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9 09:03:29

F-100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네덜란드의 포커사에서 제작한 소형 쌍발 제트 여객기에 대한 내용은 포커 100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미국 국기.svg 센츄리 시리즈 파일:미국 국기.svg
[[F-100|
파일:센츄리1.jpg
]]
[[F-101|
파일:센츄리2.jpg
]]
[[F-102|
파일:센츄리3.jpg
]]
F-100 F-101 F-102
[[F-104|
파일:센츄리4.jpg
]]
[[F-105|
파일:센츄리5.jpg
]]
[[F-106|
파일:센츄리6.jpg
]]
F-104 F-105 F-106
파일:F-100.jpg
North American F-100 Super Sabre

1. 개요2. 제원3. 개발 배경4. 개발의 어려움
4.1. 관성 커플링(inertia coupling)4.2. 세이버 댄스(saber dance)
5. 운용 역사
5.1. 베트남전5.2. 미군 외 운용
6. 기타7. 매체에서의 등장8. 관련 문서9. 둘러보기

1. 개요

F-100은 슈퍼 항공기였다. 1,150 시간 동안 이 항공기를 비행하면서 심각하다고 생각되는 문제점을 발견할 수 없었다. 이 항공기로 비행하는 것은 큰 즐거움이었다.
- F-100 조종사 돈 슈멘크

미국 노스 아메리칸에서 제작된 초음속 제트전투기/전폭기미 공군에서 1954년부터 1971년까지 운용했다. (주방위군에서는 1979년까지 운용.). 형식번호에서 알 수 있다시피 센츄리 시리즈 과부제조기 시리즈 중 최초의 기종이자, 미 공군 최초의 초음속 제트 전투기라는 의의가 있는 기종이다. 마찬가지로 슈퍼 세이버란 이름에서 알 수 있다시피 F-86 세이버의 후속작이다. 이후 훨씬 더 속도가 빠른 F-4 팬텀과 F-105 썬더치프에 주력 전폭기 자리를 내주게 되지만, 그래도 계속 근접지원(CAS) 용으로 운용되다가 A-7 콜세어2에게 자리를 내주게 된다. 물론, 미 공군만 운용한 것은 아니고, 대만, 프랑스, 터키 등에서도 운용되었다.

2. 제원

'''North American F-100 Super Sabre'''
승무원 1명(와일드 위즐형 2명)
길이 50피트 (14.95 미터)
날개 폭 38피트 9인치 (11.81 미터)
날개면적 400제곱피트 (37제곱미터)
공허중량 21,000파운드 (9,500Kg)
전비중량 28,847파운드 (13,085Kg)
엔진 프랫 & 휘트니 J57 터보제트 엔진 1기
  • 추력: 10,200 파운드 (45kN)
  • 애프터버너 추력: 16,000 파운드 (71kN)
최대속도 750kts(863mph, 1,389km/h, 마하 1.134)
항속거리 1,733NM (1,995mile, 3,210km)
최대도달고도 50,000피트 (15,000미터)
상승속도 22,400ft/min (114m/s)
추력/중량비 0.55
양력/항력비 13.9
무장 20 mm Pontiac M39A1 리볼버 기총 4문 기본 장착
  • AIM-9 사이드와인더 4발 장착 가능 (공대공)
  • 혹은, AGM-12 Bullpup 2발 장착 가능 (공대지)
  • 혹은, LAU-3/A 2.75인치 로켓 포드 2/4기 장착 가능
  • 미사일 미장착시, M117 750 파운드 일반 폭탄 및, '핵폭탄' 장착 가능
항공전자장비 *Minneapolis-Honeywell MB-3 오토파일럿 장치
  • AN/AJB-1B 저공 폭격 시스템
  • AN/APR-26 RWR 장치

3. 개발 배경

1951년부터 미 공군의 제안으로 F-86 세이버의 후속기를 개발하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초개같은 개발시간을 가졌던 머스탱과 달리 1951년 1월부터 개발이 시작되어 11월 말이 되어서야 목업이 나왔는데, 이건 이전 것들과는 달리 조금 덜 떨어진다. 어쨌든 초기에는 미 공군도 별로 다른 대안이 없었던 지라 프로토타입을 270대 가량 주문했다.

