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8 06:38:12

KC-10

파일:맥도넬 더글라스 로고.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315288,#FFF {{{#!folding 맥도넬 더글라스 항공기 목록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000,#e5e5e5
민항기
<colbgcolor=#eee8aa,#544e10> 쌍발기 DC-9MD-80MD-90MD-95(B717)
3발기 DC-10MD-11
4발기 DC-8MD-12
군용기
전투기 FH 팬텀F2H 밴시F3H 데몬F3D 스카이나이트F-6(F4D)F5D 스카이랜서F-4 팬텀 II
F-101F-15F/A-18F/A-18E/F
공격기 BTD 디스트로이어A-1A-3A-4AV-8B
폭격기 B-18A-20A-26
급강하폭격기 SBD 돈틀리스
뇌격기 TBD 데버스테이터
수송기 C-17C-47C-54
공중급유기 KC-10
훈련기 T-45
헬리콥터
군용 MD 500AH-64
더글라스의 1945년 이전 모델
쌍발기 DC-1DC-2DC-3 ‧ DC-5
4발기 DC-4DC-6DC-7
※ 제조사별 항공기 둘러보기 }}}}}}}}}}}}}}}


파일:미합중국 공군 마크.svg 현대 미합중국 공군 항공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5a99> 미합중국 공군
United States Air Force, USAF
전투기 <colbgcolor=#005a99> 4세대/4.5세대 F-16(A/BR, C/D, CM/DM), F-15(C/D/E/EX)
5세대 F-22A, F-35A, F-23, F-32
6세대 {PCA}
공격기 AT-6B, A-10C, AC-130(H/U/W)R/AC-130J, F-117
폭격기 B-52(H/{J}), B-1B, B-2A, {B-21}
수송기 전술 C-12(C/D/F), C-12J, C-27J, C-41AR, C-144, C-145, C-146A, LC-130H, C-130(H/J/J-30)NG
전략 C-17A, C-5M
지원기 조기경보기 E-3(B/C/G), E-8CR, {E-7}, E-10
정찰기 E-9A, U-2S, U-28, CN-235
통신중계기 E-11A
계측통신정보기 RC-135S
전자정찰기 RC-135U, EC-130H/J/SJ, EA-37B
신호정보수집기 RC-135V/W, RC-26B
기상관측기 WC-130J
대기분석기 WC-135(C/W/R)
관측지원기 OB-135B
공중지휘기 E-4
공중급유기 KC-10A, KC-135R/T, {KC-46A}
회전익기 V-22, TH-1H, UH-1N, M/HH-60G/U, {HH-60W}, {MH-139}, V-44
무인기 SUAV RQ-11B, RQ-20B
UAV RQ-4A/B, RQ-170, RQ-180
UCAV MQ-1BR, MQ-9A/B, MQ-20, {CCA}
훈련기 T-1A, T-41C, T-51A, T-52A, T-53A, TG-16, T-6 II, T-38(A/C), TU-2S, {T-7A}
다목적기 UV-18B, U-27, U-28
특수목적기 MC-130(J/H/P), MC-12W
주요인사 탑승기 VC-25, C-20(A/B/C), C-20(G/H), C-21A, C-32(A/B), C-37(A/B), C-38A, C-40(B/C)
※ 윗첨자R: 퇴역 항공기
취소선: 개발 취소 및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항공기
※ 윗첨자NG: 주방위군에서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파일:KC-10_Extender_with_the_76th_Air_Refueling_Squadron.jpg
McDonnell Douglas KC-10 Extender

1. 개요2. 제원3. 개발
3.1. KC-135의 한계와 대안모색3.2. DC-10으로의 결정 및 특징3.3. 네덜란드의 우여곡절 도입사
4. 운용국
4.1. 미국4.2. 네덜란드
5. 파생형6. 대중매체7. 둘러보기

1. 개요

미국맥도넬 더글라스가 개발한 DC-10 여객기 기반의 공중급유기.

