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9 13:50:07

미디어텍 Dimensity/9000 시리즈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미디어텍 Dimensity
파일:미디어텍 Dimensity 로고.svg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3px -11px"
현행 라인업
로우엔드미드
레인지
하이엔드플래그십
6000700080009000
구형 라인업
미드
레인지
하이엔드플래그십
7008009001000}}}}}}}}}
시리즈 미적용 · Helio · Kompanio · 전체 라인업


1. 개요2. 제품군
2.1. 9000 & 9000+
2.1.1. 90002.1.2. 9000+
2.2. 9200 & 9200+
2.2.1. 92002.2.2. 9200+
2.3. 9300 & 9300+
2.3.1. 93002.3.2. 9300+
3. 같이 보기

[clearfix]

1. 개요

2021년 런칭된 미디어텍 Dimensity의 플래그십 SoC 시리즈다.

2. 제품군

2.1. 9000 & 9000+

2.1.1. 9000

파일:dimensity_9000.png 파일:MT6983_Diagram.png
MT6983다이어그램
<colbgcolor=#cdcdcd,#373a3c>파트넘버MT6983
CPUARM Cortex-X2 MP1 3.05 GHz + ARM Cortex-A710 MP3 2.85 GHz + ARM Cortex-A510 MP4 1.80 GHz
xxx KB + xxx KB + xxx KB L1 Cache // 1 MB + 512 KB + 256 KB L2 Cache // 8 MB L3 Cache
GPUARM Mali-G710 MC10 848 MHz
명령어셋 ARMv9-A
메모리 16-bit 쿼드채널 LPDDR5 3200 MHz
메모리 대역폭 51.2 GB/s
16-bit 쿼드채널 LPDDR5X 3750 MHz
메모리 대역폭 : 60.0 GB/s
시스템 캐시 메모리 : 6 MB
생산 공정TSMC 4nm FinFET N4 (EUV)
다이 사이즈: -- mm², 트랜지스터 개수 :
내장 모뎀MediaTek M80 5G Modem
LTE Category ? (DL = ? Mbps, UL = ? Mbps)
5G NR Sub-6 (DL = 7000 Mbps, UL = 2500 Mbps)
주요
사용 기기
Redmi K50 Pro, OPPO Find X5 Pro, Honor 70 Pro+, Vivo X80

2021년 11월 19일에 공개된 모바일 AP로, Dimensity 2000 시리즈를 리네이밍 하여 새로운 플래그십 라인업인 9000 시리즈로 변경되었다.

CPUARM Cortex-X2을 싱글코어 구성으로 빅 클러스터를 이루고, ARM Cortex-A710을 트리플코어 구성으로 미드 클러스터를 이루며 ARM Cortex-A510를 쿼드코어 구성으로 리틀 클러스터로 이뤄서 ARM big.LITTLE 솔루션을 적용한 DynamIQ 방식 HMP 모드 지원 옥타코어 CPU를 탑재했다. 또한 6MB의 시스템 캐시를 사용하며 ARMv9 기반의 명령어셋 아키텍처를 지원한다.

GPUARM Mali-G710을 데카코어 구성으로 탑재했다. 그리고 레이트레이싱 기능을 지원하지만 G710은 해당 기능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하드웨어가 아닌 단순히 소프트웨어 API로 구현된다.

메모리 컨트롤러는 세계 최초로 LPDDR5X를 지원한다. 이는 JEDEC의 최대 대역폭인 8533 MT/s만큼 빠르지 않지만 LPDDR5-6400 표준보다 17% 더 빠른 성능을 보여준다. 추가로 하위규격의 LPDDR5를 지원한다.

인공신경망 프로세서인 NPU는 미디어텍 APU 590를 헥사코어 구성으로 탑재했다. 미디어텍 프로세서는 CPUGPU, DSP를 통해 머신 러닝 연산을 처리하며 ETHZ v4 기준 경쟁사의 Tensor 칩셋보다 16% 더 높은 연산성능을 보여준다고 한다.

비디오 디코딩 측면에서 디멘시티 시리즈 최초로 8K@30fps AV1 디코딩을 지원하며 ISP는 이론적으로 3대의 카메라에서 동시에 4K HDR 비디오를 캡처할 수 있어 각 3개의 ISP 중 하나를 통과하는 3개의 카메라에서 3개의 노출을 동시에 캡처함으로써, 초당 총 270개의 프레임의 처리해 18비트 4K HDR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최대 320MP의 카메라 센서를 지원한다.