4. 개발의 어려움

프로토타입 YF-100A는 양산형보다 성능이 낮은 XJ57-P-7 엔진을 달고도 마하 1.05에 도달하는 등 나름 괜찮은 성능을 보였으며, 초도 양산형 F-100A형이 53년도 10월에 생산되기 시작했으나, 비행성능에 많은 문제가 발생하여 도입이 상당히 지연되었다. 고속 제트엔진 전투기는 새로운 기술이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이해나 설계 기술이 부족했기 때문이었다.

4.1. 관성 커플링(inertia coupling)

개발 과정에서 발생한 가장 큰 문제는 특정 비행조건에서 발생하는 관성 커플링(inertia coupling) 현상과 그로 인한 요(Yaw, 수직회전축) 불안정성이었다. 초창기 제트전투기들은 긴 원통형의 무거운 기체에 비해 날개가 작고 가벼워 피치, 요 관성에 비해 롤 관성이 크게 낮은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고속에서 빠른 롤링을 길게 하면 갑작스럽게 요와 피치 움직임이 증폭되며 기체가 급격한 공기역학적 부하를 받아 공중분해되는 문제였다. 롤 레이트가 기체의 피치나 요 고유진동수와 일치하면서 양성 피드백으로 요+롤 모멘트의 진동이 발산되는 것이었다. 당시의 기체 개발 과정에서는 파일럿이 생환해야 문제를 확인하고 해결할 수 있었으나 고속으로 시험비행중 사고가 발생하면 파일럿이 사망하니 더더욱 해결하기 힘들었다. 척 예거가 이를 경험하고 살아돌아와 문제를 정확히 파악하고 전달함으로써 해결이 가능했다. 주된 해결법은 수직미익을 대형화하여 요 안정성을 확보하고 롤링 속도, 지속시간을 제한하는 방법, 받음각이 높으면[피치] 롤링을 제한하는 방법 등이 있다.

4.2. 세이버 댄스(saber dance)

또 한 가지 대표적인 문제는 날개 후퇴각때문에 생기는 "세이버 댄스"였다. 낮은 속도와 높은 받음각(피치)에서 기수가 급격하게 스스로 들리는 현상(violent pitch-up)이었다. 이 현상은 주로 착륙시 발생했고[2] 조종사가 이를 바로잡기 위해 상하좌우로 기체를 움직이며 애쓰는 모습을 외부에서 보면 마치 비행기가 춤추는 것 같다고 하여 세이버 댄스라는 이름이 붙었다.


1956년 1월 10일의 사고 장면. 우연히 고화질로 기록되면서 세이버 댄스 문제가 유명해졌고, 영화 장면으로 삽입되기도 하고 지금까지도 조종사 교육에 사용되는 유명한 영상이 되었다.

이 영상의 기체를 운행했던 바티 브룩스는 ROTC 임관 후 1954년부터 대구 공군기지에서 F-86 조종사로 근무하다가 미국으로 돌아와 F-100으로 전환해 비행 40시간만에 위의 사고가 발생했다. 랜딩기어 문제로 에드워드 공군기지에 비상착륙을 시도하는 중이었는데 마침 다른 비행 테스트를 위해 카메라가 세팅되어 있어서 고화질로 기록이 된 것이다. 영상을 보면 알 수 있겠지만 그는 이 사고로 사망했다.

당시 음속에 가까운 속도에서 항력이 너무 커지는 직선익 대신 후퇴익이 새롭게 개발되어 도입되고 있었다. 그런데 후퇴익에서는 날개의 끝부분부터 먼저 스톨이 발생, 양력이 상실된다. 그래서 착륙하기 위해 속도를 줄이고 기수를 올리면 날개 끝부분이 양력에 기여를 못하기 시작하여 날개의 중간, 안쪽부분만 양력을 발생시킨다. 그러면 후퇴익에서는 날개에서 양력이 발생하는 위치가 점점 앞으로 이동하는 것이고, 기체의 무게중심보다 양력 발생위치가 앞쪽으로 이동하므로 기수가 들리게 되는 것이다. 기수가 들리면 더욱 받음각이 커져 스톨이 발생하는 범위가 더 안쪽으로 넓어지고, 그럴수록 양력 발생위치가 더욱 앞으로 이동하는 양성 피드백으로 기수가 더욱 들리게 된다. 특히 위 영상에서는 랜딩기어가 고장난 상태였기 때문에 속도를 평소보다 더 줄인 상태로 착륙을 시도하면서 문제가 더 심하게 나타난 것이다.

