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transparent; background: text linear-gradient(to bottom, #BE0081, #000000)"''' (2025) 没落予定 の貴族だけど、暇だったから 魔法 を極めてみたI'm a Noble on the Brink of Ruin, So I Might as Well Try Mastering Magic | |||
| <nopad> | |||
| {{{#a88e56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colbgcolor=#f5f2e8><colcolor=#a88e56> 장르 | 판타지, 빙의, 하렘 | |
| 원작 | 미키 나즈나 | ||
| 원작 일러스트 | 카보차(かぼちゃ) | ||
| 만화 | 아키사키 리오(秋咲りお) | ||
| 감독 | 이시쿠라 켄이치(石倉賢一) | ||
| 시리즈 구성 | 타카하시 타츠야 | ||
| 캐릭터 디자인 | 오오츠카 미도리(大塚美登理) | ||
| 총 작화감독 | |||
| 미술 감독 | 카타노사카 고이치(片野坂悟一) | ||
| 촬영 감독 | 코니시 요헤이(小西庸平) | ||
| 색채 설계 | 사노 히토미(佐野ひとみ) | ||
| 편집 | 오오이와네 리키토(大岩根力斗) | ||
| 음향 감독 | 카메야마 토시키(亀山俊樹) | ||
| 음향 효과 | 나카노 카츠히로(中野勝博) | ||
| 음향 제작 | TO 북스(TOブックス) | ||
| 음악 | 오케하자마 아리사(桶狭間ありさ) | ||
| 음악 제작 | 킹 레코드 | ||
| 기획 | 시바타 유이(柴田 維) 스에히라 아사(末平アサ) 코니시 케이스케(小西啓介) 핫타 신사쿠(八田紳作) 츠츠미 텐신(堤 天心) 타카하시 류(髙橋 竜) 마츠시타 타쿠야(松下卓也) 우라사키 노부미츠(浦崎宣光) 타케치 츠네오(武智恒雄) 하마다 히데노리(濱田英紀) | ||
| 치프 프로듀서 | 코야마 미치요시(小山倫良) 우스이 히사토(臼井久人) 카와무라 히토시(川村 仁) 타치노 토모히로(立野智弘) 카나니와 코즈에(金庭こず恵) 소토카와 아키히로(外川明宏) 나카니시 고(中西 豪) 오자와 후미히로(小澤文啓) 오오모리 신지(大森慎司) | ||
| 프로듀서 | 미네기시 카이(峯岸 凱) 카시게 토모코(鹿毛朋子) 혼다 히카루(本多 光) 나가노 마사히코(永野雅彦) 미우라 후미토(三浦 史) 스와 유타카(諏訪 豊) 카도 타카하루(門 貴治) 키쿠치 미호(菊池美穂) 쿠라타니 히카루(鞍谷 光) | ||
| 제작 프로듀서 | 스즈키 세이지(鈴木誠二) | ||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사이토 타카유키(斎藤隆行) 오오노 메구미(大野 恵) | ||
| 애니메이션 제작 | 스튜디오 딘 마비 잭(マーヴィージャック) | ||
| 제작 | 몰락 귀족 제작위원회 | ||
| 방영 기간 | 2025. 01. 07. ~ 2025. 03. 25. | ||
| 방송국 | |||
| 스트리밍 | [[Laftel| LAFTEL ]] | ||
| 편당 러닝타임 | 24분 | ||
| 화수 | 12화 | ||
| 시청 등급 | |||
| 관련 사이트 | |||
1. 개요
일본의 라이트 노벨 몰락 예정인 귀족이지만, 한가하니까 마법에 열중해봤다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이시쿠라 켄이치, 방영 시기는 2025년 1월.2. 공개 정보
- 2024년 3월 15일, 애니화 소식을 알렸다.#
- 2024년 3월 15일, 라이트 노벨 일러스트레이터 카보차(かぼちゃ)의 축전[3], 코믹스 작가인 아키사키 리오(秋咲りお)의 축전[4], 코믹스 스핀오프[5] 작가인 토세 다이키(戸瀬大輝)의 축전을 공개했다.[6]
2.1. PV
2.1.1. 본편
2.1.1.1. 일본
| 티저 PV |
| PV 제1탄 |
| PV 제2탄 |
2.1.1.2. 한국
| 애니맥스 PV |
2.1.2. 캐릭터
| 리암 | 라돈 |
| 아스나 | 죠디 |
| 스칼렛 | 레이나 |
| 크리스 & 가이 |
2.2. 키 비주얼
| | |
| <rowcolor=#a88e56> 티저 비주얼 | 티저 비주얼 소녀 라돈 Ver. |
| | |
| <rowcolor=#a88e56> 키 비주얼 1탄 | 키 비주얼 2탄 |
3. 줄거리