2. 제원

McDonnell Douglas KC-10 Extender[1]
길이 54.4m
날개폭 50.0m
높이 14.7m
승무원 최소 4명, 의료요원도 추가 탑승가능
자중 109.3톤
적재량 160.2톤
이륙최대중량 267.6톤
엔진 제너럴 일렉트릭 CF6-50C2(추력 52,500파운드) 3기
최고속도 996km/h
항속거리 보급용 연료 68톤 탑재시 7,032km, 공중량 18,507km
최대고도 12,727m

3. 개발

3.1. KC-135의 한계와 대안모색

미 공군은 첫 제트추진식의 공중급유기인 KC-135를 대량 구매하여 400대 이상을 갖추게 되었다. 그런데 베트남 전쟁이 시작되면서 KC-135의 능력에 의구심이 제기되었다. 연료를 만재할 경우 2,419km밖에 되지 않는 항속거리와 빈약한 탑재량으로는 전술기 및 전략폭격기에 급유를 해 주기는 어려웠기에, 미 공군은 베트남 전쟁의 항공지원을 위해서 상당수의 KC-135를 동남아시아 지역에 전진배치하고 나머지를 미국 내 기지에서 발진할 전략폭격기 부대용으로 남겨놓는 실정이었다. 그래서 KC-135보다 탑재량이 더욱 크고 장거리를 날 수 있는 기체가 절실히 필요하게 되었다. 그래서 1972년에 미 공군은 DC-10 두 대를 에드워드 공군기지에서 시험하며 공중급유기로 사용가능한지 테스트했고, 보잉도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실험을 보잉 747로 수행하고 있었다.
파일:CZGUm-PVIAA_CoY.jpg
보잉의 747 기반 공중급유기 시험 장면[2]

베트남 전쟁 수행에서 제기된 문제는 이듬해인 1973년 제4차 중동전쟁에서 본격적으로 대두되었다. 초반 아랍 연합군의 선전으로 위기에 봉착한 이스라엘을 구원하기 위해 전무후무한 장거리 수송작전을 감행한 미국은 KC-135의 짧은 항속거리 때문에 상당한 곤란을 겪게 된다. 당시 포르투갈[3]을 제외한 유럽국가들은 미국이 이스라엘을 지원하는데 자국내 미군기지나 공항을 사용하는 것을 절대 허락하지 않았기 때문에 특히 항속거리가 짧은 전투기나 공격기를 신속하게 대량으로 이스라엘에 보내기 위해 처절한 작전을 펼쳤다.[4]

3.2. DC-10으로의 결정 및 특징

미 공군은 1975년에 수립한 공중급유기 조달계획에 따라서 C-5, 보잉 747, DC-10, L-1011의 네 기종을 검토한 결과 보잉747과 DC-10 두 기종으로 압축하였고 최종적으로 1977년 12월 맥도넬 더글라스의 광동체 여객기 DC-10을 선정하고 KC-10 Extender라는 제식명칭을 부여하였다.[5]

파일:4850360372_5b3c460229_b.jpg

기반이 되는 기체는 장거리 여객/화물 겸용기인 DC-10-30CF이며, 붐 통제실이 동체 뒤쪽에 설치되었고 동체 하부의, 통상적으로 항공컨테이너 격납구획으로 쓰이는 로워 덱에 연료탱크가 설치되었다. 급유방식은 동체 뒷부분에는 붐이, 후방동체 오른쪽에는 드로그 시스템이 설치되어 공군, 해군, 해병대의 항공기 및 나토 소속의 군용기 모두가 급유를 받을 수 있게 했다. 후기형의 기체는 날개에도 드로그 시스템을 달아 여러 항공기에 동시에 급유할 능력이 증대되었다. 로워 덱 카고도어와 객실용 창문은 삭제되었다.
파일:2D81B489-5E8C-4A91-8D8C-259373469483.jpg
파일:external/www.globalsecurity.org/kc10_f18.jpg
파일:KC-10_10.jpg

초도비행은 1980년 7월 12일에 이루어졌고 초기 도색은 하부는 옅은 회색, 상부는 흰색, 조종석 주변은 청색이었다. 이후 회색-녹색 위장도색도 사용되었고, 현재는 중간 톤의 회색이다. #

3.3. 네덜란드의 우여곡절 도입사

이후 네덜란드 공군은 1984년부터 관심을 보였으며, 1991년에는 4,500km 이상의 항속이 가능하고 F-16에 급유가 가능한 대형 수송기라는 구체적인 요구사항이 나오게 되었다. 네덜란드는 이듬해인 1992년 DC-10-30CF 2대를 마르틴에어(Martinair)로부터 조달하는데, 구매하기로 예정되었던 기체 중 한 대가 사고를 당하고 말았다. 대체기도 같은 항공사에서 구매하였다.

