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천군/정치
경상북도 제19대 국회의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포항 북 | 경주 | 김천 | 안동 | |
이병석 | 박명재 | 정수성 | 이철우 | 김광림 | |
구미 갑 | 구미 을 | 영천 | 상주 | ||
공석 | 김태환 | 장윤석 | 정희수 | 김종태 | |
이한성 | 최경환 | 이완영 | 김재원 | 강석호 | |
* 포항 남·울릉 김형태 의원직 상실 (2013.7.25.) * 구미 갑 심학봉 사퇴 (2015.10.12.) | |||||
◀ 제18대 제20대 ▶ | }}} }}}}}} |
대한민국의 폐지된 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580009><tablebgcolor=#580009> | }}} | ||||
<colbgcolor=#580009><colcolor=#fff> 선거인 수 | 103,769명 (2012) | |||||
상위 행정구역 | 경상북도 | |||||
관할 구역 | ||||||
신설년도 | 1996년 | |||||
이전 선거구 | 점촌시·문경군, 예천군 | |||||
폐지년도 | 2012년 | |||||
이후 선거구 | 영주시·문경시·예천군 |
[clearfix]
1. 개요
문경시·예천군 선거구는 대한민국의 폐지된 선거구이다. 중선거구제 당시 하나로 묶여있던 문경군과 예천군이 1988년 소선거구제 도입, 점촌시 출범과 함께 문경시 선거구와 예천군 선거구로 분리되며 생겨난 선거구였으나, 15대 총선부터 다시 한 선거구로 통폐합 되었고 이후 경상북도 북부 지역의 지속적인 인구 감소 탓에 영주시·문경시·예천군으로 개편되어 사라졌다.15대 총선부터 17대 총선까지 문경 출신 후보와 예천 출신 후보 간 표 대결로 매 선거마다 접전 내지는 이변이 이어졌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rowcolor=#fff> 대수 | 당선인 | 당적 | 임기 | 선거구 |
9대 | 채문식 | [[신민당(1967년)|]] |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 | 문경군·예천군[1] |
황재홍 | [[민주공화당|]] | |||
10대 | 채문식 | [[신민당(1967년)|]] | 1979년 3월 12일 ~ 1980년 10월 27일 | |
구범모 | [[민주공화당|]] | |||
11대 | 채문식 | | 1981년 4월 11일 ~ 1985년 4월 10일 | |
김기수 | [[한국국민당(1981년)|]] | |||
12대 | 채문식 | | 1985년 4월 12일 ~ 1988년 5월 29일 | |
반형식 | | |||
13대 | 신영국 | [[통일민주당|]] |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 점촌시·문경군[2] |
유학성 | | 예천군 | ||
14대 | 이승무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 점촌시·문경군 |
유학성 | [[민주자유당|]] | 1992년 5월 30일 ~ 1993년 3월 31일[3] | 예천군 | |
반형식 | 1993년 6월 12일 ~ 1996년 5월 29일 | |||
15대 | 황병태 | [[신한국당|]] | 1996년 5월 30일 ~ 1997년 12월 26일[4] | 문경시·예천군 |
신영국 | | 1998년 4월 3일 ~ 2000년 5월 29일 | ||
16대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 |||
17대 | 신국환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 |
18대 | 이한성 |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
19대 | [[새누리당|]]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
2.1. 문경군·예천군 (중선거구제 시기)
2.1.1. 제9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제11선거구 문경군 일원, 예천군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황재홍(黃在洪) | 42,543 | 2위 |
[[민주공화당|]] | 40.12% | 당선 | |
2 | 채문식(蔡汶植) | 49,933 | 1위 |
[[신민당(1967년)|]] | 47.09% | 당선 | |
3 | 장유길(張裕吉) | 13,539 | 3위 |
| 12.77% | 낙선 | |
| | 등록무효 |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
계 | 선거인 수 | 142,940 | 투표율 78.42% |
투표 수 | 112,091 | ||
무효표 수 | 6,076 |