| 저녁 반주를 즐기고 있던 어떤 남자가, 귀족 가문의 오남인 리암이 되어 눈을 떴다. 동경하던 마법을 익히는 태평한 나날이 지나가는 가운데, 속성 마법은 물론이고 정령을 소환하거나 강력한 사역마를 얻는 등 아무리 어려운 마법이라도 마스터해 나갔다! 몰락 예정인 본가에서 독립하는 걸 목표로 모험가가 된 그는, 어느새 세계 굴지의마법사 자리에까지 올라갔는데. 최강 귀족의 자유분방한 마법 판타지, 개막! 애니맥스 코리아 |
4.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몰락 예정인 귀족이지만\#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몰락 예정인 귀족이지만\#등장인물|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rowcolor=#a88e56> 등장인물 | 성우 |
| 리암 | 무라세 아유무 |
| 라돈 | 스기타 토모카즈 |
| 아스나 | 토마츠 하루카 |
| 죠디 | 하야미 사오리 |
| 스칼렛 | 이토 시즈카 |
| 레이나 | 미야모토 유메 |
| 크리스 | 오카사키 미호 |
| 가이 | 미야케 켄타 |
| 브루노 | 히로세 유우야 |
| 알브레비트 | 키지마 류이치 |
| 레이몬드 | 코야스 타케히토 |
| 의문의 소녀 | 쿠기미야 리에 |
5. 주제가
5.1. OP
| OP Wonderlust!! | |||
| TV ver. | |||
| MV ver. | |||
| Full ver. | |||
| <colbgcolor=#f5f2e8><colcolor=#a88e56> 노래 | saji | ||
| 작사 | 요시다 타쿠미(ヨシダタクミ) | ||
| 작곡 | |||
| 편곡 | saji 나카지마 이쿠야(中島生也)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5f2e8><colcolor=#a88e56> 콘티 | 이시쿠라 켄이치(石倉賢一) | |
| 연출 | |||
| 작화감독 | 오오츠카 미도리(大塚美登理) | ||
5.2. ED
| ED JOY!! | |||
| TV ver. | |||
| MV ver. | |||
| Full ver. | |||
| <colbgcolor=#f5f2e8><colcolor=#a88e56> 노래 | 오카사키 미호 | ||
| 작사 | 니시카와 사스케(西川サスケ) | ||
| 작곡 | |||
| 편곡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5f2e8><colcolor=#a88e56> 콘티 | 이시쿠라 켄이치(石倉賢一) | |
| 연출 | |||
| 작화감독 | 신나라 | ||
| 총 작화감독 | 오오츠카 미도리(大塚美登里) | ||
6. 회차 목록
| <rowcolor=#a88e56> 회차 | 제목[7]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 제1화 | リアム、初めて魔法を使ってみた 리암, 처음으로 마법을 사용해 봤다 | 타카하시 타츠야 | 이시쿠라 켄이치 (石倉賢一) | 카사이 요시노부 (葛西良信) | BigOwl | 오오츠카 미도리 (大塚美登理) | 日/韓: 2025.01.07. |
| 제2화 | リアム、冒険者になってみた 리암, 모험가가 되어 봤다 | 야마다 카나 (山田花名) | 시마즈 히로유키 | 오노다 유스케 (小野田雄亮) | 미나미 신이치로 키노시타 유미코 (木下由美子) Revival | 日/韓: 2025.01.14. | |
| 제3화 | リアム、魔竜と話してみた 리암, 마룡과 얘기해 봤다 | 고토 쇼타 (梧桐翔大) | 시바 미키타 (芝 幹太) | 일영공방 (日影工房) seed | 日/韓: 2025.01.21. | ||
| 제4화 | リアム、エルフを使い魔にしてみた 리암, 엘프를 사역마로 삼아 봤다 | 타카하시 타츠야 | 와타나베 신이치 | 와타나베 마사히코 (渡辺正彦) | 李偉峰 자오샤오찬 (趙小川) 王烈伟 吴存 梓宏 文悉达 拓锐达 陈凯 顾斌 马尔斯 studio cat | 日/韓: 2025.01.28. | |
| 제5화 | リアム、王女様と婚約してみた 리암, 왕녀님과 약혼해 봤다 | 야마다 카나 | 마츠조노 히로시 (松園 公) | 마에조노 후미오 (前園文夫) | 일영공방 | 日/韓: 2025.02.04. | |
