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의미
동서고금을 불문하고 널리 퍼져 있는 서브컬처(특히 전래동화)의 클리셰 가운데 하나. 말 그대로 형제를 주인공으로 하는데 형이 악인이고 아우가 착한 경우로, 반대 개념으로는 형만 한 아우 없다가 있다.이런 류의 이야기는 대개 부모를 여의고 재산을 상속받는 과정에서 형이 아우 몫까지 가로채면서 시작되는 경우가 많다.
동양이든 서양이든 동생이 먼저 태어나 성장한 손윗형제보다 신체적으로나 서열상으로나 약할 수밖에 없으며, 사회적으로 약자로서 괴롭힘을 당하는 것은 매우 흔한 일이다.[1][2] 이런 이야기를 듣는 어린이들은 주로 집안에서 가장 어리고 약한 구성원이기 때문에 공감을 주기 위해 이러한 클리셰가 널리 퍼진 것으로 보인다. 또 맏이의 권위를 앞세워 약자인 동생을 괴롭히던 형은 결국 벌을 받고, 동생은 형에게 좋은 것은 많이 빼앗겼지만 결국 주변 사람들이나 신적 존재의 도움을 받아 크게 성공하는 모습에서 일종의 인과응보의 형태를 보여준다. 어떻게 보면 착하게 살아야 복을 받는다는 이야기의 한 갈래라고 할 수 있겠다.
약간씩의 바리에이션은 있지만 대부분 이런 식으로 진행된다.
1. 위에서도 말했듯이 부모의 유산을 형이 독차지하고 아우를 쫓아낸다. 2. 아우는 어려운 형편에도 착실하게 살아간다. 3. 어느 날 갑자기 아우가 큰 복을 받으면서 형보다 더 잘 살게 된다. (<장화 신은 고양이>처럼 아우가 복을 받는 과정이 핵심인 경우 여기서 이야기가 끝나기도 한다.) 4. 그 소문을 들은 형이 배가 아파서 아우를 찾아간다. 5. 아우를 졸라 자초지종을 캐낸 형은 자신도 아우의 흉내를 낸다. 6. 욕심 많은 형은 나중에 "감히 혼자서만 부자가 될 생각을 했겠다?"며 동생을 비웃지만, 복을 받긴커녕 큰 벌을 받게 된다. 7. 아우가 형을 용서해 주자 형이 개과천선하고 아우와 함께 행복하게 살면서 끝. (이 단계는 생략될 수도 있다.) 8. 동생이 용서해 주든 말든 끝내 형이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하거나(<알리바바와 40인의 도적>), 심하면 형들이 동생의 행운을 강탈하기 위해 개과천선한 척하고 접근한 뒤 동생을 역으로 해치기도 한다. 이 정도로 막장인 형은 흔하지 않지만 그림 동화에서는 의외로 자주 나온다. 그 밖에 역시 그림 동화인 <배낭, 모자, 그리고 뿔피리>에서는 행운을 얻은 동생이 자신을 비웃었다는 이유로 형들을 관광보냈다. |
자매들이라도 얄짤없는 법칙. 대부분의 동화 속에는 언니들은 못되고 추하며 막내딸은 착하고 예쁘다고 나온다. 외모의 경우 언니들도 예쁜 경우가 있지만 어쨌든 성격은 더러워서 안 좋은 결말을 맞게 된다.
현실 형제들이 싸움을 벌일 때 동생이 형을 공격하기 위해 꺼내드는 필승 스킬이기도 하다. 대략 '옛날 얘기를 보면 어딜 가든 동생이 착한 놈이고 형은 나쁜 놈이다 → 따라서 우리 형도 나쁜 놈이다'라는 식으로 형을 도발하면 형 입장에서는 멘탈이 나갈 수밖에 없다. 이로 인해 학부모들이 "어린이들의 정서에 맞지 않고 손윗형제가 무조건 나쁜 아이라는 편견을 조장할 수 있다"라고 형을 나쁘게 묘사하는 전래동화는 어린이들에게 손윗형제가 무조건 나쁘다는 편견을 심어줄 수 있다고 강력히 주장해, 현대 동화는 이 클리셰를 비틀거나 옛 판본을 조사해 형을 상냥하고 착한 성격으로 바꾸고 동생을 못된 사람으로 나오는 경우도 만들어 편견을 심지 않게 한다. 그런데 이러면 머지않아 이번엔 동생이 못된 사람이라는 편견이 생기게 된다는 점에서 언발에 오줌누기식 해결법이다.
