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르명이 리나시타인 BEMANI 시리즈의 수록곡에 대한 내용은 uən 문서
, 건프라에 대한 내용은 건담 페니체 리나시타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스토리 (제1장 • 제2장) • 등장인물 및 세력 • 설정 • 지역 (황룡 • 리나시타) |
전투 • 상점 • 선약 방송국 • 튜닝 (캐릭터 이벤트 • 무기 이벤트) • 공명자 • 적 (보스) • 데이터 스테이션 • 솔라리스 가이드 • 임무 (조수 • 얽힌 별) • 업적 • 휘장 | |
이벤트 • 탐색 • 주기적 도전 (응소의 영역 • 시뮬레이션 영역 • 강적 토벌 • 무음 소탕 • 군가의 중주) • 역경의 탑 (심경 구역 • 과부하 구역) • 신비한 경지 (역대 시즌) • 홀로그램 전략 · 강습 | |
무기 (대검 • 직검 • 권총 • 권갑 • 증폭기) • 에코 • 보급 • 자원 • 재료 • 임무 • 특수 • 기타 | |
출시 전 정보 • 트레일러 • 컨셉아트 • OST • 업데이트 • 평가 • 오역 • 흥행 • 논란 및 사건 사고 • 갤러리 • 채널 • 행사 및 콜라보 |
<colcolor=#fff> 리나시타 黎那汐塔 | リナシータ | Rinascita |
국장 | |
<colbgcolor=#2A2C32,#000> 수호신 | 임페라토르 |
이명 | 에코랜드 |
지리 | 군도 |
수도 | 없음[1] |
도시 |
|
정치 | 과두제, 연방제 |
통치 | 도시 내규에 따름 |
군대 | 도시 내규에 따름 |
종교 | 깊은 바다 수도회 |
모티브 | 이탈리아 |
||<tablewidth=500><tablebordercolor=#2A2C32,#383b40><nopad> ||
라군나 |
[clearfix]
1. 개요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군도는 여러 개의 독립된 성들로 이루어진 나라로, 전통적인 의미의 정치 중심은 존재하지 않는다. 전설에 따르면, 리나시타 사람의 선조들은 비명으로부터 살아남기 위해 다른 땅에서 바다를 건너 이주했다고 한다.
리나시타 사람들은 「공공 에코」라는 특수 에코 기술로 에코를 생활 곳곳에서 광범위하게 활용했다. 「에코 랜드」라는 별칭은 바로 여기에서 유래된 것이다. ||
리나시타 사람들은 「공공 에코」라는 특수 에코 기술로 에코를 생활 곳곳에서 광범위하게 활용했다. 「에코 랜드」라는 별칭은 바로 여기에서 유래된 것이다. ||
《명조: 워더링 웨이브》에 두번째로 등장하는 지역.
조수 임무 제2장의 무대가 되는 지역이다.
2. 공개 정보
- 조수 임무 제1장 제8막에서 파수인의 말을 통해 방랑자와 갔던 적이 있는 곳으로 언급된다. 이후 공식 유튜브에 예고 트레일러가 업로드 되었다.
- 바다로 둘러싸인 군도이며, 에코를 직접적인 운송수단으로 쓴다고 한다.[2]
3. 세부 지역
3.1. 라군나
방랑자가 리나시타에 처음으로 방문하게 되는 도시.인구는 약 백만 명으로[3] 다른 지역에 비해 폐쇄적인 도시로 알려져 있다.
원문표기 垃古那 의 음차는 làgǔnà (라그나)# 이나 영문 자막이 Ragunna #라서 이를 외래어 표기법대로 따온 것으로 추정된다.[4] 일문판은 원문을 따서 "라그나 (ラグーナ)"# 로 표기한다.
