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03 17:26:49

칼리닌스카야선


||<-4><tablealign=center><tablewidth=850><tablebordercolor=#424242><bgcolor=#424242> 파일:모스크바 지하철 로고.svg 모스크바 지하철 노선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파일:모스크바 지하철 1호선 아이콘.svg 1호선
소콜니체스카야
파일:모스크바 지하철 2호선 아이콘.svg 2호선
자모스크보레츠카야
파일:모스크바 지하철 3호선 아이콘.svg 3호선
아르바트스코
포크롭스카야
파일:모스크바 지하철 4호선 아이콘.svg 4호선
필룝스카야
파일:모스크바 지하철 5호선 아이콘.svg 5호선
콜체바야
파일:모스크바 지하철 6호선 아이콘.svg 6호선
칼루시스코리시스카야
파일:모스크바 지하철 7호선 아이콘.svg 7호선
타간스코
크라스노프레스넨스카야
파일:모스크바 지하철 8호선 아이콘.svg 8호선
칼리닌스카야
파일:모스크바 지하철 8A호선 아이콘.svg 8A호선
솔른쳅스카야
파일:모스크바 지하철 9호선 아이콘.svg 9호선
세르푸홉스코
티미랴젭스카야
파일:모스크바 지하철 10호선 아이콘.svg 10호선
류블린스코
드미트롭스카야
파일:모스크바 지하철 11호선 아이콘.svg 11호선
볼샤야콜체바야
파일:모스크바 지하철 12호선 아이콘.svg 12호선
부톱스카야
파일:모스크바 지하철 14호선 아이콘.svg 14호선
모스크보스코예
첸트랄노예 콜초
파일:모스크바 지하철 15호선 아이콘.svg 15호선
네크라솝스카야
파일:mockbametro16.webp 16호선
트로이츠카야
모스크바 광역전철 (МЦД)
파일:모스크바 광역전철 D1선 아이콘.svg D1선
벨로루스코사뵬롭스키
파일:모스크바 광역전철 D2선 아이콘.svg D2선
쿠르스코리시스키
파일:모스크바 광역전철 D3선 아이콘.svg D3선
레닌그라드스코
카잔스키
파일:모스크바 광역전철 D4선 아이콘.svg D4선
칼루시스코
니제고로드스키
}}}}}}}}} ||
파일:Moscow_metro_logo_(with_MT_logo_and_name).svg.png{{{#!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 파일:모스크바 지하철 8호선 아이콘.svg모스크바 지하철
칼리닌스카야선

Калининская линия
Kalininskaya line
}}} ||
파일:bhuoghy78u.jpg
81-760/761형 전동차
노선 정보
분류 도시철도
기점 노보코시노
종점 트레티야콥스카야
역 수 8개
구성 노선 모스크바 지하철 칼리닌스카야선
개업일 1979년 12월 30일
소유자 모스크바
운영자 모스크바 지하철
사용차량 81-760/761형 전동차
차량기지
노선 제원
노선연장 16.3㎞
궤간 1,520㎜(러시아 광궤)
선로구성 복선
급전방식 직류 825V 제3궤조 집전식
신호방식 ALS - ARS
최고속도 80㎞/h
통행방향 우측통행
트레티야콥스카야 → 노보코시노 주행 영상

1. 개요2. 역 목록

1. 개요

모스크바 지하철 8호선의 명칭. 칼리닌스카야라는 이름은 원래 이 노선이 부분적으로 통과하는 칼리닌 지구에서 따온 이름인데, 1990년대 칼리닌 지구가 사라지며 모스크바 지하철 노선 중 유일하게 운행 지역이 아닌 사람 이름을 딴 노선이 되었다. 모스크바의 동쪽과 중심부를 연결하는 노선이다. 모스크바 지하철에서 세 번째로 짧은 노선이나, 계획대로 연장될 경우 볼샤야 콜체바야 다음으로 가장 긴 노선이 될 예정이다. 노선색상은 황색.

노선이 이분화 되어있는 특이한 형태이며, 서쪽 구간인 손쳅스카야선 (8A 호선)의 기존 남서쪽 종점인 라스카조브카 역에서 브누코보 국제공항까지의 연장 구간이 2023년 9월 6일에 개통했다. 추후 칼리닌스카야선의 서쪽 종점인 트레티야콥스카야역과 손쳅스카야선의 동쪽 종점인 델로보이 첸트르 역을 잇는 구간이 개통될 예정으로 완공되면 칼리닌스카야 선과 솔른쳅스카야 선이 하나로 연결이 된다.

