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9 00:55:10

명지대학교/학부/미디어·휴먼라이프대학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명지대학교/학부
파일:명지대학교 흰색 로고.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캠퍼스 정보
인문캠퍼스 자연캠퍼스
대학 정보
학부 대학원 연구소
이념과 상징 역사 총장
중앙도서관
(인문/자연)
박물관 명지학원
학생 정보
학사 제도 동아리 학내 언론
학생정보시스템
(MSI)
총학생회 학교생활
(주변상권)
학생 커뮤니티 교통
기숙사
기타 정보
부속 기관 사건 사고 출신 인물
명지전문대학 입시 산학협력단
미래교육원 체육부 미래정책센터
}}}}}}}}} ||

파일:명지나무.svg 명지대학교의 단과대학
공통
아너칼리지(전공자유대학)
인문캠퍼스
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경영대학 인공지능·소프트웨어융합대학 미래융합대학
자연캠퍼스
화학•생명과학대학 스마트시스템공과대학
반도체•ICT대학
스포츠예술대학 건축대학

1. 미디어•휴먼라이프대학
1.1. 디지털미디어학부1.2. 청소년지도학전공1.3. 아동학전공

1. 미디어•휴먼라이프대학

파일:명지나무_White.svg 명지대학교 미디어 • 휴먼라이프대학
College of Media and Human Life
- 디지털미디어학부
청소년지도•아동학부 청소년지도학전공
교직
아동학전공
교직
[ 펼치기 · 접기 ]
추후편집예정
2024년까지 사회과학대학에 속해있던 디지털미디어학과, 청소년지도학과, 아동학과가 독립하여 만들어진 단과대학이다. 2025학년도 기준 소규모 단과대학이나 명지전문대와의 통합이 이루어지면, 디지털미디어학부의 규모 확대 및 세부 전공 신설과 심리, 사회복지, 보건계열 전공들이 추가 개설되어 규모가 확대될 전망이다.

명지대학교 미휴대의 특징은 명지대학교 외에 서울지역의 타 대학에서 찾아보기 힘든 전문분야, 소수 학과로서 아동학과, 청소년지도학과(청지과)가 존재한다는 점이다. 또한 명지대에서 인기가 많은 학과 중 하나인 디지털미디어학과가 속해있다.

1.1. 디지털미디어학부

파일:명지나무_White.svg 디지털미디어학부 Digital Media
21세기에 들어 미디어 환경은 디지털 기술을 중심으로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다. 기존의 커뮤니케이션은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다채널, 쌍방향으로 그 성격이 변화하고 있으며, 기술적으로도 방송과 디지털의 융합현상이 가속화될 것이다. 이에 따라 기존의 미디어에 관한 학문의 벽은 무너지고 있으며 미디어에 대한 지식과 기술도 과거와는 다른 방식의 접근을 요구하고 있다.
본 학과는 새로운 미디어 환경에 적합한 지식과 기술을 학제적으로 가르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뉴미디어에 관한 표현·기술·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은 물론 뉴미디어 에 적합한 지식정보를 생산·유통하는데 필요한 능력을 기르고자 한다. 이에 따라 디지털 미디어 학과는 다음의 3가지 원칙에서 운영될 것이다.

* 인간 커뮤니케이션, 저널리즘, 영상(방송/영화), 광고/홍보 분야는 물론 인터넷, 모바 일 등 뉴미디어를 이용한 커뮤니케이션을 전반적으로 연구, 교육한다.
* 체계적인 이론교육과 더불어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학습을 하고자 한다. 언·학(言學)협동과 산학협동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해 교육 과정에서 활용한다.
* 특히 디지털미디어 학과는 뉴미디어 기술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컨텐츠를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고자 한다. 또한 평론가 양성을 위한 교육 보다 컨텐츠 생산에 필요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2005 명지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과
2025 명지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부
FM: 상상디미 想像디미
명지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과 소개 영상