르네상스 풍의 중세 말 근대 초[5]의 유럽 도시 모습을 지니고 있으며, 가문 간의 싸움, 예술을 중시, 특정 가문의 영향력이 강한 지역이라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 마을인 라군나 성의 베이스가 되는 모티프는 초기 르네상스 이탈리아 도시국가들로 보인다. 특히 항구 도시라는 점에서 베네치아가, 한 가문이 은행을 운영하며 경제를 쥐락펴락 한다는 설정에서 피렌체가 주 모티프로 추정된다. 또한 카니발 등을 개최한다는 점과 종교 영향력이 강하단 점에서 비슷한 시기 이베리아 반도의 국가들 역시도 참고한 듯 보인다.
단말기 디자인은 서양에 볼법한 등불이며 황룡에서는 자유롭게 쓰는 단말기와 다르게 라군나에서는 꽤 희귀하다. 이는 리나시타는 에코를 공용 단말기로 관리하고 있기 때문이며 라군나 급매! 이벤트에 따르면 리나시타에서는 일반적으로 공용 단말기를 사용해야 하며 개인 단말기를 사용하려면 수도회의 승인을 거쳐야 한다고 한다. 이는 다른 나라에서 개인 단말기를 반입하려고 해도 마찬가지인데 방랑자는 운 좋게도 몬텔리 가문의 손님으로 온지라 복잡한 서류 과정을 생략할 수 있었다.
섬이라서 그런지 자동차는 다니지 못하며, 에코로 이루어진 곤돌라를 통해 이동한다.
3.2. 아베라르도 금고
4. 설정
4.1. 카니발
라군나에서 열리는 축제. 축제에 참여한 이들은 저마다의 공연을 펼치며 이 중에서 최고의 공연을 선보인 이에게는 월계관을 하사받아 수호신과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영광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작중에서는 성녀의 애도를 명분으로 몇년 동안 금지된 상태였고 방랑자가 방문하는 시점에서 10년 만에 카니발이 다시 열리게 되었다.영어와 일본어에서는 '카르네발레(Carnevale / カルネヴァーレ)'로 이탈리아에서 자주 사용되는 라틴어 표기를 채용하였다.
4.2. 몬텔리 가문
몬텔리 가문은 라군나의 주요 가문 중 하나입니다. 라군나 뿐만 아니라 리나시타 전체 무역 항로의 개척을 주도하였으며, 라군나의 개방과 함께 급성장하여 상상하기 어려울 만큼의 부를 축적하였습니다. 또한 라군나 개인 단말기 기술의 도입 및 개발 또한 주도하고 있습니다.
모티브는 피렌체의 메디치 가문. 리나시타의 은행은 몬텔리 가문이 꽉 잡고 있다. 피살리아 가문과 경쟁 관계에 있으며 그들이 이익을 좇아 신뢰를 져버리는 경우가 큰 데 반해, 이들은 신뢰 역시 중요하게 여긴다.
신앙의 영향으로 단말기가 공유화 돼 있는 상황에서 가문의 경제력과 권위로 개인 단말기를 개발 유통시키고 있으며 수도회도 적당한 계약으로 눈감아 주고는 있으나 이들의 관계가 이해에 따라 연결 돼 있는 만큼, 갈등의 요소 역시 존재한다.
2.0의 첫 픽업 캐릭터인 카를로타가 이 가문의 차녀이다.
4.3. 피살리아 가문
몬텔리 가문과 경쟁관계인 가문.단말기에 투자하고 있는 몬텔리 가문과는 대조적으로 에코의 생산과 제어에 투자하고 있다는 묘사가 있다.
4.4. 깊은 바다 수도회
첫 공개 됐을 때는 딥오션 수도회라는 알 수 없는 번역으로 나왔으나, 이내 정상적으로 번역이 이루어졌다.리나시타를 지배하고 있는 종교 집단이며 수호신 임페라토르를 섬긴다.[6] 질서 유지의 목적으로 개인 단말기의 사용을 금지하고 공용 단말기를 유통하고 있으며 따라서 리나시타의 사람들은 개인 에코 소지가 불가능하다.[7] 그러나 몬텔리 가문의 주도로 개인 단말기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수도회는 알면서도 몬텔리 가문이 내는 세금등을 이유로 눈감아 주고 있다.