2.1.2. 제10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제11선거구 문경군 일원, 예천군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구범모(具範謨) | 39,380 | 2위 |
[[민주공화당|]] | 32.00% | 당선 | |
2 | 채문식(蔡汶植) | 43,237 | 1위 |
[[신민당(1967년)|]] | 35.14% | 당선 | |
3 | 반형식(潘亨植) | 15,431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2.54% | 낙선 | |
4 | 현석주(玄錫朱) | 20,509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6.66% | 낙선 | |
5 | 황병호(黃丙鎬) | 4,482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64%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47,749 | 투표율 84.48% |
투표 수 | 124,811 | ||
무효표 수 | 1,772 |
2.1.3. 제11대 국회의원 선거
경상북도 제13선거구 문경군 일원, 예천군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채문식(蔡汶植) | 56,857 | 1위 |
| 45.69% | 당선 | |
2 | 황병호(黃丙鎬) | 8,242 | 4위 |
| 6.62% | 낙선 | |
3 | 김기수(金基洙) | 32,359 | 2위 |
[[한국국민당(1981년)|]] | 26.00% | 당선 | |
4 | 정인호(鄭寅昊) | 19,403 | 3위 |
[[민주한국당|]] | 15.59% | 낙선 | |
5 | 윤재룡(尹在龍) | 4,940 | 5위 |
| 3.96% | 낙선 | |
6 | 주영우(周永宇) | 2,635 | 6위 |
| 2.11%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46,280 | 투표율 85.82% |
투표 수 | 125,542 | ||
무효표 수 | 1,106 |
2.1.4. 제12대 국회의원 선거
문경군·예천군 문경군 일원, 예천군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반형식(潘亨植) | 20,893 | 2위 |
| 16.47% | 당선 | |
2 | 채문식(蔡汶植) | 62,435 | 1위 |
| 49.23% | 당선 | |
3 | 김문석(金文錫) | 18,170 | 3위 |
[[민주한국당|]] | 14.32% | 낙선 | |
4 | 김기수(金基洙) | 15,738 | 4위 |
[[한국국민당(1981년)|]] | 12.41% | 낙선 | |
5 | 신영국(申榮國) | 9,562 | 5위 |
| 7.54%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44,686 | 투표율 88.86% |
투표 수 | 128,571 | ||
무효표 수 | 1,773 |
2.2. 문경시·예천군 (15대 ~ 19대)
2.2.1.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문경시·예천군 문경시 일원, 예천군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황병태(黃秉泰) | 30,651 | 1위 |
[[신한국당|]] | 34.77% | 당선 | |
2 | 황병호(黃丙鎬) | 2,046 | 7위 |
[[새정치국민회의|]] | 2.32% | 낙선 | |
3 | 안희대(安熙大) | 3,587 | 6위 |
| 4.06% | 낙선 | |
4 | 신국환(辛國煥) | 14,919 | 3위 |
[[자유민주연합|]] | 16.92% | 낙선 | |
5 | 이상원(李相源) | 3,051 | 5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42% | 낙선 | |
6 | 이승무(李昇茂) | 29,987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4.02% | 낙선 | |
7 | 최주영(崔周永) | 3,904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4.42%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17,837 | 투표율 77.37% |
투표 수 | 91,173 | ||
무효표 수 | 3,028 |
인구 감소로 문경과 예천이 다시 한 선거구로 통합되어 치른 첫 선거. 이 선거부터 문경 출신 후보와 예천 출신 후보 간 접전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이 지역에서 강세를 보이는 신한국당 공천 과정에서 문경 출신 이승무 의원과 예천 출신 황병태 전 주중 대사가 맞붙은 결과, 황 전 대사가 공천을 받았고, 이에 반발한 이승무 의원이 무소속으로 출마했다. 여기에 예천 출신인 신국환 전 공업진흥청장이 자민련에 입당해 자민련 공천으로 해당 지역구에 출마하며 문경 출신 유력 후보 1명, 예천 출신 유력 후보 2명으로 선거전이 진행되었다.