1.2. 청소년지도학전공

파일:명지나무_White.svg 청소년지도학전공 Youth Education And Leadership
급격한 사회변동에 따라 청소년문제의 심각성이 대두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청소년지도에 관한 연구와 그 학문적 기반 조성 노력 및 청소년들을 올바르게 키울 수 있는 지도자 양성체제가 마련되지 못하여 왔다. 이에 청소년 문제를 조사하고 청소년지도에 관한 구체적인 방법을 학문적으로 체계화하고 유능한 청소년 지도자를 양성하고자 1991년 11월 7일 한국 최초로 청소년지도학과를 신설하였다.
청소년지도학은 교육학, 심리학 등을 기초로 설립되었으며, 특히 사회교육학의 방법론을 많이 원용하였다. 학부에서는 전공을 따로 나누지 않으나 구체적인 연구 분야는 청소년지도학분야, 사회교육학분야, 청소년지도행정 분야 등으로 나누고 있다.
청소년지도학과의 설립목적은 약 1,200만 명에 달하는 청소년들이 창조적 문화감성을 함양하고 모험 수련과 봉사협력을 통한 자발적 창의성을 계발하며 국제화시대 선도적 능력을 바탕으로 21세기의 한국을 이끌어나가는 지도역량을 갖춘 청소년지도자를 양성함에 있다.
이들 청소년지도자들은 정부에서 적극 추진 중인 생활권 및 자연권 수련시설을 통하여 청소년들이 건전한 청소년기를 지낼 수 있도록 지도역량을 발휘하고 있다.
현재 여성가족부에서 공식적으로 집계하고 있는 청소년기관 즉, 청소년수련원, 수련관, 문화의 집 등 약 799여개의 시설에서 청소년전문지도사의 필요성을 크게 인식하고 있어 청소년지도사의 인적 요구도가 매우 높은 실정이다. 더욱이 정부에서는 청소년 기본법에 의거하여 청소년 수련원을 특별시·도에 총 62개, 수련관을 시·군·구에 183개, 그리고 문화의 집과 특화시설 총 253개소를 설치하였고 청소년 건전 육성을 위한 시설을 운영 및 투자를 진행 중에 있다.
우리학과는 그 동안의 교육성과를 인정받아 1995년 8월 21일 한국 대학 중 최초로 청소년지도자 양성기관으로 문화체육부 장관으로부터 지정을 받았다. 청소년 지도사 1,2급 국가 자격시험에 전원 합격하는 등 빛나는 전통을 수립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또한 1996년 11월 2일에는 한국 최초로 대학원 청소년 지도학과에 박사학위 과정이 신설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우수한 인적자원을 양성하여 청소년지도학의 학문적 기틀을 마련하는 산실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행실이 바르고 학업 성적이 우수한 우리학과의 졸업생은 졸업과 동시에 소정의 전형에 합격하면 2급 청소년지도사 국가자격증을 수여하며 청소년 지도 공공기관 및 시설에 우선 임용되고 있다.
1991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
FM: 비상청지 飛上靑指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 소개 영상[1]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 30주년 기념 영상[2]

1.3. 아동학전공

파일:명지나무_White.svg 아동학전공 Child Development and Education
아동학과의 교과과정은 아동발달, 아동보육, 유아교육 및 아동상담 등 시대변화에 부응하 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인 양성을 위한 교과목들로 구성되어 있다.
아동학과의 졸업생들은 보건복지가족부의 보육교사 2급 자격증(정원의 100%)과 교육과학 기술부의 유치원정교사 2급 자격증(정원의 10%)을 취득하여 국·공립 어린이집을 비롯한 다양한 보육시설 및 유치원 교사로 근무하거나 건강가정사 자격증(정원의 100%)을 취득 하여 건강가정지원센터의 업무를 담당하기도 한다. 또한 사회복지연계전공(행정학과, 청 소년지도학과)을 선택할 경우 사회복지사자격증을 취득하여 사회복지 관련 분야에 취업할 수 있다. 그 밖에 아동발달 및 상담 관련 연구소, 교구·교재회사, 출판사, 아동영상매체, 동화 및 동요작가, 유아교육프로그램 기획사 등 광범위한 아동 관련 분야에서 활동하기도 한다.
한편 해마다 많은 수의 우수한 졸업생들이 본교 대학원의 아동학 석·박사과정(유아교육·보육전공, 아동가족심리치료전공)과 교육대학원의 유아교육전공에 진학하여 학위 취득 후 고급 전문 인력으로서 각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1954 근화여자초급대학 가정학과 설립 (학부)
1988 가정학과 석사과정 신설 (대학원)
1995 명지대학교 생활과학·식품영양학부(의상학/아동학전공)
1998 명지대학교 생활과학부(의상학/아동학전공)
2001 명지대학교 아동학과
FM: 희망아동 希望兒童

[1] 학과 소개는 3분 17초부터[2] 명지대학교 청소년지도학과는 2022년 창립 30주년을 맞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