과거 20년전 대참사가 터지고 성녀가 희생된 후 수좌 펜리코가 수도회를 개선하면서 성서라 할 수 있는 책부터 시작해서 모든걸 바꾸기 시작했으며[8] 이때부터 리나시타의 근본이라 할 수 있는 각종 예술활동을 제약하고 자신들의 교리를 따르지 않거나 이의를 제기하는 등의 가지각각의 사유로 사람들을 이단으로 몰아 붙이고 우인이라 부르기 시작했다. 그리고 '우인'이 된 사람들을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순례선에 태워서 순례의 길로 보내고 있다. 그리고 작중 밝혀지는 이 순례선의 결말은 처참하다.[9][10] 여러모로 뒤가 썩은 조직.
다만 페비처럼 아직 순수하고 청렴하며 신실한 수도자들도 존재하며 대부분의 리나시타 사람들은 수도회 간부들의 만행을 전혀 모른다.
4.5. 우인 극단
리나시타에서는 오래전부터 깊은 바다 수도회의 가르침을 어기는 자를 우인(어리석은 자)이라 불렀으며 펜리코가 수좌가 된 후에는 우인들을 순례길로 보낸다면 순례선이라는 배에 태워서 추방하고 있었다.우인 극단은 그중 겨우 살아 남은 사람들이 뭉쳐 리나시타 변방에 거점을 두고 활동하고 있는 극단이며, 현재 리나시타는 연극이 금지된 상황이라 평소에는 라군나에는 얼씬도 안 하고 순례선의 사람들을 구해주면서 리나시타 각지를 돌아다니고 있다. 현재는 10년 만에 열리는 카니발에 참여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다고 한다.
브렌트, 로코코를 시작으로 구성원들이 예사롭지가 않은데 과거의 카니발에서 월계관을 받았던 어르신도 우인 극단 소속이다.
5. 등장인물
자세한 내용은 명조: 워더링 웨이브/등장인물 및 세력 문서의 리나시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스토리
자세한 내용은 명조: 워더링 웨이브/임무/조수 임무/제2장 문서 참고하십시오.7. 여담
- 모티브로 추정되는 국가는 이탈리아. 리나시타(rináscita)는 이탈리아어로 재생, 부활, 부흥을 의미하는 여성 명사다.[2] 이 단어를 프랑스어로 옮기면 Renaissance가 되는데, 바로 르네상스다. 이탈리아 도시들 중에서도 방랑자가 방문할 첫 지역인 라군나는 베네치아와 피렌체에 큰 영감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 이탈리아를 모티브로 하였다보니 하와이안 피자로 추정되는 트로피칼 피자에 대해 수호신까지 부르면서 경멸하고 호들갑을 떠는 NPC가 있다.
- 한국어 공식 번역은 관련 설정의 지형적 배경을 잘 드러내지 못하는 아쉬운 번역이 많다. 가문 관련은 마피아가 모티브임에도 불구하고 가문으로 번역됐는데, 중국어 원문(家族)을 포함해 일본어와 영어는 패밀리로 마피아 모티브를 살려 번역했다.[12][13] 카니발 역시 일본어와 영어에서는 카니발의 어원이자 라틴어인 '카르네 발레'로 번역하면서 이탈리아 배경을 살린 번역을 채용했지만 한국어 번역은 영어 표기를 사용하면서 이러한 지형적 특성이 많이 희석됐다.