기체의 개수를 맡은 회사는 기체 제작사인 맥도넬 더글라스. 역시 미 공군 사양같이 붐 방식과 프로브/드로그 방식을 모두 갖춘 기체로 만들어졌는데 여기서 문제가 생겼다. 맥도넬 더글라스는 요구된 원격 공중급유 운영(Remote Aerial Refueling Operator, 약칭 RARO) 시스템에 대해서는 경험이 없었고, 처음 계약 때의 2대와, 나중에 도입한 3번째 기체가 다른 기체여서 1994년 회계연도에 책정된 비용인 8590만 달러로는 감당이 안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래서 프로브/드로그 방식과 여객/화물구획의 고정격벽은 생략하기로 하고 비용을 9600만 달러로 겨우 맞추는 데에 성공했다. 그리고 비용이 늘어난 것에 대해 맥도넬 더글라스는 네덜란드의 회사에 외주를 주는 식으로 비용절감을 해서 결국 실질적인 개수는 KLM 네덜란드 항공이 하였다. 이렇게 우여곡절 끝에 1호기는 1994년 10월에서 1995년 9월, 2호기(1호기와는 형번이 다른 기체)는 1995년 2월에서 12월까지의 개장공사를 거친 뒤에 네덜란드 공군용 기체가 완성되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기체를 KDC-10이라 부른다.

그런데, 맥도넬 더글라스가 부품공급을 적시에 하지 않아 공사가 지연되는 일이 빈번했다. 하지만 네덜란드는 AH-64도 같이 구입하기로 한 터라 인도지연에 대한 책임을 물을 수는 없었으며, 멕도넬 더글라스의 말미에 벌어진 횡포로 악명높게 기억되는 사건이기도 하다.

4. 운용국

1981년 실전배치된 이래 DC-10-30CF 기반으로 제작된 기체는 모두 64대이며, 미 공군용으로 60대, 네덜란드 공군용으로 2대가 제작되었다. 이 외에 민간 공중급유 기업 오메가 에어가 주문한 DC-10-40 기반의 기체가 1대가 있다.

4.1. 미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2_Spirit_and_KC-10_Extender.jpg

미 공군의 KC-10은 당초 전략공군사령부 소속이었으나 1992년에 공군 편제가 개편되면서 공군기동사령부 소속으로 이관되어 있다. 주둔 기지는 캘리포니아의 트래비스 공군기지 및 뉴저지의 맥과이어 공군기지. 주된 임무는 전략임무기의 공중급유 및 전술기의 장거리 자력 배송이다. 그리고 전작인 KC-135는 전장 현지에서의 전술 공중급유용으로 운용되고 있다. 미공군이 보유하고 있는 수송기들 중 세번째로 큰 규모를 자랑한다.[6]

1986년 리비아 공습, 일명 엘도라도 계곡 작전(Operation El Dorado Canyon) 수행중 중부유럽 국가들이 미군 작전기의 주둔은 물론 통과통항까지도 허용하지 않았을 당시 KC-10은 대활약을 하였다. 미 공군은 영국에 주둔하던 F-111의 공중급유에 KC-10을 대거 활용했다. 이밖에도 1990년 걸프 전쟁 당시 사우디아라비아로의 수송작전인 사막의 방패 작전(Operation Desert Shield)에서도 대활약했으며 2009년까지 이라크, 아프가니스탄 군사작전에서도 급유, 화물 및 병력수송의 역할을 담당했다.

운용중인 기체의 현대화 개수는 맥도넬 더글라스를 인수한 보잉이 담당하고 있다.

1987년 8월 17일에 기체번호 82-0190이 루이지애나 바크스데일 공군기지에서 유지보수 도중에 폭발사고로 파괴되었다.