개표 결과 문경에서는 무소속 이승무 후보가, 예천에서는 신한국당 황병태 후보가 각각 60%에 가까운 득표율을 올린 가운데, 문경에서 15.7%를 득표한 황병태 후보가 예천에서 1%대 득표를 올린 이승무 후보를 664표 차이로 누르고 당선되었다.
2.2.2. 1998년 재보궐선거
문경시·예천군 문경시 일원, 예천군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신영국(申榮國) | 34,932 | 1위 |
| 46.94% | 당선 | |
3 | 신국환(辛國煥) | 33,640 | 2위 |
[[자유민주연합|]] | 45.20% | 낙선 | |
4 | 이상원(李相源) | 5,854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7.87%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15,655 | 투표율 66.30% |
투표 수 | 76,682 | ||
무효표 수 | 2,256 |
문경 VS 예천의 지역대결로 선거가 진행되었고, 인구가 상대적으로 많은 문경 출신의 신영국 후보가 신승했다.
2.2.3.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문경시·예천군 문경시 일원, 예천군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신영국(申榮國) | 38,777 | 1위 |
| 47.35% | 당선 | |
2 | 황병호(黃丙鎬) | 5,124 | 3위 |
[[새천년민주당|]] | 6.25% | 낙선 | |
3 | 신국환(辛國煥) | 37,991 | 2위 |
[[자유민주연합|]] | 46.39%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14,575 | 투표율 72.92% |
투표 수 | 83,553 | ||
무효표 수 | 1,661 |
2.2.4.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문경시·예천군 문경시 일원, 예천군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신영국(申榮國) | 29,979 | 2위 |
| 42.40% | 낙선 | |
2 | 함대명(咸大明) | 605 | 5위 |
[[새천년민주당|]] | 0.85% | 낙선 | |
3 | 황성재(黃盛載) | 5,288 | 3위 |
[[열린우리당|]] | 7.47% | 낙선 | |
4 | 반형식(潘亨植) | 913 | 4위 |
[[자유민주연합|]] | 1.29% | 낙선 | |
5 | 신국환(辛國煥) | 33,915 | 1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47.97% | 당선 | |
계 | 선거인 수 | 107,018 | 투표율 67.37% |
투표 수 | 72,100 | ||
무효표 수 | 1,400 |
2.2.5.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문경시·예천군 문경시 일원, 예천군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2 | 이한성(李翰成) | 31,397 | 1위 |
| 48.46% | 당선 | |
6 | 김명한(金明漢) | 2,955 | 3위 |
[[평화통일가정당|]] | 4.56% | 낙선 | |
7 | 김수철(金秀哲) | 28,847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44.52% | 낙선 | |
8 | 전경수(全經壽) | 1,589 | 4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2.45%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02,786 | 투표율 64.43% |
투표 수 | 66,222 | ||
무효표 수 | 1,434 |
2.2.6.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문경시·예천군 문경시 일원, 예천군 일원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한성(李翰成) | 37,040 | 1위 |
[[새누리당|]] | 53.26% | 당선 | |
2 | 최영록(崔永祿) | 3,735 | 3위 |
[[민주통합당|]] | 5.37% | 낙선 | |
6 | 신현국(申鉉國) | 28,767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41.36%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103,769 | 투표율 68.37% |
투표 수 | 70,943 | ||
무효표 수 | 1,401 |
19대총선 지역구 최고 투표율을 찍었다.
[1] 중선거구제[2] 지금의 문경시는 점촌시와 문경군이 통합된 것이다.[3] 공직자 재산공개 파문으로 1993년 3월 31일 사직하였다.[4] 한보그룹 비리 사건으로 형을 선고받아, 1997년 12월 26일 의원직 상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