7.1. 공식 미디어
다음 역은 리나시타입니다! |
하차하실 승객 여러분들께서는, 미리 준비해 주시기 바랍니다. |
TGA2024 홍보 영상 | 매 순간의 선택 |
끝에서 그들을 기다리고 있는 답은 과연 무엇일까? 2025년 1월 2일, 명조 2.0 및 PS5 버전이 공개됩니다. |
[1] 여러 도시 국가의 문화 공동체에 해당하므로, 일반적인 의미의 정치적 중심지가 존재하지 않는다.[2] 라군나 급매의 NPC의 말에 따르면 에코 장난감, 에코 악단, 종을 치는 문어 에코까지 있는듯 보인다.[3] 라군나 급매! 퀘스트에서 선행공약의 팀장이 매출 300만 건을 목표로 세우는데, 이게 라군나 주민 1명이 3개씩 구입하면 된다는 식의 기적의 계산법으로 잡은 매출치이기 때문. 이 일을 담당한 엘레나는 처음 300만이라는 목표치를 들었을 때 라군나 주민 인구가 그렇게나 많지 않다며 난색을 표했다.[4] 다만 안테나(Antenna)도 안텐나로 안 읽는 점을 고려한다면 단순히 오역일 가능성이 더 높다.[5] 초기 근대로 불리는 14~16세기. 연구에 따라 근대로의 이행기로 명명하는 학자들도 있다.[6] 이름의 모티브는 고대 로마의 관직 임페라토르[7] 다만 정말 질서 유지가 목적인진 불분명한데 여기 수좌랑 간부들이 하는짓을 생각해보면 질서 유지는 핑계고 실제론 리나시타의 모든 에코를 지배하려는 목적일 가능성이 제일 크다.[8] 심지어 개정 이전의 성서는 전부 회수한지라 현재 시중에 남아 있는게 없다.[9] 일단 기본적으로 우인만 타는지라 조종할 사람이 없어 각종 재해에 취약하며 겨우 살아 남아도 해류의 끝은 고룡이 사는 무덤 섬이다. 한마디로 '너흰 우리에게 방해만 되는 존재들이니 죽어라'이다.[10] 심지어 점점 자신들의 위상이 떨어지자 위상을 높인다며 카니발을 이용하면서 범세계적 테러조직이자 현재 솔라리스 공공의 적인 잔성회와 결탁하면서 자기네들 안위를 위해서면 이 세상이 망해도 상관없는 듯한 모습을 보였으며, 심지어 몬텔리 가문의 귀빈이자 비명에 대항하는 특수 조직인 검은 해안의 수장을 죽이려고 했으니 검은 해안을 비롯한 다른 지역이 리나시타에 개입하여 수도회를 작살내지 않은 것이 기적. 심지어 잔성회의 목적 역시 방랑자의 포섭인 것처럼 이러한 만행을 알면 잔성회에서도 수도회를 곱게 볼 리가 만무하니 말 그대로 자기네들 빼고는 완전한 아군이 아예 없는 셈이다.[2] 남성 명사는 Rinascimento[12] 다만 마피아를 모티브로 했다기엔 르네상스 이탈리아에서도 가문 간의 싸움이 활발했다. 대표적으로 메디치 가문과 파찌 가문이 피렌체에서 지배권을 두고 다투었는데, 이들을 패밀리라고 따로 칭하진 않는다. 따라서 몬텔리 가문이라 번역한 것은 오역은 아니며 관점에 따라 오히려 적절한 번역이라고 볼 수 있다. 다만 가문에서 직접적 혈연 관계가 아닌 이들은 공동체, 가족, 식구 등으로 번역하는 게 더 적절할 수 있다. 해당 단어들은 가문과는 다르게 직접적인 혈연이 없어도 쓰이는 단어들이며 중국어 원문은 이를 담고 있다.[13] 카를로타의 일본어 성우인 우에다 카나의 인터뷰에서는 보다 직설적으로 '마피아의 손녀딸' 이라고 언급한 걸 보면 실제 설정 상으로도 단순 가문이라기 보다는 조직적인 마피아를 염두에 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