C-9 나이팅게일의 퇴역 후 환자수송용으로도 쓰이기도 하는데, 2004년 7월초에 친지 방문차 미국에 갔다가 전신마비로 쓰러진 후 LA의 한 병원 중환자실에서 3개월차 입원했던 신형진씨가 같은해 9월 23일에 들것에 실린채로 이 비행기를 타고 서울공항을 통해 귀국해 치료를 받기도 했다. # 같은해 오산 에어파워데이에도 전시되어 엄청난 포스를 뽐내기도 했다.[7]

이미 디지털 칵핏으로 개조된 KC-135이나 E-3와 달리 더 장기적으로 운용할 기체임에도 ADI 정도만 디지털로 변경했을뿐 여전히 오리지널 칵핏을 유지하고있다. 이미 민간에서 날아다니는 대부분의 DC-10이 MD-10 개조를 받은것을 생각하면 아이러니한 부분중 하나이다.

4.2. 네덜란드

파일:KC-10_11.jpg
KDC-10
네덜란드 공군의 KDC-10도 많은 활약을 하고 있다. 기지는 아인트호벤 공항이며, 네덜란드 공군 및 나토 회원국가 군용기의 공중급유 (작전시간 중 50%), 평화유지군 활동 및 인도적 구호의무 등 (작전시간 중 32%)에도 투입되고 있다. 코소보 분쟁에서의 난민 탈출작전, 아프리카, 아시아 지역의 구호활동 및 1998년 인도네시아수하르토 정권 붕괴 당시 자국민 소개 임무에도 활약하였다. 2020년 이후에 폴란드와 노르웨이와 공동으로 운용하는 조건으로 해당 기종을 A330 MRTT로 대체할 예정이다.

5. 파생형

  • KC-10: 미 공군 사양. DC-10-30CF를 기반으로 신조한 기체.
  • KDC-10: 처음부터 공중급유기로 생산한 기체가 아니라 이미 여객기로 쓰였던 DC-10을 개조한 기체. 네덜란드 공군 사양은 1번기와 2번기가 형번이 다른 기체이며, DC-10-40을 개수한 기체는 Omega Air와 Global Air Tanker Service에서 운용중이다.

6. 대중매체

  • 영화 에어 포스 원에서 테러범들에게 납치당한 에어 포스 원에게 KC-10이 급유하러 왔다가 에어 포스 원의 급격한 고도하락으로 급유관에 스파크가 튀어 불이 급유관을 따라가 결국 KC-10에 불이 붙어 공중 폭발하게 된다. 참고로 이 장면은 다이 하드 2의 경우처럼 현실 반영 오류에 해당된다도 말하나, 엄밀히 불가능한 사고는 아니기 때문에, 다이하드와는 달리 완벽한 오류가 아니라는 반박도 있다.
  • 애니메이션 걸즈 앤 판처 극장판에서는(설정집에서만 언급됐지만) 오아라이 여학원 전차 회수/반환 작전에서 선더스 고교의 C-5 항속거리 연장용으로 2대가 투입되었다.

