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청 쇼트트랙팀 /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 ||||
<rowcolor=#ffffff> 감독 | ||||
모지수 | ||||
<rowcolor=#fff> 여자 | 남자 | |||
김아랑''' [[주장| C ]]''' | 김지유 | 이유빈 | 홍경환 | 이성우 |
<colbgcolor=#ffffff,#0b1727><colcolor=#000000,#ffffff> 모지수 牟智洙 | Mo Jisoo | |
| |
출생 | 1969년 6월 3일 ([age(1969-06-03)]세) |
서울특별시 | |
신체 | 174cm, 68kg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단국대학교 |
종목 |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종목: 1000m, 1500m |
소속 | 고양시청 (감독)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남자 쇼트트랙 선수이며, 현재는 고양시청 쇼트트랙 감독을 맡고 있다.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에서 같은 팀 동료인 김기훈, 송재근, 이준호와 함께 5000m 계주에서 금메달을 땄다.2. 수상 기록
| ||
금메달 | 1992 알베르빌 | 5000m 계주 |
| ||
은메달 | 1992 덴버 | 종합 |
은메달 | 1992 덴버 | 1500m |
은메달 | 1992 덴버 | 3000m |
동메달 | 1988 세인트 루이스 | 5000m 계주 |
동메달 | 1989 솔리헐 | 5000m 계주 |
| ||
금메달 | 1992 미나미마키 | 단체전 |
은메달 | 1991 서울 | 단체전 |
| ||
금메달 | 1990 삿포로 | 5000m 계주 |
| ||
금메달 | 1989 소피아 | 5000m 계주 |
은메달 | 1989 소피아 | 1500m |
동메달 | 1989 소피아 | 3000m |
동메달 | 1991 삿포로 | 3000m |
3. 기타
- 지도한 대표적인 선수들로는 이호석, 조해리, 곽윤기, 김아랑[1]이 있다. 특히 조해리 같은 경우에는 슬럼프에 빠지자 현역 시절 이른 시기에 은퇴를 고민했던 적이 있었는데, 조언과 설득을 통해 재기할 수 있도록 도왔다. 2006년 한국 쇼트트랙 노하우를 전수 받으러 2주간 방한했던 미국의 아폴로 오노를 잠시 지도하기도 했으며, 당시 오노에 대한 호의적인 인터뷰를 하여 한국에서의 그의 이미지 개선에 도움을 주기도 했다.
- 쌍방울 빙상단 소속이었던 탓에 쌍방울 레이더스 야구선수들과 안면이 있었는데 어느날 주점에서 서로 사소한 시비끝에 주먹다짐이 벌어져 쌍방폭행으로 입건되었으나 회사측과 양측의 합의로 종결된바 있다. 혈기 왕성한 체육인들간에 벌어진 일이라 볼수 있는데 이때 쪽수도 밀리고 체격도 작았던 모지수가 훨씬 많이 다쳤다는 후문이 있다.
4. 둘러보기
동계올림픽 남자 5000m 계주 금메달리스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992 | 1994 | 1998 | 2002 | 2006 |
대한민국 | 이탈리아 | 캐나다 | 캐나다 | 대한민국 | |
김기훈 | 마르코 부일레르민 | 에릭 베다르 | 마크 가뇽 | 송석우 | |
이준호 | 마우리치오 카르니노 | 마크 가뇽 | 조나탕 길메트 | 안현수 | |
모지수 | 오라치오 파고네 | 데릭 캠벨 | 마티외 튀르코트 | 서호진 | |
송재근 | 후고 헤른호프 | 프랑수아 드롤렛 | 프랑수아루이 트랑블레 | 이호석 | |
에릭 베다르 | 오세종 | ||||
2010 | 2014 | 2018 | 2022 | 2026 | |
캐나다 | 러시아 | 헝가리 | 캐나다 | | |
올리비에 쟝 | 블라디미르 그리고리에프 | 리우 샤오앙 | 파스칼 디옹 | ||
프랑수아루이 트랑블레 | 빅토르 안 | 리우 샤오린 샨도르 | 스티븐 뒤부아 | ||
프랑수아 아믈랭 | 세묜 옐리스트라토프 | 빅토르 크노치 | 조르당 피에르질 | ||
샤를 아믈랭 | 루슬란 자카로프 | 처버 부리안 | 샤를 아믈랭 | ||
기욤 바스티유 | 막심 라운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