원래는 이 노선을 계속 연장하여 아르바트스코-포크롭스카야선의 아르바츠카야(Арбатская) 역과 연결할 계획이었다. 이 계획에 따르면 1990년대에는 기존 노선을 분리해 알렉산드로프스키 사트 - 플로샤티 레볼류치 구간은 재활용하고, 나머지 칼리닌스카야선 구간은 키예프스카야를 넘어 남서쪽으로 더 연장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이 계획안은 막장을 달리던 1990년대 러시아의 경제 상황으로 인해 무산되었다. 서쪽 연장 계획은 20년 이상 중단되었다가 2010년 이후 8A선으로 넘어가며 재개되었고 이후 2023년 브누코보 공항까지 연장되었다.

해당 노선은 모스크바를 동서로 가로지르는 기다란 노선인데, 현재 동쪽의 칼리닌스카야(8호선, 노보코시노-트레티야코프스카야)와 서쪽의 손체프스카야(8A호선, 델로보이 첸트르-아에로포르트 브누코보)으로 나뉘어 있다. 두 노선은 현재 6.124km 거리를 두고 단절되어 있는데, 원래는 둘을 직결해 하나의 8호선으로 만들 예정이었다.[1] 그러나 불안정한 지반 문제[2]와 여러 역사적 건물들의 지하로 터널을 뚫어야 한다는 문제로 인해 연결이 계속 지연되고 있다. 이미 2018년부터 계획 무산 이야기가 나오고 있었고, 최초 계획상 볼샤야 콜체바아선 공사 완료 이후인 2023년 이후 연결되는 것으로 되어 있었으나 모스크바 광역전철 5호선(МЦД-5) 계획이 등장하며 무산될 뻔했다. 그러나 광역전철 5호선 계획은 이후 취소되었고 이에 2022년 이후 공사 논의가 다시 등장했으나 여러 기술적 문제점으로 인해 또 2035년 이후 장기 계획으로 넘어간 상황이다.

2. 역 목록

파란색으로 색칠된 칸은 지상역임을 표시한다.
역 번호(km) 한국어 역명 러시아어 역명 영어 역명 승강장 환승 노선(역명)
129 노보코시노 Новокосино Novokosino │■│ 파일:모스크바 광역전철 D4선 아이콘.svg 레우토보역
130 노보기레예보 Новогиреево Novogireevo │■│ 파일:모스크바 광역전철 D4선 아이콘.svg 노보기레예보역
131 페로보 Перово Perovo │■│
132 쇼세 엔투지아스토프 Шоссе Энтузиастов Shosse Entuziastov │■│ 파일:모스크바 지하철 14호선 아이콘.svg 쇼세 엔투지아스토프역
133 아비아모토르나야 Авиамоторная Aviamotornaya │■│ 파일:모스크바 지하철 11호선 아이콘.svg 아비아모토르나야역
파일:모스크바 광역전철 D3선 아이콘.svg 아비아모토르나야역
134 플로샤티 일리차 Площадь Ильича Ploshchat' Il'icha │■│ 파일:모스크바 지하철 10호선 아이콘.svg 림스카야역
135 마르크시스츠카야 Марксистская Marksistskaya │■│ 파일:모스크바 지하철 5호선 아이콘.svg 타간스카야역
파일:모스크바 지하철 7호선 아이콘.svg 타간스카야역
136 트레티야콥스카야 Третьяковская Tret'yakovskaya │■│ 파일:모스크바 지하철 2호선 아이콘.svg 노보쿠즈네츠카야역
파일:모스크바 지하철 6호선 아이콘.svg 트레티야콥스카야역

[1] 예정대로 연결된다면 트레티야코프스카야와 델로보이 첸트르 사이로 볼혼카(Волхонка), 플류시하(Плющиха), 도로고밀로프스카야(Дорогомиловская) 등 3개역이 사이에 추가될 예정이다.[2] 모스크바는 원래 습지였던 곳을 간척하여 건설한 도시라 지반이 불안정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