현대의 전투기들은 추력대 중량비가 1이 넘어 날개의 양력 없이 엔진 출력만으로도 비행할 수 있으므로 이런 상황에선 엔진을 최대출력으로 올려 벗어날 수 있다. 하지만 F-100의 엔진은 최대출력에서도 기체 공허중량의 75%에 불과해 이것도 불가능했다. 기체가 공중에 떠있는 것을 겨우 유지할 수준이라 되려 춤추는 듯한 모습을 만들게 되었고, 착륙 직전에 발생하니 대처할 시간과 공간도 없어 대부분 사망사고로 이어졌다.

그리하여 동시대에 개발되던 F-84 또한 지연됨에 따라 전폭기로써 도입되게 되며, 후속작 F-107 울트라 세이버로 이어질뻔 하지만 F-105 덕분에 뒤엎어졌다.[3]

5. 운용 역사

미 공군에서 본격적으로 운용되기 시작한 것은 1954년 9월부터였다. 그러나 초창기 F-100A의 경우, 위에 설명한 개념 없는 스톨 현상이 자주 발생하여 운용에 애로사항을 겪다가 1955년 7월부터 엔진을 J57-P-21로 개량한 C형을 도입했다. 한편 A형은 그래도 계속 쓰이다가 1958년부터 도태시키기 시작하여 1961년에 완전히 퇴역시켰다. 이 때만 해도 47대나 비전투 손실을 봤다고 한다. 그러나, 때마침 베를린 장벽의 건설을 비롯한 냉전 체제가 확립되고 긴장이 강화됨에 따라 다시 1962년부터 도입하여 1970년대에 완전히 퇴역시켰다. C형의 경우 엔진을 개량했지만 아직도 세이버 댄스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으나, 늘어난 최고속도 덕에 핵 폭탄 폭격[4]용으로 개조된다. 그러나 사고기록은 연일 경신되어 1970년 6월 경에는 85기의 비전투 손실을 기록했다.

이러한 비행 특성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지상 공격에 더 알맞는 플랫폼을 제공하기 위해 D형을 개발하는데, 여기엔 오토파일럿 기능의 도입과, AIM-9 사이드와인더의 운용능력도 추가되었다. 1959년에는 D형의 일부가 AGM-12 Bullpup[5] 운용을 위해 개조되기도 했다. 물론, 가장 기본적인 문제인 세이버 댄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폭을 증가시켰고, 수직 미익을 27%나 크게 만들었다. D형이 처음 도입된 것은 1956년 9월이었다. 그러나 D형도 전기 장치에 문제가 좀 있어서 랜딩 기어나 에어브레이크가 잠기는 등 갖은 수모를 당했다. D형도 결국 비행특성 문제가 완벽히 해결되지 않아 1967년에 대대적인 개수를 받기 전까지 미야모리 소학교 미군기 추락사고를 포함, 500대나 사고로 손실된다. 그러나, 1968년에 F-4 팬텀으로 교체되기 전까지는 그럭저럭 쓰이게 되는데, 이건 그나마 쓸만한 센츄리 시리즈였던 F-105도 여러가지 문제가 많았기 때문이라고 한다...복좌형 훈련기인 F형도 생산되어 1958년부터 도입되었는데, F형도 1970년까지 74대나 사고로 손실되는 엄청난 기록을 남겼다.

이토록 거지같은 비행성능 때문에 고생한 나머지[6], 1972년에 전부 주 방위군으로 돌려지고, 남은 자리는 F-4, A-7, A-10으로 채워졌다. 물론, 주 방위군도 기종교체를 하게 되면서 남은 기체들은 덴마크나 터키 등으로 팔려나가고, 남는 것들은 대만 운용기의 부품공급용으로 해체되거나 무인기로 개조(QF-100)되어 공대공 미사일 실험을 위한 표적기로 쓰였으며, 운 좋게 살아남은 몇몇은 민간에 팔려가기도 했다. 현재는 93기가 현존하며 그중 6기가 여전히 비행할 수 있다.

미 공군에서 운용되는 기간 동안 사고로 유실된 기체 수는 총 889대로, 조종사 324명이 사망했다.[7]

또한, B형이 없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자세한 것은 F-100B 문서 참조.