7. 둘러보기

파일:미합중국 공군 마크.svg 냉전기 미합중국 공군 항공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5a99> 미합중국 공군
United States Air Force, USAF
지상 공격기 A-1, OV-10, F-105, F-107, F-111, A-7D, A-10A, A-26, A-37A/B, AC-47, AC-130A/E
제공 전투기 <colbgcolor=#005a99> 1세대 F-80C, F-84, F-86A/F, F-86E-6-CAN
2세대 F-100A/C/D, F-101A/B/C/D, F-102A/B/C, F-104A/C, F-105B/C/D, F-106A/B, F-108
3세대 F-4C/D/E, F-5A/B/E, F-111A
4세대 F-15A/B/C/D, F-16A/B/C/D
5세대 ATF, YF-23
폭격기 B-26, B-29, B-36, B-45, B-47, B-50, B-57, B-58, B-66, YB-49, XB-70, B-1A, ATB, B-52A/D/F/G, FB-111A
수송기 전술 수송기 C-12, C-23, C-54, C-119, C-123, C-130
전략 수송기 C-124, C-141A/B, C-5A/B, C-17A
공중급유기 KC-135A/B/D, KC-10A
다목적기 C-130
훈련기 T-33, T-37, T-38
정찰기 RB-57D, U-2S, SR-71A, RF-4C, RF-16, RC-135, RB-52B/C
전자전기 EB-66, EF-111
조기경보기 E-3
공중지휘기 E-4, EC-135
회전익기 UH-19
실험기 VZ-9
취소선: 개발 취소 및 도입 취소 기종
※ 윗첨자NG: 주방위군에서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현대 네덜란드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5px -0px -11px;"
네덜란드 왕국군 (1945~현재)
Nederlandse krijgsmacht
회전익기 공격헬기 AH-64DN/EN
수송헬기 CH-47CR, AS532U2, CH-47F, {H225M}
대잠헬기 NH90 NFH
전투기 4세대 / 4.5세대 F-16AM/BM MLU
5세대 F-35A
수송기 C-130H, {C-390}
지원기 조기경보기 E-3ANAEW&CF, {E-7}NAEW&CF
대잠초계기 아틀란틱R, P-3CR
정찰기 봉바르디에 리어젯 36
공중급유기 KDC-10, 에어버스 A330 MRTTMMF
무인기 MQ-9, 스캔이글, RQ-11, {하이아이 에어복서}
훈련기 PC-7, Fw 58R
비행정 Do 24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NAEW&CF: NAEW&CF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MMF: NATO MMF 공동 운용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취소선: 개발 취소/도입 취소 기종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3D3137>1차
세계대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협상군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동맹군
전간기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2차
세계대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1943-1947).svg
미국
파일:RAF_type_C1_roundel.svg
영국
파일:독일 공군(나치 독일) 라운델2.svg
나치 독일
파일:일본 공군 라운델.svg
일본 제국
파일:Italy-Royal-Airforce.svg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1914-1940).svg
노르웨이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1934-1945).svg
핀란드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Roundel_of_the_Royal_Thai_Air_Force_(1941-1945).svg
태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대만 국장.svg
중화민국
파일:Czech_roundel_(right_wing).svg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파일:Roundel_of_Bulgaria_(1937-1941).svg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파일:Nationalist_air_force_black_roundel_with_arrows.svg
스페인
파일:Manchukuo_Air_Force_Roundel.svg
만주국
파일:Emblem_of_Mongolian_People's_Army.svg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colbgcolor=#3d3137>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틀:현대전/바그너 그룹 항공병기|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공군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서아시아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
파일:아시아 위치.svg
아시아
}}}}}}}}}}}}


[1] 미합중국 공군 운용 기체 기준.[2] 기체번호 N1352B, 레지번호만 임시로 바꾸고 있던 보잉 747의 프로토타입이다.[3] 정확하게는 본토가 아닌 대서양에 위치한 포르투갈령 아조레스 제도의 미공군 기지 사용을 눈감아 줬다.[4] 특히 항속거리가 짧은 경공격기인 A-4 스카이호크가 문제였는데 아조레스에서 이스라엘의 벤구리온 공항으로 옮기기 위해 6함대 소속의 항공모함 존 F.케네디, 프랭클린 D. 루즈벨트, 인디펜던스 이렇게 세 척을 지브롤터 해협에서 크레타 섬까지 지중해에 주욱 일렬로 늘어놓고 중간 기착 및 급유 기지 역할을 하게 해야만 했다. KC-135 의 항속거리가 C-141 수준만 되었어도 이렇게까지는 할 필요가 없었을 것이다.[5] 747은 이란 공군, L-1011은 영국 공군에 채택되었다.[6] 1위는 C-5, 공동 2위는 VC-25E-4, 4위는 C-17이다.[7] 미공군 썬더버드팀과 함께 2대가 왔는데, 그중 한대가 전시되었으며, 기내 공개는 하지 않았다. 의외로 큰 기체여서 사진에서만 보다가 실물을 영접하고 생각보다 큰 크기에 깜짝 놀랐던 사람들도 많았다. 사실 KC-10은 최대이륙중량이 260톤으로, 보잉 767보다도 크며 보잉 777-200과 비슷한 크기의 거대한 광동체이다. A330과 비슷한 수준. 참고로 국내에 훈련차 자주 들어오는 KC-135와 달리 이 기종을 국내에서 보는건 매우 어렵다.[8] C-5를 박기전 C-5를 쫓던 F-35A 1대를 들이박아서 터트려 버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