서브컬쳐 등의 착작물에서는 갈모형제 클리셰가 등장할 경우 굉장히 높은 확률로 이 클리셰로 이어진다. 형이 뛰어난 경우 동생은 열등감을 느끼고 삐뚤어지는 경우도 없지는 않으나, 반대로 뛰어난 형을 존경하며 졸졸 따라다니거나 다소 열등감을 느끼더라도 향상심을 발휘해 자신을 단련하는 등 등 여러 갈래의 클리셰로 이어지는 경우가 더 많다. 예시로 동생 쪽에는 카이바 모쿠바나 렌고쿠 센쥬로 등 형을 존경하고 모시는 손아랫사람 역할에 충실한 캐릭터가 되거나, 우치하 사스케나 갓슈 벨처럼 형을 동경하거나 자신의 목표를 추구하다가 기어코 뛰어넘어 버리거나, 이누야샤나 시나즈가와 겐야처럼 형을 뛰어넘지는 못하더라도 형에게 도움을 받거나 노력하는 과정에서 자신을 위한 목표를 성취하거나 이야기에서 큰 역할을 하는 캐릭터도 있다.[3]
반면 이런 관계를 개그로 넘길 수 있는 일상만화나 개그만화 캐릭터면 몰라도 악역이 존재하는 소년만화 등에서 갈모형제 클리셰에 속하는 형 캐릭터들은 코쿠시보나 다비처럼 동생에게 느낀 열등감 때문에 극한까지 비뚤어진 최악의 악역 역할을 맡게 되고 최후 역시 매우 비참한 경우가 많으며, 이는 사회 관념상 동생이 더 뛰어날 경우 본인이 느끼는 열등감이 반대 입장일 때와는 상상을 초월하기 때문에 인물관계의 개연성을 챙기다 보면 형쪽이 어지간히 인격자라는 설정이 아니고서야 자존심에 상처를 입은 형 캐릭터가 타락하는 경우가 많아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당장 형만 한 아우 없다는 속담도 형을 좋게 말해주는 속담이지만, 뒤집어 말하자면 '형이 동생보다는 잘 해야지' 라는 강박이기도 하다. 갈모형제→못된 형 루트를 탄 캐릭터들 대부분은 이런 소리를 들어서 삐뚤어지는 경우가 많다.
2. 창작물
자세한 내용은 못된 형과 착한 아우/창작물 문서 참고하십시오.3. 관련 문서
[1] 대체로 재산상속에서 이익보다는 불이익을 받곤 했고, 나눌 수 없는 재산인 작위의 경우(왕좌를 포함해서) 특별한 문제가 없으면 장남이 그대로 물려받는 풍습도 거의 만국 공통으로 있었다.[2] 단, 몽골 제국 과 같은 유목민은 유달리 말자상속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장성해서 독립하는 시기가 빠른 손윗형제들보다 재산과 기반을 마련하기 힘들고 생존하기 어려운 막내에게 중점을 두어 상속한 것으로 보인다.[3] 사실 형보다 못한 동생 캐릭터는 삐뚤어지더라도 형에게 열등감을 느껴서 삐뚤어지는 경우가 그리 많지는 않고 라우더 닐이나 룬의 아이들의 에키온처럼 형이 아닌 형과 연결된 다른 대상에게 증오를 느껴 삐뚤어지는 경우가 더 많다. 블라도 진네만처럼 형에게 열등감을 느껴서 흑화하는 경우가 오히려 근대의 창작물에서는 다소 드문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