5.1. 베트남전

베트남전에도 투입되었는데 의외로 전쟁기간중 가장 오래 운용한 기종이 되었다. 전폭기로 도입되었기 때문에 주로 지상공격만 투입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예상 외로 F-105를 위한 MiG기 사냥, FAC(Forward Air Controller), 와일드 위즐 등으로 매우 다양한 방면으로 사용되었다. 물론, 근접지원용으로도 잘 써먹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비교적 초반부터 참여했으므로, 베트남전 최초의 제트기 공중전에 참여하여 기총으로 MiG-17을 격추하기도 하는 등, 제법 전과를 올리기도 하였다.[8] 더 재미있는 것은, 이 기총격추가 베트남 전 최초의 격추로 알려지고 있을 정도라는 것이다. 베트남전에서 99.5%의 신뢰성으로 임무를 달성했다는 통계가 있을 정도로, 실전에서는 꽤나 활약을 한 셈이다.

F-100은 베트남전이 확전되기 전에 있었던 '1962년 라오스 위기(라오스 내부에서의 좌-우익간 충돌사태)'때 이미 인접 태국에 미 공군 소속으로 파견나갈 정도로 참전시기가 빠른 편이고, 이후 그대로 눌러앉아 라오스 등지에서의 폭격 임무를 담당하다가 베트남전이 터지면서 베트남 현지 기지에 파병되었다. 처음엔 라오스나 북베트남까지도 활동했으나 성능부족 때문에 점차 남베트남 영내로 작전 범위가 한정되었다. 하지만 이 덕분에 작전투입은 더 많아졌다.

미 공군은 성능이 좀 떨어지는 F-100에게 남베트남 지역에서의 아군 근접항공지원 등 궂은 일을 거의 떠맡기고 F-4 팬텀 등 신형 항공기에게는 주목도가 높지만 더 위험한 북베트남이나 라오스 공역의 임무를 할당했다. 그 결과 F-100의 수요는 폭주했고, 1968년 테트 공세와 푸에블로호 납치사건(한반도)가 겹치자 존슨 행정부는 주방위군의 제한적 현역소집을 결정해 주방위군의 F-100 운용대대들을 거의 대부분 차출해 베트남으로 보냈다.

F-100은 주로 남베트남의 수도 인근 '판랑'기지에 집중배치되었고, 수시로 긴급 작전소요에 대응해야 했기에 판랑에서는 정신없이 이착륙하는 F-100의 모습을 볼 수 있었다고 한다. 항공기간 격투전이나 대공망이 강한 지역에 대한 정밀 공격은 무리지만, 소총사격 정도가 대부분인 근접항공지원에서 F-100은 매우 성공적인 기종이었다.

물론, 오래된 기종이기에 곧 F-4C와 F-105로 교체되었으나, F-4 팬텀의 경우 기총 문제 때문에 조종사들의 원성을 사기도 했다. 주 방위군 작전 중 손실된 기체는 총 14대로, 미 공군의 작전중 손실 기체수를 제외한 수치이지만 사고로 손실된 것에 비하면 정말로 미미한 수준이다. 물론, 전쟁 중 총 손실 댓수는 242대이다.

5.2. 미군 외 운용

프랑스군에 의해 알제리 전쟁에 사용되기도 했으며, 터키에 의해 1974년 키프로스 침공전에서 F-104와 함께 쓰이기도 했다.

일본 항공자위대도 전천후 전투기로 개량한 버전인 F-100J를 도입하려 했던 적도 있지만 결국 실제 도입에는 이르지 못했다.#

6. 기타

F-100은 동 시대에 활약한 해군의 F-8 크루세이더와 여러모로 비교가 되었는데, 같은 J57 엔진을 하나 장비한 초음속 전투기임에도 불구하고 성능면에서 크게 뒤떨어졌다. 속도기록만 보아도 F-100이 최대 1,390km/h이지만 같은 엔진을 장착한 F-8은 1,975km/h. 베트남전에서의 활약도 F-8이 좀 더 화려하다. F-8이 F-100보다 4년 정도 늦게 나오긴 했지만...

파일:external/www.thexhunters.com/f-100d_aircraft_01.jpg


활주로를 없애고 대신에 전투기를 로켓부스터로 쏘아 올리려고 했던 ZELL 프로젝트의 미국내 대상기종이었다. 결국 148대가 부스터 장착형으로 개조되었지만, ZELL 프로젝트 자체의 한계로 결국 실전배치되지는 않았다. 여담이지만 독일에서는 이것을 F-104로 하려고 했다.

