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IE 유통 ]
- ||<-4><bgcolor=#000>
||
데스 스트랜딩 더 투모로우 칠드런 디 오더: 1886 디스트럭션 올스타즈 디트로이트: 비컴 휴먼 라이즈 오브 더 로닌 모두의 골프 비욘드: 투 소울즈 스타워즈: 구 공화국의 기사단 헤비 레인 PHYSINT
마블 투혼: 파이팅 소울 Marvel Tōkon: Fighting Souls | |
<nopad> | |
<colbgcolor=#ede3da><colcolor=#414439> 개발 | 아크 시스템 웍스 | 마블 게임즈 | XDEV |
유통 |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
플랫폼 | PlayStation 5[1] | Microsoft Windows |
ESD | PlayStation Store | Steam | 에픽게임즈 스토어 |
장르 | 대전 격투 게임 |
출시 | 2026년 |
엔진 | 언리얼 엔진 5[2] |
한국어 지원 | 자막 지원 |
심의 등급 | |
상점 페이지 |
1. 개요
아크 시스템 웍스가 제작하는 마블 코믹스 캐릭터들의 4 대 4 태그 배틀 대전 격투 게임. 2026년 발매 예정이다. 공식 소개에는 플레이스테이션 스튜디오, 아크 시스템 웍스, 마블 게임즈의 협력으로 제작 중이라고 소개되어 있으나 작품 스타일과 격투 게임이라는 특성 등으로 볼 때 아크 시스템 웍스가 주력으로 개발 중인 것으로 추정된다.2. 발매 전 정보
6월 5일에 공개된 State of Play의 핵심 타이틀로서 가장 마지막에 소개되었다.
3. 트레일러
티저 트레일러 |
4. 시스템
4.1. 배틀 시스템
기본적으로 4 대 4 태그 방식에 5판 3선승제로 진행된다. 그리고 체력바는 4명 모두 한 개의 체력바를 공유한다.
* 어시스트: 첫 라운드에는 무조건 3명의 어시스트 캐릭터중 1명만 사용할 수 있고 라운드 도중 월 브레이크를 발생시키면 1명이 합류하는 형식으로 진행되며 라운드에 패배할시 어드벤티지로 어시스트 캐릭터가 지급된다.
* 크로스오버: 가드캔슬 기술로 가드 도중 약공격과 어셉블 버튼을 누르면 어셈블 게이지를 한 칸 소모해 어시스트 캐릭터가 나타나 상대를 날려버린다.
* 어시스트: 첫 라운드에는 무조건 3명의 어시스트 캐릭터중 1명만 사용할 수 있고 라운드 도중 월 브레이크를 발생시키면 1명이 합류하는 형식으로 진행되며 라운드에 패배할시 어드벤티지로 어시스트 캐릭터가 지급된다.
* 크로스오버: 가드캔슬 기술로 가드 도중 약공격과 어셉블 버튼을 누르면 어셈블 게이지를 한 칸 소모해 어시스트 캐릭터가 나타나 상대를 날려버린다.
* 크로스오버 리플렉트: 크로스오버를 반격하는 기술이다. 버튼은 크로스오버와 똑같이 약공격+어셈블
* 퍼펙트 리플렉트: 상대가 크로스오버를 시전할때 거의 끝 타이밍에 반격하는 것으로 성공시 상대는 잠시동안 어시스트를 쓰지 못한다.
* 퍼펙트 리플렉트: 상대가 크로스오버를 시전할때 거의 끝 타이밍에 반격하는 것으로 성공시 상대는 잠시동안 어시스트를 쓰지 못한다.
