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훈 관련 틀 | ||||||||||||||||||||||||||||||||||||||||||||||||||||||||||||||||||||||||||||||||||||||||||||||||||||||||||||||||||||||||||||||||||||||||||||||||||||||||||||||||||||||||||||||||||||||||||||||||||||||||||||||||||||||||||||||||||||||||||||||||||||||||||||||||||||||||||||||||||||||||||||||||||||||||||||||||||||||||||||||||||||||||||||||||||||||||||||
|
<colbgcolor=#ffffff,#0B1727><colcolor=#000000,#ffffff> 김기훈 金琪焄 | Kim Kihoon | |
출생 | 1967년 7월 14일 ([age(1967-07-14)]세) |
서울특별시 중구 | |
국적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학력 | 리라초등학교 (졸업) 배재중학교 (졸업) 경기고등학교 (졸업) 단국대학교 상경대학 (경영학 / 학사) 단국대학교 대학원 (체육학[1] / 석사[2])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체육학[3] / 박사[4]) |
종목 |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종목: 1000m, 1500m |
현직 | 울산과학대학교 스포츠재활학부 교수 |
신체 | 178cm, 72kg |
가족 | 배우자, 아들 김태형(2010년생)[5]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남자 쇼트트랙 선수다. 대한민국 최초의 동계올림픽 금메달리스트[6]이며, 대한민국 쇼트트랙 역사의 시작이라고 말할 수 있다.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에서 금메달 3개를 획득했다.
2. 선수 경력
이승훈과는 반대로 스피드 스케이팅에서 쇼트트랙으로 전향한 케이스에 속한다. 스피드 스케이팅 장거리 선수로 활동하던 고등학교 시절 쇼트트랙 국가대표 선발전에 출전했다가 선발된 것이다. 참고로 이때 1984년에 열린 국가대표 선발전은 최초로 시행된 쇼트트랙 국가대표 선발전으로 김기훈은 선발전을 거쳐 선발된 최초의 쇼트트랙 국가대표 선수 중 한 사람이기도 하다.종목을 바꾼 데 대한 어려움도 있었으나 태릉선수촌에서의 혹독한 훈련과 당시 정상급 쇼트트랙 선수들의 비디오를 구해 분석하는 각고의 노력 끝에 1988 캘거리 동계올림픽에서 1500미터 금메달을 획득했다.[7] 이어 이듬해 소피아에서 열린 동계 유니버시아드에서 금메달 3개를 쓸어담았다. 그리고 2년 뒤 1990 삿포로 동계 아시안 게임에서도 3관왕을 달성했다.
잠시 인대 부상으로 대표팀 에이스 자리를 이준호에게 넘겨주기도 했으나 지독한 의지로 재활에 매진한 끝에 다시 국가대표에 선발되고,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에 출전하게 된다. 이 대회 1000미터에서 김기훈은 선배이자 라이벌인 이준호와의 맞대결에서 승리하며 대한민국 최초의 동계올림픽 금메달리스트[8]가 되었다. 5000미터 계주에서는 에이스의 상징인 마지막 주자로 출전하여 이후 김기훈의 트레이드 마크가 된 날내밀기로 극적으로 캐나다를 꺾고 팀에 금메달을 안겼다. 당시는 개인전이 1000미터 한 종목밖에 없긴 했지만 전종목 석권을 달성했다. 마지막 코너에서 인코스의 좁은 틈을 파고들고 날내밀기로 역전하는 마지막 장면에선 소름이 돋지 않을 수가 없다.[9] 당시 계주 경기에 출전한 국가대표 멤버들은 김기훈을 비롯해 모지수, 송재근, 이준호로 공교롭게 넷 모두가 이후 국가대표 지도자를 맡았다는 공통점이 있다.
올림픽 이후 미국 덴버에서 열린 1992 세계선수권에서 전종목을 석권하며 5관왕이라는 금자탑을 쌓았다. 2년 뒤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에도 출전했다. 이 때 당시 몸 상태가 썩 좋지 않아 세대교체론까지 제기되고 있었던 상황이었는데 김기훈은 보란 듯이 1000미터에서 신예이자 자신을 이을 차세대 에이스 채지훈을 꺾고 금메달을 획득하여 올림픽 쇼트트랙 최초의 단일 종목 2연패를 달성했다.[10]이후 1998년까지 선수 생활을 하다가 은퇴했다. 이 때 나이는 31세였다.