몇 가지 재미있는 기록도 가지고 있는데, 최초 음속 돌파한 미군 전투기라는 것과 함께, 최초로 미군 전투기-전투기간 공중 급유에 성공, 최초로 베트남전에 투입된 미군 전투기 및 최초로 베트남군 전투기와 공중전을 벌였다는 기록이 있다. 1964-1968년 기간 동안 미군 곡예 비행대, 썬더버드에서 운용하기도 했다.

7. 매체에서의 등장

파일:f-100a_china.png 파일:F-100DF.png 파일:WT_F-100D.png
F-100A ◎F-100D F-100D
  • 온라인 밀리터리 게임 워썬더에서 1.85 업데이트 전에 미리 등장이 예고되었다. 그후 한국 날짜 12월 11일에 테스트 서버인 데브서버에서 미그19와 함께 잠깐 등장하였다. MiG-19와 영국의 재블린과 함께 워썬더 최초의 6랭크 항공기이자 초음속 제트기이다. 별명은 메기인데 앞부분의 공기흡입구 모양이 마치 메기의 입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것이다.

8. 관련 문서

9. 둘러보기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의 제트전투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colbgcolor=#002664,#1c315c> 1940년대 P-59 에어라코멧 | FH 팬텀 | FJ-1 퓨리 | F2H 밴시 | F9F 팬서 | F-86 세이버 | F-84 썬더제트 | F-80 슈팅스타 | F6U 파이렛
1950년대 F-89 스콜피온 | F-94 스타파이어 | F-9(F9F) 쿠거 | F-10(F3D) 스카이나이트 | F-100 슈퍼 세이버 | FJ-2/3(F-1) 퓨리 | F7U 커틀러스 | F-1E(FJ-4) 퓨리 | F-7(F2Y) 씨다트 | F-11(F11F) 타이거 | F-3(F3H) 데몬 | F-102 델타 대거 | F-6(F4D) 스카이레이 | F-8(F8U) 크루세이더 | F-101부두 | F-104 스타파이터 | F-105 썬더 치프 | F-106 델타 다트
1960년대 F-4(F4H/F-110) 팬텀 II/스펙터 | F-5 프리덤 파이터 / 타이거 II | F5D 스카이랜서 | F-111 아드바크
1970년대 F-14 톰캣 / 슈퍼톰캣 | F-15 이글 / 스트라이크 이글 | F-16 파이팅 팰콘
1980년대 F-20 타이거 샤크 | F/A-18 호넷 | F-117 나이트호크
1990년대 F/A-18E/F 슈퍼 호넷 | F-22 랩터 | F-35 라이트닝 II
2010년대 F-15SE 사일런트 이글 | F-16V 바이퍼
2020년대 F-15EX 이글 II | F-35 라이트닝 II 블록 4
2030년대 PCA | F/A-XX
}}}}}}}}}


파일:미합중국 공군 마크.svg 냉전기 미합중국 공군 항공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5a99> 미합중국 공군
United States Air Force, USAF
지상 공격기 A-1, OV-10, F-105, F-107, F-111, A-7D, A-10A, A-26, A-37A/B, AC-47, AC-130A/E
제공 전투기 <colbgcolor=#005a99> 1세대 F-80C, F-84, F-86A/F, F-86E-6-CAN
2세대 F-100A/C/D, F-101A/B/C/D, F-102A/B/C, F-104A/C, F-105B/C/D, F-106A/B, F-108
3세대 F-4C/D/E, F-5A/B/E, F-111A
4세대 F-15A/B/C/D, F-16A/B/C/D
5세대 ATF, YF-23
폭격기 B-26, B-29, B-36, B-45, B-47, B-50, B-57, B-58, B-66, YB-49, XB-70, B-1A, ATB, B-52A/D/F/G, FB-111A
수송기 전술 수송기 C-12, C-23, C-54, C-119, C-123, C-130
전략 수송기 C-124, C-141A/B, C-5A/B, C-17A
공중급유기 KC-135A/B/D, KC-10A
다목적기 C-130
훈련기 T-33, T-37, T-38
정찰기 RB-57D, U-2S, SR-71A, RF-4C, RF-16, RC-135, RB-52B/C
전자전기 EB-66, EF-111
조기경보기 E-3
공중지휘기 E-4, EC-135
회전익기 UH-19
실험기 VZ-9
취소선: 개발 취소 및 도입 취소 기종
※ 윗첨자NG: 주방위군에서 사용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현대 프랑스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008080> 프랑스 항공우주군
Armée de l'Air et de l'Espace