5. 등장인물
- 캡틴 아메리카 - 성우: 나카무라 유이치[A]
- 아이언맨 - 성우: 카와하라 요시히사[4]
- 미즈 마블 - 성우: 쿠로키 호노카[5]
- 스파이더맨 - 성우: 카와다 신지[6]
- 고스트 라이더[7] - 성우: 코니시 카츠유키
- 스타로드 - 성우: 야마데라 코이치[A]
- 닥터 둠 - 성우: 하시 타카야[9]
- 스톰 - 성우: 사와시로 미유키
6. 사양
7. 평가
8. 흥행
9. 기타
- 이전까지 마블 코믹스 캐릭들이 등장하는 대전 격투 게임의 대표작은 캡콤의 VS. 시리즈였으나, 마블 VS 캡콤: 인피니트에서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쪽 캐릭터를 노골적으로 밀어붙히는 등의 병크 끝에 후속작이 10년 가까이 나오고 있지 않은 상태였다. 그런 와중에 난데없이 기존 VS. 시리즈의 명맥을 잇는 마블 캐릭터들의 격겜을, 그것도 기존 마대캡 유저들에게 대체제로 여겨졌던 드래곤볼 파이터즈의 제작사인 아크 시스템 웍스에서 개발중이라는 소식에 마대캡 팬덤에서는 광란의 도가니가 되었다. 다만 캐릭들의 디자인 각색이 호불호가 갈리며, 그리고 라인업 자체가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쪽 주연들을 메인으로 내세운 점에서는 불만이 제기되기도 하나[10], 그래도 스톰이 라인업에 들어가있어 VS. 시리즈의 근간이었던 엑스맨 시리즈를 챙겨주는 모습에 팬덤이 환호했다.
- 다만 오래전부터 캡콤 캐릭터를 제외하고 원작 캐릭터들로만 구성된 격투게임을 요구하는 수요도 상당수 있어서 마블이 이번에는 VS. 시리즈의 캡콤보다 아크 시스템 웍스에 힘을 실어줬다는 분석도 있다. 실제로도 마블은 본작에서 아예 마블 게임즈와의 협업의 형식으로 참여 중이다.
- 또한 기존까지 마대캡, 나아가 판권 문제로 유기당하다시피한 드볼파 유저층을 흡수하리라 기대됐던 2XKO도 아예 마블 캐릭터들의 격겜인 마블 투혼이 발표되면서 마대캡 유저층의 흡수에 제동이 걸려버렸다. 이래저래 신작 러시 후 휴식 및 안정기에 들어가나 싶었던 격겜판에 던져진 폭탄인 셈.
- 아크 시스템 웍스의 대전 격투 게임 답게 카툰 렌더링 그래픽이지만 얼핏보면 3D인지 2D인지 구분이 안될 수준으로 혁신적인 카툰 렌더링을 보여줬던 길티기어 시리즈와 드래곤볼 파이터즈와 달리 본작은 3D에 더 가까운 그래픽을 채택했다.
- 25년 6월 19일 스팀과 에픽 상점에 일찌감치 등록이 되면서 생각보다 발매가 빠를 수 있다는 예상이 나오고 있다. 퍼블리셔는 PlayStation Studios™.
- EVO 2025에서 오프라인 사전 테스트를 실시하였으며 추후 클로즈 베타테스트를 발표했다. PS5로 9월 5일 ~ 9월 7일까지이며 로스터는 캡틴 아메리카, 아이언맨, 미즈 마블, 닥터 둠, 스톰, 스타로드.
[1] PlayStation 5 Pro 대응.[2] 이 영상의 4:25 ~ 4:27에 언리얼 엔진 5의 에디터를 사용하고 있는 장면이 확인된다.[A]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에서도 동일 배역을 맡았다.[4] 아이언맨 시리즈를 포함해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의 여러 배역들까지 대부분을 전담했던 성우 후지와라 케이지가 2020년도 작고하면서 새로이 캐스팅 되었다.[5] 마블 어벤져스에서도 동일 배역을 맡았다.[6] 디스크 전사 어벤져스에서 동일 배역을 맡았다.[7] 자동차를 타는 모습이 나온 것을 보아 4대 고스트 라이더인 로비 레예스로 추정된다.[A] [9] 2025년 8월에 사망한 탓에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닥터 둠 성우는 변경될 수밖에 없는 처지가 됐으며 추가 대사가 생기면 성우 교체가 될 확률이 높다.[10] 물론 인피니티 사가가 마블의 역대급 황금기라는 것을 고려해볼때, 홍보 효과가 매우 크다는 부분에는 이의가 없겠지만, 마블 VS 캡콤: 인피니트에서 노골적인 MCU 띄워주기로 인해 엄청난 진통 끝에 시리즈가 유기당한 것을 생각하면 근거 없는 불만도 아닐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