| 제6화 | リアム、すごい鎧を作ってみた 리암, 굉장한 갑옷을 만들어 봤다 | 고토 쇼타 | 카사이 요시노부 | 요시다 하지메 (𠮷田 肇) Revival 루라포트 (ルラフォート) STUDIO CL | 日/韓: 2025.02.11. | ||
| 제7화 | リアム、ドラキュラと戦ってみた 리암, 드라큘라와 싸워 봤다 | 야마다 카나 | 오마타 신이치 | 후지시로 카즈야 (藤代和也) | 陳如水 居朝剛 丘 徐蕭田 陈强 邓婷 | 오오츠카 미도리 지펑우 (武志鵬) | 日/韓: 2025.02.18. |
| 제8화 | リアム、約束の地で王になってみた 리암, 약속의 땅에서 왕이 되어 봤다 | 타카하시 타츠야 | 와타나베 신이치 | 무라타 나오키 (村田尚樹) | Revival Reboot | 오오츠카 미도리 | 日/韓: 2025.02.25. |
| 제9화 | リアム、少女と話してみた 리암, 소녀와 대화해 봤다 | 고토 쇼타 | 마츠조노 히로시 | 미나미 신이치로 요시다 하지메 리부트 (リブート) Revival 루라포드 (ルラフォード) 4tune STUDIO CL | 日/韓: 2025.03.04. | ||
| 제10화 | リアム、海を作って遊んでみた 리암, 바다를 만들어 놀아 봤다 | 고토 쇼타 | 니시타 마사요시 이시쿠라 켄이치 | 이시야마 타카아키 | 타무라 카즈히코 (たむらかずひこ) studio cat 淮南像素映画 Studio PAPER CRANES 核聚变动画 빛의 정원 애니메이션 (光の園・アニメーション) 無錫七彩動画 BigOwl | 오오츠카 미도리 지펑우 | 日/韓: 2025.03.11. |
| 제11화 | リアム、魔法都市を作ってみた 리암, 마법 도시를 만들어 봤다 | 야마다 카나 | 마츠조노 히로시 | 마에조노 후미오 | Revival Seed | 오오츠카 미도리 | 日/韓: 2025.03.18. |
| 제12화 | リアム·ラードーン王国 리암·라돈 왕국 | 타카하시 타츠야 | 이시쿠라 켄이치 와타나베 신이치 | 카사이 요시노부 | 미나미 신이치로 키노시타 유미코 요시다 하지메 일영공방 Revival | 日/韓: 2025.03.25. | |
7. 회차별 WEB 예고편
| <colbgcolor=#f5f2e8><colcolor=#a88e56>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1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2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3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4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5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6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7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8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9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10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11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12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8. 해외 공개
8.1. 대한민국
한국에는 애니맥스 코리아에서 2025년 1분기 한일 동시방영작으로 가져와 자막으로 방영하였다. 번역은 조우리, 종합편집은 김수진이 맡았다.9. 평가
9.1. 방영 전
반푼이라 불리던 전 영웅은, 친가에서 추방됐으므로 맘대로 살기로 했습니다의 제작사였던 스튜디오 딘과 마비 잭의 공동 제작 작품인지라 또다른 괴작이 탄생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있었다.[8] 하지만 감독 이시쿠라 켄이치(石倉賢一)는 사쿠라 트릭에서 준수한 연출력을 보여준 실력 있는 감독인지라 어느 정도 우려는 잠식되었다.9.2. 방영 후
| |
| 평점 6.08 / 10.0 |
| 기준: 2025.10.26 / (37768) |
이세계 작품으로서는 졸작으로 꼽힌다.