프랑스 해군 항공대
Aéronavale
회전익기 <colbgcolor=#008080> 공격헬기 HSS-1육/해/공/R, SA 313B 알루에트 II육/해/R, SA 341F 가젤, SA 342M 가젤, AS565 AA해/공, AS565 AB/CA해/공, 타이거 HAP, 타이거 HAD
다목적 헬기 알루에트 III육/해, AS332 쉬페르 푸마해/공, AS565 팬서해/공 AS532 쿠거
수송헬기 SA 321쉬페르 프렐롱 해/공/R, AS330 푸마육/공, EC725 카라칼, NH90 TTH 카이만, SE.3000R
대잠헬기 AS332F 쉬페르 푸마, AS532 SC, NH90 NFH 카이만
프롭 전투기 스핏파이어 LF.Mk. IXR, Ki-43원정군/C/R, A6M2-N원정군/C/R, 시파이어해/R , F8F-1B해/R, F4U-7해/R
제공 전투기 1세대 M.D.450 우라강R, S.O. 4050 보투르 NR, F-84F/GR, 미스테르 IIR, 미스테르 IVR, 아퀼롱 203해/R
2세대 F-100DR, F-86KR, 쉬페르 미스테르 B.2R, 에탕다르 IVM해/R, F-8E (FN)해/R
3세대 미라주 III C/ER, 미라주 F1R
4세대 미라주 2000
4.5세대 라팔 C 스탕다르 F3/F3R, 라팔 M
6세대 {FCAS}
공격기 SB2C-5, A-1 스카이레이더R, 1050 알리제해/R, S.O.4050 보투르 IIAR, 재규어 AR, 쉬페르 에탕다르해/R, 미라주 V, 미라주 2000 N/D,
폭격기 PB4Y-2해/R, S.O.4050 보투르 IIBR, 미라주 IVR, AAS 01X
수송기 C-160R, C-119R, C-124, C-130(H/H-30/J-30), A400M 아틀라스, NC.701R
지원기 조기경보기 E-2C 호크아이, E-3F 센트리
대잠초계기 아틀란틱해/R, 아틀란틱 II, {MAWS}
정찰기 브레게 1150 아틀란틱, 다쏘 팔콘, Fi 156해/공/R
신호정보 수집기 C-160G 가브리엘
공중급유기 A330 피닉스, C-135FR, KC-130J
무인기 UAV 캠콥터 S-100, VSR700
UCAV MQ-9, 다쏘 뉴론, {유로드론}
훈련기 EMB 312FR, 푸가 CM.175 제피르R, Ar 96R, 무드리 CAP 10해/공, 미라주 2000B-S5, 다쏘-도르니에 알파 젯, SIPA S.10R
다목적기 다쏘 팔콘 10M
기타 Nord SS.10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C: 노획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기종
취소선: 개발 또는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파일:대만 국장.svg 현대 대만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대만군|
중화민국 국군 (1947~현재)
中華民國國軍
]]'''
<colbgcolor=#000096> 회전익기 <colbgcolor=#000096> '''[[무장헬기|
경헬기
]]'''
OH-58D 카이오와 워리어 | OH-6A 카유스 | S-51
'''
다목적 헬기
'''
EC225 슈퍼 퓨마 | S-70(C-1/C-6) 슈퍼 블루 호크 | UH-60M 블랙 호크 | UH-1(B/H) 휴이 | UH-34D 초크토우
수송헬기 CH-47SD 치누크
공격헬기 AH-64E 아파치 | AH-1W 슈퍼 코브라
대잠헬기 S-70C(M)-1/2 썬더호크 | 500MD ASW
'''[[전투기|
전투기
]]'''
프롭 P-51(B/C/D/K) 머스탱 | P-47(D/N) 썬더볼트 | P-40(E/K/N) 워호크
'''[[1세대 전투기|
1세대
]]'''
F-86F 세이버 · F-86D 세이버 도그 | F-84G 썬더제트
'''[[2세대 전투기|
2세대
]]'''
F-5(A/B) 프리덤 파이터 | F-104(A/B/C/D/G/J) 스타파이터 | F-100A 슈퍼 세이버
'''[[3세대 전투기|
3세대
]]'''
F-5E/F 중정호
4(.5)세대 F-16(A/B) 블록 20 → F-16(C/D) 블록 70 파이팅 팰콘 | 미라주 2000-5(Ei/Di) | F-CK-1(A/B) 경국 | ADF 프로젝트
공격기 XA-3 뇌명
폭격기 B-26(B/C) 머로더 | B-25(C/D/J) 미첼 | B-24M 리버레이터 | 모스키토 FB.26
'''[[정찰기|
정찰기
]]'''
전술 RF-16A | RF-5E 타이거아이 | RB-69A | RB-57(D/F) 캔버라 | RF-104 | RF-101A 부두 | RF-100A
'''[[수송기|
수송기
]]'''
경량 C-123K 프로바이더 | C-47 스카이트레인
전술 C-130H 허큘리스 | C-54(D/G) 스카이마스터 | C-46 코만도 | C-119(G/L) 플라잉 박스카
수상기 HU-16 알바트로스
다목적기 C-45 익스퍼다이터
'''
지원기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조기경보기
]]'''
E-2K 호크아이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P-3C 오라이언 | S-2(A/E/G/T) 트래커 | P-2 넵튠 | PB4Y-2 프라이버티어
전자전기 C-130HE
'''
연락기
'''
O-1버드 도그 | L-5 센티넬
'''[[UAV|
무인기
]]'''
'''
SUAV
'''
클래스 1 - 초소형
홍작미-(1/2)형
'''
UAV
'''
클래스 2 - 전술형
예연
클래스 3 - MALE급
등운
'''[[훈련기|
훈련기
]]'''
프롭 T-34C 터보 멘토 | T-CH-1 중흥호 | T-28A 트로젼 | AT-11 캔전 | AT-6 · T-6 텍산 | PL-1(A/B) 개수호
제트 T-BE-5A 용응 | AT-3 자강 | T-38A 탈론 | TF-104G · F-104DJ | T-33A 슈팅스타
헬기 TH-67A 크릭 | TH-55A 오세이지
VIP 탑승기 B737-8AR | 포커 50 | 비치 B1900C | B727-109 | B720-051B | VC-118 | VC-47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취소선: 개발 취소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png 현대 덴마크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a40000> 덴마크군 (1945~현재)
Forsvaret
회전익기 <colbgcolor=#a40000> 경헬기 AS550C2 페넥육→공 | OH-6 카유스육→공R | SA.319 알루에트 III해R | 벨 47D · AB 47G육R
다목적 헬기 AW101 멀린 Model 512 (SAR/TTT) | S-61A-(1/5) 시킹R | S-55C 치카소R
대잠헬기 MH-60R 시호크 | 슈퍼 링스 Mk.90B해→공 | 링스 Mk.80해R
전투기 프롭 스핏파이어 HF.IXeR
1세대 F-84(E/G) 썬더제트R | F-86D 세이버 도그R | F-100(D/F) 슈퍼 세이버R | 헌터 F.51R | 미티어 (F.4/F.8/NF.11)R
2세대 F-104G · CF-104G 스타파이터R | F 35 드라켄 (WDNS)R · F 35FD 드라켄
4(.5)세대 F-16(A/B)R Block 1/5/10/15F-16(AM/BM) Block 20 MLU 파이팅 팰콘
5세대 F-35A 라이트닝 II
폭격기 B-17G 플라잉 포트리스R
정찰기 전술 RF 35 드라켄R | RF-84F 썬더플래시R | 스핏파이어 PR.XIR
수송기 C-130J-30 슈퍼 허큘리스 | C-130H 허큘리스R | C-54(D/G)R | 펨브로크 C.52R | C-47AR
지원기 조기경보기 E-3ANAEW&CF | {E-7}NAEW&CF
해상초계기 챌린저 604
연락기 L-4 그래스호퍼육R | 시 오터R | 프락터 Mk.IIIR
비행정 PBV-1A 칸소-A · PBY-(5A/6A) 카탈리나R
다목적기 KZ X육R | KZ VII 레르케R | KZ IIIR
무인기 SUAV RQ-20 푸마 | RQ-11 레이븐
UAV SAGEM 스퍼워육→공
훈련기 프롭 벨리스 일렉트로 | T-17 서포터 | DHC-1 칩멍크 Mk.20R | AT-16 하버드 IIBR | AS.10 옥스포드R | KZ IIR
제트 TF 35 드라켄R | TF-104G · CF-104D 스타파이터R | 헌터 (T.7/T.53)R | TF-100F 슈퍼 세이버R | 미티어 T.7R | T-33A 슈팅스타R
표적예인 미티어 TT.20R | 파이어플라이 TT.1R
VIP 탑승기 챌린저 604 | 걸프스트림 IIIR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NAEW&CF: NAEW&CF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군의 운용장비 | 파일:jet_icon__.png 항공병기 }}}
}}}}}}


