저스에서 후반부 전투에서 무어 중령의 대대가 브로큰 애로우를 요청했을 때 폭격을 가하던 기체이다. 항공유도를 하는 병사를 통해 네이팜탄 폭격과 기총소사를 통해 무어 중령의 대대를 지원한다.
  • 최후의 출격에서는 중상을 당한 버질 콜이 프랭크 캄파넬리와 제이크 그래프톤을 탈출시키기 위해 연막탄을 올린 후 A-1에게 폭격을 요청하고 전사한다.
  • Naval Creed:Warships에서 10티어 뇌격기로 등장한다. 5티어 최종 항공모함인 미드웨이의 최종뇌격기이며, 성능은 매우 출중한 편이다.
  • 전함소녀에서는 폭격기로 등장한다. A-1이 명중+2 대잠+1 폭격+15 5성 폭격기로, AD-HQ가 명중+3 회피+5 대잠+5 폭격+12 색적+10 6성 폭격기로, A-1H가 명중+2 폭격+16 6성 폭격기로 등장한다. 조기경보기인 AD-4W는 명중+4 대잠+9 어뢰+5 색적+12의 5성 뇌격기로 등장한다.
  • 디보션에서 VA-35 소속 AD-4W 4기가[24]압록강철교를 공습해 복선철교[25]를 성공적으로 파괴시키나 단선 철교를 파괴하기 위해 뒤이어 오던 다른 4기는 대공포화 때문에 공습을 포기한다.[26]
  • 벽람항로에 거듭되는 평행세계 이벤트에서 포인트 교환 아이템으로 등장했다.AD-1으로 출되었으며 HVAR 로켓 8발을 달고 나왔다. 근데 이미지가 실물하고 좀 많이 다르게생겼다.

8. 참고 링크

9. 관련 문서

10. 둘러보기

파일:미합중국 공군 마크.svg 냉전기 미합중국 공군 항공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5a99> 미합중국 공군
United States Air Force, USAF
지상 공격기 A-1, OV-10, F-105, F-107, F-111, A-7D, A-10A, A-26, A-37A/B, AC-47, AC-130A/E
제공 전투기 <colbgcolor=#005a99> 1세대 F-80C, F-84, F-86A/F, F-86E-6-CAN
2세대 F-100A/C/D, F-101A/B/C/D, F-102A/B/C, F-104A/C, F-105B/C/D, F-106A/B, F-108
3세대 F-4C/D/E, F-5A/B/E, F-111A
4세대 F-15A/B/C/D, F-16A/B/C/D
5세대 ATF, YF-23
폭격기 B-26, B-29, B-36, B-45, B-47, B-50, B-57, B-58, B-66, YB-49, XB-70, B-1A, ATB, B-52A/D/F/G, FB-111A
수송기 전술 수송기 C-12, C-23, C-54, C-119, C-123, C-130
전략 수송기 C-124, C-141A/B, C-5A/B, C-17A
공중급유기 KC-135A/B/D, KC-10A
다목적기 C-130
훈련기 T-33, T-37, T-38
정찰기 RB-57D, U-2S, SR-71A, RF-4C, RF-16, RC-135, RB-52B/C
전자전기 EB-66, EF-111
조기경보기 E-3
공중지휘기 E-4, EC-135
회전익기 UH-19
실험기 VZ-9
취소선: 개발 취소 및 도입 취소 기종
※ 윗첨자NG: 주방위군에서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파일:미합중국 해군 마크.svg 냉전기 미합중국 해군 항공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미합중국 해군
United States Navy, USN
회전익기 경헬기 S-52, H-19
다목적헬기 UH-1E/N
수송헬기 CH-46, CH-53
공격헬기 AH-1G/J/W
대잠헬기 SH-2, SH-3, SH-60
제공 전투기 1세대 FJ-1, FJ-2, FJ-4, F2H(F-2), F9F-2, F6U, F7U, F9F-6
2세대 F3H-1/2(F-3), F-11, F8U, F4D(F-6)
3세대 F-4A/B/J/N/S, F-111B
4세대 F-14A/B/D, F-18A/B/C
해병전투기 F8U, F-4A/B/J/N/S, F-5 II/III, F/A-18A/B/C/D, AV-8B, F4D(F-6), XFV-12
지상 공격기 A-1E/D/N/H, A-2, A-3, A-4A/B/C/E/F/M, A-5, A-6, A-7A/B/E, AF
전자전기 F3D-2Q(F-10), EA-6B, EP-3
수송기 C-1, C-2
공중급유기 KC-130
해상초계기 P-2V, P-3A/B/C, S-2, S-3
조기경보기 E-1, E-2C/D, E-6
훈련기 T-38, T-2, T-45
취소선: 개발 취소 및 도입 취소 기종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현대 프랑스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008080> 프랑스 항공우주군