- 영상미
작화는 준수하지만 어딘가 연출이 어색하다. 또한 11화에서는 마법을 사용하는 장면이 월드 엔드 일도양단에 견줄 만한 형편 없는 퀄리티로 연출되면서 나오면서 조롱거리가 되었다. - 스토리
원작부터가 전형적 일본식 이세계물의 클리셰를 모두 때려박은 작품인지라 평가는 좋지 않다.
진행도 좋지 못한데, 제목대로 마법에 열중한다는 주제는 좋았으나 매 화 마다 주인공이 [마법을 습득했다] > [마법을 그냥 단련한다] > [마스터 한다]의 반복이고 무엇보다 단련한다는 부분을 그냥 스킵 하거나 1분도 안되서 마스터했다고 기뻐하는 기괴한 진행을 보여주며, 주변에선 어색하게 주인공을 띄워주다 못해 신격화 까지 시키는데 그 방식이 그냥 말로만 대충 하는 수준이라 전체적으로 무미건조한 느낌도 든다. 하다 못해 등장하는 모든 등장인물과 더불어 드래곤, 요정, 정령 등 주인공을 안 띄워주는게 이상할 정도인 수준.
주인공이 계속 '배움'에 집착하는 느낌이 드는 캐릭터 성을 보이지만 현실은 아이템 빨[9]이다. 우연히 받은 반지덕분에 마력이 무식하게 높아진것 뿐만 아니라 주인공 보정까지 받아 주변에서 주인공을 지원해준 덕분에 강해진것뿐 정작 본인이 한건 그냥 마법을 난사하는게 전부다. 마법을 만들어 내기도 하지만 제대로 된 설명 없이 '이렇게 했다'로 퉁쳐 버리기는 어이없는 수준으로 이야기가 진행된다.
- 성우
1화의 경우 감독의 영향이 크게 작용한 것인지 작화 퀄리티는 뛰어나지는 않지만 준수하며, 초호화 캐스팅의 성우진으로 관심을 끌었다.
[1] 1화 한정. (화) 02:00 → 2화부터는 이전화 재방송 후 광고 없이 이어서 본방[2] 1화 (금) 00:00, 2~4화, 6~12화 (금) 01:00, 5화 (목) 23:00[3] 일러스트레이터 카보차(かぼちゃ)의 축전
[4] 코믹스 작가의 축전
[5] 본제는 동일하며 부제로 '크리스는 주인님을 좋아해'가 별도로 붙는다.[6] 코믹스 스핀오프 작가의 축전
[7]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맥스 코리아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8] 심지어 방영 후 공개된 제작 프로듀서도 동일해 반푼이 애니를 만들던 스태프도 일부 참가한다.[9] 주인공에게 마법의 적성만 있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처음부터 치트적인 능력을 가진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