✈️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3D3137>1차
세계대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협상군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동맹군
전간기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2차
세계대전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1943-1947).svg
미국
파일:RAF_type_C1_roundel.svg
영국
파일:독일 공군(나치 독일) 라운델2.svg
나치 독일
파일:일본 공군 라운델.svg
일본 제국
파일:Italy-Royal-Airforce.svg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1914-1940).svg
노르웨이
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1934-1945).svg
핀란드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Roundel_of_the_Royal_Thai_Air_Force_(1941-1945).svg
태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대만 국장.svg
중화민국
파일:Czech_roundel_(right_wing).svg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파일:Roundel_of_Bulgaria_(1937-1941).svg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1942-1945).svg
헝가리 왕국
파일:Nationalist_air_force_black_roundel_with_arrows.svg
스페인
파일:Manchukuo_Air_Force_Roundel.svg
만주국
파일:Emblem_of_Mongolian_People's_Army.svg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제1세계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서독
제2세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소련
파일:국가인민군 공군 라운델.svg
동독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1921-1993).svg
폴란드
제3세계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파일:유고슬라비아 항공 및 반항공군 라운델.svg
유고슬라비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
중미/카리브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colbgcolor=#3d3137>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
동남아시아
'''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
중앙아시아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공군 라운델.png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
서아시아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
오세아니아
'''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
'''
북아프리카
'''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
동아프리카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
서아프리카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
중아프리카
'''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
남아프리카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
파일:아시아 위치.svg
아시아
}}}}}}}}}}}}