3. 은퇴 이후
울산과학대학교 교수와 국가대표팀 코치를 맡았다. 안현수를 국대 초기에 집중적으로 지도해 당대 최고의 선수로 키워냈다. 여기에 있어서 다른 선수들에게는 지도를 소홀히 함으로써 한체대파와 비한체대파의 파벌 갈등에 책임이 있다고 보는 시각이 있다.[11] 2005년에 안현수를 제외한 나머지 국가대표 선수들이 코치의 차별대우에 반대하며 집단으로 태릉 입촌을 거부한 사건이 있었다. 안현수의 부재로 전력에 대해 우려의 목소리가 높던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남자대표팀이 상당히 좋은 성적을 냈던 뒤에는 김기훈의 지도가 있었다.2018 평창 동계올림픽 기간에는 강릉 선수촌장을 맡았다.
2021년부터는 뭉쳐야 쏜다에 출연하고 있는데, 그가 세계적인 쇼트트랙 레전드로 불리웠을 때는 대부분의 시청자들이 태어나기 전이었기에, 이 분은 어떤 전설인거지!?라고 의아해했다고 한다. 그리고 인상이 어째 편성국장님 같다는 분위기 때문에 졸지에 별명이 김 국장님이 되었다. 같은 팀 멤버인 김용만과는 동갑내기로, 팀 내 공동 연장자이며 꼬꼬즈로 묶인다. 다만 방송에서의 존재감이 뚜렷하지 않은 탓에 비판을 받기도 했다. 농구 기량도 기량이지만 예능에서 존재감도 약하다.
4. 평가
여러모로 현대 쇼트트랙의 발전에 지대한 공로를 남긴 인물이다. 오늘날 우리가 보는 쇼트트랙은 김기훈이 완성했다고 봐도 될 정도다. 쇼트트랙하면 떠오르는 장면 중 하나인 왼발을 빙판에서 떼고 오른발만으로 코너를 도는 자세를 처음 고안한 인물이 김기훈이다. 또한 아웃코스 추월만이 일반적이던 당시 쇼트트랙계의 상식을 깨고, 코너를 돌자마자 인코스로 추월한 후 아웃코스로 빠지며 코너를 돌고 다시 인코스를 차지하는 소위 호리병 주법을 창시한 인물이다. 지금은 정석이지만 당시에는 혁신적인 발상으로 끊임없이 연구와 자기 발전에 힘썼기에 가능했다. 또한 선수들이 코너링 시에 빙판에 짚는 왼손과 빙판 사이의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장갑에 에폭시 수지를 부착하는데 이것도 김기훈이 선수 시절 장갑에 본드를 붙인 것이 시초다.[12]5. 수상 기록
5.1. 주요 국제대회 성적
대회 | 금 | 은 | 동 | 합계 |
올림픽 | 3 | 0 | 0 | 3 |
세계선수권 | 6 | 4 | 3 | 13 |
세계 팀선수권 | 2 | 1 | 0 | 3 |
아시안 게임 | 3 | 1 | 1 | 5 |
유니버시아드 | 7 | 0 | 1 | 8 |
총 합계 | 21 | 6 | 5 | 32 |
올림픽 | ||
금메달 | 1992 알베르빌 | 5000m 계주 |
금메달 | 1992 알베르빌 | 1000m |
금메달 | 1994 릴레함메르 | 1000m |
올림픽 시범 종목[13] | ||
1위 | 1988 캘거리(시범) | 1500m |
세계선수권 | ||
금메달 | 1989 솔리헐 | 1000m |
금메달 | 1991 시드니 | 500m |
금메달 | 1992 덴버 | 종합 |
금메달 | 1992 덴버 | 500m |
금메달 | 1992 덴버 | 1000m |
금메달 | 1992 덴버 | 1500m |
1위 | 1992 덴버 | 3000m S.F. |
은메달 | 1989 솔리헐 | 종합 |
은메달 | 1989 솔리헐 | 1500m |
2위 | 1989 솔리헐 | 3000m S.F. |
은메달 | 1991 시드니 | 종합 |
은메달 | 1993 베이징 | 1500m |
2위 | 1993 베이징 | 3000m S.F. |
동메달 | 1988 세인트 루이스 | 5000m 계주 |
동메달 | 1989 솔리헐 | 5000m 계주 |
동메달 | 1994 길포드 | 500m |
세계 팀 선수권 | ||
금메달 | 1992 미나미마키 | 단체전 |