Armée de l'Air et de l'Espace

프랑스 해군 항공대
Aéronavale
회전익기 <colbgcolor=#008080> 공격헬기 HSS-1육/해/공/R, SA 313B 알루에트 II육/해/R, SA 341F 가젤, SA 342M 가젤, AS565 AA해/공, AS565 AB/CA해/공, 타이거 HAP, 타이거 HAD
다목적 헬기 알루에트 III육/해, AS332 쉬페르 푸마해/공, AS565 팬서해/공 AS532 쿠거
수송헬기 SA 321쉬페르 프렐롱 해/공/R, AS330 푸마육/공, EC725 카라칼, NH90 TTH 카이만, SE.3000R
대잠헬기 AS332F 쉬페르 푸마, AS532 SC, NH90 NFH 카이만
프롭 전투기 스핏파이어 LF.Mk. IXR, Ki-43원정군/C/R, A6M2-N원정군/C/R, 시파이어해/R , F8F-1B해/R, F4U-7해/R
제공 전투기 1세대 M.D.450 우라강R, S.O. 4050 보투르 NR, F-84F/GR, 미스테르 IIR, 미스테르 IVR, 아퀼롱 203해/R
2세대 F-100DR, F-86KR, 쉬페르 미스테르 B.2R, 에탕다르 IVM해/R, F-8E (FN)해/R
3세대 미라주 III C/ER, 미라주 F1R
4세대 미라주 2000
4.5세대 라팔 C 스탕다르 F3/F3R, 라팔 M
6세대 {FCAS}
공격기 SB2C-5, A-1 스카이레이더R, 1050 알리제해/R, S.O.4050 보투르 IIAR, 재규어 AR, 쉬페르 에탕다르해/R, 미라주 V, 미라주 2000 N/D,
폭격기 PB4Y-2해/R, S.O.4050 보투르 IIBR, 미라주 IVR, AAS 01X
수송기 C-160R, C-119R, C-124, C-130(H/H-30/J-30), A400M 아틀라스, NC.701R
지원기 조기경보기 E-2C 호크아이, E-3F 센트리
대잠초계기 아틀란틱해/R, 아틀란틱 II, {MAWS}
정찰기 브레게 1150 아틀란틱, 다쏘 팔콘, Fi 156해/공/R
신호정보 수집기 C-160G 가브리엘
공중급유기 A330 피닉스, C-135FR, KC-130J
무인기 UAV 캠콥터 S-100, VSR700
UCAV MQ-9, 다쏘 뉴론, {유로드론}
훈련기 EMB 312FR, 푸가 CM.175 제피르R, Ar 96R, 무드리 CAP 10해/공, 미라주 2000B-S5, 다쏘-도르니에 알파 젯, SIPA S.10R
다목적기 다쏘 팔콘 10M
기타 Nord SS.10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C: 노획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기종
취소선: 개발 또는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현대 베트남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0px;"
'''[[베트남 인민군|
베트남 인민군 (1944~현재)
Quân đội Nhân dân Việt Nam
]]'''
회전익기 '''[[무장헬기|
경헬기
]]'''
<colbgcolor=#fefefe,#393b42>AS350 B3 에큐워이 | Mi-1
'''
다목적 헬기
'''
Ka-32S | Mi-17(-1V) | Mi-8(P/T) | AS332 L2 슈퍼 퓨마 | SA.330J 퓨마 | EC225LP 슈퍼 퓨마 Mk.2+ | AS365 N2 도팽 | UH-1H 휴이C | Mi-4
수송헬기 CH-47A 치누크C | Mi-6
공격헬기 Mi-24A
대잠헬기 Ka-28 | Ka-25BSh
'''[[전투기|
전투기
]]'''
프롭 Ki-43 하야부사
'''[[1세대 전투기|
1세대
]]'''
MiG-17(A/F/PF) · 선양 F-5
'''[[2세대 전투기|
2세대
]]'''
MiG-19S | 선양 F-6 | MiG-21(F-13/PFM/PFL) | F-5C 스코시 타이거C | F-5(A/B) 프리덤 파이터C
'''[[3세대 전투기|
3세대
]]'''
MiG-21(MF/bis) | F-5(E/F) 타이거 IIC
4(.5)세대 Su-27(SK/UBK) | Su-30MK2V
공격기 Su-22(M3/M4) | A-37(A/B) 드래곤플라이C | A-1 스카이레이더C
폭격기 Il-28
'''[[정찰기|
정찰기
]]'''
전술 An-30 | RF-5AC
'''[[수송기|
수송기
]]'''
경량 C-295M | An-26 | NC-212i | An-24 | Il-14 | C-123K 프로바이더C | An-2TD | DHC-4 카리부C | C-47 스카이트레인C | Li-2