[피치] [2] 낮은 속도와 높은 받음각인 조건[3] F-107F-105와의 경쟁에서 탈락했기 때문이다.[4] 폭탄을 투하하는데 보통 급강하나, 수평비행을 하다 떨구는 방식을 사용하지만, 저공으로 날다가 갑자기 상승하면서 떨구는 방식도 있다. 마치 폭탄을 '던지는' 것 같다고 해서 Toss Bombing이라 한다. 이 방식으로 폭격하면 폭탄이 순간적으로 위로 올라갔다 내려가기 때문에 수평 비행 또는 급강하 폭격 방식에 비해 명중률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으나, 던지고 바로 이탈할 수 있어 목표물 위를 지나갈 위험을 감수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5] 미군 최초의 공대지 유도 미사일. 이 당시에는 어떻게 유도했냐하면, 미사일 꽁무에서 나오는 추진체 불꽃을 보고 발사체 승무원이 직접 조종했다. 이 때문에 승무원이 1명인 F-100 슈퍼 세이버에 오토파일럿 기능이 도입된 것이다.[6] 비행성능도 비행성능이었지만 F-100을 뛰어넘는 후계기들이 속속들이 배치된 것이 컷다. 미 공군에서 공대공 임무는 이미 F-4가 대체했고, 공대지 임무에서도 F-105, F-4와 A-7이 배치되면서 구식 전투기인 F-100을 계속 운용할 이유가 없었다[7] 농담삼아 F-104과부제조기라고 하지만 미 공군의 진정한 과부 제조기는 F-100이었다. 전 세계에서 발생한 F-104의 비전투 손실 댓수를 다 합쳐도 미 공군의 F-100 비전투 손실 댓수보다 적다. 이마저도 F-104가 원래 목적에서 어긋나게 운용되었기 때문에 사고율이 높은 것이었다.[8] 이렇게 된 이유는 비교적 낙후된 기종을 사용하는 주방위군을 베트남에 참전시킨 것도 한 몫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