금메달 | 1994 케임브리지 | 단체전 |
은메달 | 1991 서울 | 단체전 |
아시안 게임 | ||
금메달 | 1990 삿포로 | 5000m 계주 |
금메달 | 1990 삿포로 | 1000m |
금메달 | 1990 삿포로 | 1500m |
은메달 | 1990 삿포로 | 500m |
동메달 | 1986 삿포로 | 1500m |
유니버시아드 | ||
금메달 | 1989 소피아 | 5000m 계주 |
금메달 | 1989 소피아 | 1000m |
금메달 | 1989 소피아 | 1500m |
금메달 | 1991 삿포로 | 500m |
금메달 | 1991 삿포로 | 1000m |
금메달 | 1991 삿포로 | 1500m |
금메달 | 1991 삿포로 | 3000m |
동메달 | 1989 소피아 | 500m |
5.2. 올림픽 성적
- 3회 올림픽 금메달 리스트
- 2번의 1000m 종목 올림픽 챔피언
- 1000m와 5000m 계주 종목 올림픽 신기록 및 세계신기록 수립 (1992년)
올림픽 수상 성적 | ||||
대회 | 금 | 은 | 동 | 포디움 |
올림픽 개인 메달 | 2 | 0 | 0 | 2 |
올림픽 계주 메달 | 1 | 0 | 0 | 1 |
합계 | 3 | 0 | 0 | 3 |
올림픽 메달 종목 통계 | |||||
대회 | 500 m | 1000 m | 계주 | 합계 | |
1992 | - | 금 | 금 | 2 | |
1994 [14] | - | 금 | - | 1 | |
메달 | 500 m | 1000 m | 계주 | 합계 | |
금 | - | 2 | 1 | 3 | |
은 | - | - | - | - | |
동 | - | - | - | - | |
합계 | - | 2 | 1 | 3 |
올림픽 상세결과 | ||||
대회 | 날짜 | 종목 | 랭킹 | 비고 |
1992 알베르빌 | 1992년 2월 20일 | 1000m | 금메달 | 전 WR , 1:30.76 분 (결승) |
1992년 2월 22일 | 5000m 계주 | 금메달 | 전 WR , 7:14.02 분 (결승) | |
1994 릴레함메르 | 1994년 2월 22일 | 1000m | 금메달 | |
1994년 2월 24일 | 500m | 12위 | ||
1000 m 1992년 올림픽 기록 OR, WR 보유자 | ||||
5000 m 계주 1992년 올림픽 기록 OR, WR 보유자 |
5.3. 세계선수권 성적
- 1회 세계선수권 종합 우승 챔피언
- 3회 세계선수권 종합 포디움.
- 세계선수권 타이틀 7개. (3000 m 1개 포함)
- 세계선수권 금메달 6개.
- 세계선수권 종합을 제외한 개별종목 6승 (3000 m 포함)
- 팀 세계선수권 타이틀 2개
세계선수권 수상성적 | ||||
대회 | 금 | 은 | 동 | 포디움 |
세계선수권 개인 메달 | 6 | 4 | 1 | 11 |
세계선수권 계주 메달 | 0 | 0 | 2 | 2 |
합계 | 6 | 4 | 3 | 13 |
세계선수권 성적 종목 통계 [15] | |||||||
메달 | 종합 | 500 m | 1000 m | 1500 m | 3000 m | 계주 | 합계 |
금 | 1 | 2 | 2 | 1 | 1 | - | 7 |
은 | 2 | - | - | 2 | 2 | - | 6 |
동 | - | 1 | - | - | - | 2 | 3 |
합계 | 3 | 3 | 2 | 3 | 3 | 2 | 16 |
6. 여담
- 아폴로 안톤 오노가 김기훈을 보고 쇼트트랙에 흥미를 가졌는데, 실제로 김기훈을 우상이라고 말할 정도였다.
- 날 들이밀기의 시초라고 할 수 있는 인물이다. 당시 극적인 상황 때문에 간혹 김동성으로 오해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 기술은 김기훈이 가장 먼저 선보였다.