'''
전술
'''
Il-18 | C-130(B/E) 허큘리스C | C-119K 플라잉 박스카C
수상기 VNS-41 | Be-12
다목적기 O-1A 버드 도그C | O-2A 스카이마스터C | U-17(A/B) 스카이왜건C | DHC-2 오터C | Ae-45
'''
지원기
'''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DHC-6 트윈 오터 | PZL M28B-1R 브리자
'''[[무인기|
무인기
]]'''
'''
SUAV
'''
클래스 1 - 극소형
VT-스위프트 | 시크라
클래스 1 - 초소형
ADS 오비터 2 | M-400CT | VT-패트롤
클래스 1 - 소형
RQ-27 스캔이글 | VUA-SC-3G | VT-피전
'''
UAV
'''
클래스 3 - MALE급
IAI 헤론 | HS-6L
'''[[훈련기|
훈련기
]]'''
프롭 T-6C 텍산 II | Yak-52 | T-28A 트로젼C | Z 226MS 트레너 | T-41D 메스칼레로C | TL-1 뜨 륵 | Yak-18
제트 L-39NG | Yak-130 | L-39C 알바트로스 | Su-22UM3K | L-29 델핀 | MiG-21(US/UM) | T-37 트윗C | MiG-15UTI
VIP 탑승기 Mi-172 | Yak-40K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윗첨자C: 노획 기종
취소선: 개발 취소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3D3137>1차
세계대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협상군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동맹군
전간기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2차
세계대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1943-1947).svg
미국
파일:RAF_type_C1_roundel.svg
영국
파일:독일 공군(나치 독일) 라운델2.svg
나치 독일
파일:일본 공군 라운델.svg
일본 제국
파일:Italy-Royal-Airforce.svg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1914-1940).svg
노르웨이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1934-1945).svg
핀란드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Roundel_of_the_Royal_Thai_Air_Force_(1941-1945).svg
태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대만 국장.svg
중화민국
파일:Czech_roundel_(right_wing).svg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파일:Roundel_of_Bulgaria_(1937-1941).svg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1942-1945).svg
헝가리 왕국
파일:Nationalist_air_force_black_roundel_with_arrows.svg
스페인
파일:Manchukuo_Air_Force_Roundel.svg
만주국
파일:Emblem_of_Mongolian_People's_Army.svg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colbgcolor=#3d3137>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공군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서아시아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
파일:아시아 위치.svg
아시아
}}}}}}}}}}}}



[1] B-29와 동일한 엔진을 사용한다.[2] T-50 골든이글을 생각하면 비슷하다.[3] B-17의 절반 정도의 폭장량이다. 덧붙여 파생형들 중에는 전술핵 운용능력을 가진 것도 있었고, 이들은 핵전쟁 발발시 다른 핵탑재 폭격기들의 소련 영공 진입에 앞서 소련의 레이더기지 등 방공시스템에 핵을 투하하는 역할이었다고 한다.[4] 농담이 아니라 실제로 달았다. 심지어 욕조도 달아서 투하시키려고 했다고 한다. 자세한 것은 후술.[5] 원래 더글라스가 신형 항공모함에 탑재할 함상폭격기로서 개발했으나 실전에는 참가하지 못한 채 주로 연습 및 훈련용으로 사용되다가 퇴역했다.[6] XBT2D Destroyer II란 명칭은 그 흔적이다.[7] 무식하게 강력한 엔진 덕에, 항공기 이륙시 프로펠러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심각한 수준의 토크 스티어(torque steer)를 발생시켰고 조종간을 거의 반대방향으로 기울이다시피 해야 정상적으로 뜰 수 있었다고 한다.[8] A-10까지는 아니지만, 제대로 된 대공포가 아닌 베트콩대공포 정도는 씹을 수 있었다고...[9] 사실, 스카이레이더가 첫 비행한 1945년 여름의 시점에서 미 해군이 개발중이던 함상공격/뇌격기는 마틴 몰러(혹은 멀러)와 더글라스 스카이파이레트들이 있었다. 그런데 몰러는 시험도중 드러난 문제들을 해결하느라고 실전배치가 늦어지면서 소량 배치/조기 퇴역으로 끝나고, 스카이파이레트는 성능상의 문제는 전혀 없었지만 미드웨이급 항공모함에서나 운용가능하다는 거대한 기체 크기로 인해 채용조차 되지 못했다. 게다가 2톤 폭장의 마울러와 3.8톤 폭장의 스카이파이레트에 비해서 스카이레이더는 그들보다 작으면서도 3.6톤을 폭장한데다 항속력은 마울러와 동등했고 스카이파이레트의 절반이었다. 전후 급격한 예산감축에 시달리던 미 해군 입장에서는 운용성과 비용대비 효과 모두 스카이레이더의 손을 들어주는게 당연했다.[10] 근접항공지원, 즉 CAS다.[11] 엔진부터가 B-29에 사용되었던 공랭식 2800마력 피스톤엔진 이었다. 심지어 현재 생산되는 프롭 공격기중 제일 고성능인 슈퍼투카노조차 A-1보다 출력은 1000마력나 부족하고 최대이륙중량은 절반에도 못 미친다.[12] 사실 원래 명칭은 AD-1이었는데, P-51은 F-51이 되는 식으로 공격기는 A-, 폭격기는 B-, 전투기는 F- 등의 통합번호가 부여되면서 A-1이 되었다.[13] 이경우는 우연히 서로 마주친 상황에서 A-1들이 뒤늦게 도망가봐야 각개격파 당할걸 알았기에 죽기살기로 미그기를 향해 쐈는데 운 좋게 격추에 성공했다.[14] 히스토리 채널에서 방영했던 실전최강 전투기 대전(세기의 공중전:스카이워) 시즌2 5화에서 이 공중전을 다루었다.[15]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폭탄에다 싱크대를 매달아 놨다.[16] 참고로 미국식 표현중 "Everything with the kitchen sink"란 표현이 있는데 "몽땅 다 털어갔다"란 의미이다. 부엌 싱크대는 고정된 기구인데다가 가정집이라면 반드시 있는 물건이므로 이것까지 가져갔다는 의미는 그야말로 남김없이 다 가져갔다는 뜻이다.[17] 복좌형인 A-1E 기종이기 때문에 가능했다.[18] 변기 옆에 붙어있는 마크는 자그마치 비행대 마크우수 폭격기장[19] 1927.01.30. ~ 1966.09.14., 북베트남 앞바다에서 작전중 전사.[20] 이런 일 때문에 항공기용 무장 등 외부 장착물은 아무 위치에나 달지 못하고, 각 기종마다 장착 가능한 장착물의 종류/수량/위치 등의 조합을 사전에 검증하여 기술문서에 지정해 놓는다. 지금 와서야 웃으며 이야기할 수 있는 지나간 에피소드지만, 이들이 벌인 짓은 사실 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매우 위험한 규정 위반 행위였던 것.[21] 소문에는 '싱크대, 변기를 떨궜으니 이제 욕조만 남았다'면서 욕조를 달고 가려다 상관에게 걸려서 미수로 끝난 적이 있다나 뭐라나...[22] Edward Henry Heinemann. SBD 돈틀리스BTD 디스트로이어, A-26 인베이더, A-3 스카이워리어, A-4 스카이호크 등을 설계한 더글라스 사의 설계 책임자로, 미군제2차 세계 대전 무렵과 냉전 무렵에 운용했던 수많은 걸작 항공기들의 설계를 책임진 인물이었다. 록히드 마틴스컹크 웍스의 리더였던 켈리 존슨과 더불어 당대의 미국을 대표하는 항공기 기술자로 명성이 높았던 인물.[23] 처음엔 AD-2만이 존재했으나, 추후 업데이트로 출시되었다. 프랑스의 AD-4도 마찬가지.[24] 당시 VA-35는 AD-3를 운용했으나 현재 비행 가능한 기체가 없어 AD-4W로 대체한 것으로 보인다.[25] 당시 압록강 철교는 단선철교와 복선철교로 이루어져 있었다.[26] 이후 이 단선 철교는 제시 브라운이 자신의 F4U-4B에 달린 로켓으로 교각을 파괴해 무너뜨린다. 다만 복귀 명령을 무시하고서 한 짓이라 이후 복귀해 한 소리 듣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