- 前 양궁 선수 윤미진과 공통점이 있는데, 두 사람 모두 2관왕을 달성했으며 올림픽에서 딴 금메달 개수가 같다. 다만 김기훈은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에서 개인전 금메달을 땄고, 윤미진은 2004 아테네 올림픽에서 단체전 금메달을 땄다는 차이가 있다.
[1] 스포츠심리학 전공[2] 석사 학위 논문: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선수의 불안에 관한 분석 연구(1996. 8)[3] 스포츠심리학 전공[4] 박사 학위 논문: 빙상선수의 지도자 행동유형과 역할모형 및 응집력의 관계(2007. 2)[5] 뭉쳐야 찬다 방송을 좋아해서 방송에 합류하는 것을 추천했다고 언급했다. 이후 2021년 5월 2일 방송분에 출연했다. 부친과 43세 차이가 나지만 다른 자녀가 있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김병현처럼 자녀가 모두 출연한 경우도 한명 있었지만, 대부분 일부만 출연했다. 이동국도 첫번째 쌍둥이 딸들은 나오지 않았고, 이형택의 경우도 막내딸 한명만 나왔고, 홍성흔도 딸은 나오지 않고 아들만 나왔다. 김기훈도 출연한 외자녀만 있을 가능성이 없지는 않으나, 개인정보를 대부분 공개하지 않은 만큼 그들처럼 태형이의 친형이나 친누나가 있을 가능성도 부정할 수 없다.[6] 대한민국 최초의 하계올림픽 금메달리스트는 1976 몬트리올 올림픽 레슬링 금메달리스트 양정모이며, 한민족으로 넓힌다면 1936 베를린 올림픽 마라톤 금메달리스트 손기정이 있다.[7] 당시 쇼트트랙은 시범종목이었다.[8] 동시에 대한민국의 올림픽 통산 20번째 금메달리스트이기도 하다.[9] 이같은 날내밀기 기술은 지금은 볼 수 없다. 피니쉬 장면을 자세히 보면 김기훈과 캐나다 선수 모두 뒷발이 빙판에서 떨어져 있는데 현재는 피니쉬라인 통과시 스케이트날이 빙판에서 일정 정도 이상 들리면 실격이 주어진다.[10] 두 번째는 사격의 진종오로, 이쪽은 대한민국 하계올림픽 최초로 2관왕과 2연패를 달성했고, 3연패까지 해낸 남자 선수이다. 같은 종목 선수인 전이경은 동계올림픽 여자 선수 한정으로 최초로 2관왕과 2연패를 달성했고, 쇼트트랙 외에는 스피드 스케이팅의 이상화와 태권도의 황경선, 펜싱 사브르 남자 단체전의 구본길과 김정환이 2연패를 달성했다.[11] 김기훈은 2018년 인터뷰에서 안현수만 특별히 더 가르친 건 아니다. 대표팀에서 모든 선수를 똑같이 지도했는데 안현수가 더 자주 나를 찾아왔다고 말하였다.[12] 개구리 장갑으로도 불린다.[13] non-medal, 메달 수여가 없는 시범종목 대회였다.[14] 1992년 알베르빌 동계 올림픽 때 남자부는 1000m, 5000m 계주 두 종목 밖에 없었다. 1994년에 500m 종목이 올림픽 종목으로 추가되었다.[15] 1999년 이전 세계선수권은 ISU 결과 웹사이트와 ISU 바이오 프로필의 상세정보 누락 및 1999년 이후와 포인트 계산이 다르기에 종목 통계만 기재한다.
분류
- 대한민국의 쇼트트랙 선수
- 대한민국의 남자 쇼트트랙 선수
- 중구(서울) 출신 인물
- 함창 김씨
- 1967년 출생
- 대한민국의 올림픽 쇼트트랙 메달리스트
- 1984년 데뷔
- 1998년 은퇴
-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메달리스트
-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 쇼트트랙 메달리스트
- 대한민국의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
- 1986 삿포로 동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
- 1990 삿포로 동계 아시안 게임 메달리스트
- 대한민국의 유니버시아드 메달리스트
- 1989 소피아 동계 유니버시아드 메달리스트
- 1991 삿포로 동계 유니버시아드 메달리스트
- 병역특례자/쇼트트랙
- 경기고등학교 출신
- 단국대학교 출신
- 대한민국의 예체능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