5G 모뎀은 3GPP Release-16 표준을 준수하며, mmWave는 제외되었지만, 3CC 캐리어 어그리게이션(300MHz)을 사용하여 이론상 최대 다운로드 속도가 7Gbps인 Sub-6 5G를 지원한다. 또한, SUL과 NR UL-CA 기반 연결 모두에 대해 R16 UL Tx 스위칭을 제공하여, 다중 대역 5G NR 배치에서 더 나은 업링크 기능과 스펙트럼 활용이 가능하다.

Wi-Fi 측면에서는 자체 솔루션과 함께 제공되어 6GHz 대역 지원을 위한 Wi-Fi 6E, 160MHz 채널 대역폭 및 Bluetooth 5.3을 지원한다.

생산 공정은 TSMC의 4nm FinFET N4 (EUV) 공정으로 20nm 이후로 TSMC의 선단 공정을 사용하였다.

2021년 말, 미디어텍 AP 최초로 경쟁사의 플래그십 AP를 상대로 전성비와 CPU의 절대 성능 부분에서 모두 앞서는 결과를 보여주는데 성공했다.[1] #1,#2 GPU의 경우 8 Gen 1에 비해 10% 가량 뒤처지는 것으로 드러났지만 CPU 기준으로 봤을 때 미디어텍이 삼성의 엑시노스와 퀄컴의 스냅드래곤을 1세대 정도 앞선 성능을 보여줬다는 것만으로도 의미있는 성과인 셈.

그러나 하반기에 출시된 8+ Gen 1이 싱글 코어, 전성비 부분에서 모두 우위를 가지게 되어 2022년 안드로이드 플래그십 왕좌의 자리에서 물러나게 되었다.[2] TSMC로 바꾸자마자 절대우위를 가지게된 8+G1 결국 삼성 파운드리 때문이었다

2.1.2. 9000+

<colbgcolor=#cdcdcd,#373a3c>파트넘버MT6983
CPUARM Cortex-X2 MP1 3.35[ROG]/3.20 GHz + ARM Cortex-A710 MP3 3.20[ROG]/2.85 GHz + ARM Cortex-A510 MP4 1.80 GHz
xxx KB + xxx KB + xxx KB L1 Cache // 1 MB + 512 KB + 256 KB L2 Cache // 8 MB L3 Cache
GPUARM Mali-G710 MC10 955 MHz
명령어셋 ARMv9-A
메모리 16-bit 쿼드채널 LPDDR5 3200 MHz
메모리 대역폭 51.2 GB/s
16-bit 쿼드채널 LPDDR5X 3750 MHz
메모리 대역폭 : 60.0 GB/s
시스템 캐시 메모리 : 6 MB
생산 공정TSMC 4nm FinFET N4 (EUV)
다이 사이즈: -- mm², 트랜지스터 개수 :
내장 모뎀MediaTek M80 5G Modem
LTE Category ? (DL = ? Mbps, UL = ? Mbps)
5G NR Sub-6 (DL = 7000 Mbps, UL = 2500 Mbps)
주요
사용 기기
Xiaomi 12 Pro Dimensity, ROG Phone 6D, ROG Phone 6D Ultimate

2022년 6월 22일에 공개된 디멘시티 9000의 성능 향상판으로 스냅드래곤 8+ Gen 1의 대응 모델이다. X2 빅코어와 GPU의 동작 주파수가 향상되었다.

ROG Phone 6D 계열 한해서 빅/미들 클라스터의 주파수를 더 높인 9000+를 탑재하여 긱벤치5 기준 싱글 1400, 멀티 4700대의 높은 점수를 보여준다.

[1] 그도 그럴 것이 스냅드래곤, 엑시노스 보다 더 많은 L2, L3 캐시를 탑재하고 전체적인 동작 클럭도 소폭 우세하며 비슷한 IPC, 두 경쟁 모델이 삼파공정을 사용하여 삽질하는 동안 TSMC의 선단 공정을 사용한 부분 등 스펙 부터가 우위에 있다.[2] 그나마 위안인 부분은 디멘시티 9000의 멀티코어 피크 성능이 대략 10% 정도 더 높다.[ROG] ROG Phone 6D Series[ROG]

2.2. 9200 & 9200+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0><tablebordercolor=#fae0a5><tablebgcolor=#f5f5f5,#1f2024><colbgcolor=#35363a><colcolor=#fae0a5><rowbgcolor=#35363a><rowcolor=#fae0a5><:><width=10%>이름||<:><width=45%>Dimensity 9200||<:><width=45%>Dimensity 9200+||
<rowcolor=#fae0a5>파트넘버MT6985MT6985Z
출시2022년2023년
CPU1 × ARM Cortex-X3
3 × ARM Cortex-A715
4 × ARM Cortex-A510
3.05 GHz + 2.85 GHz + 1.80 GHz3.35 GHz + 3.00 GHz + 2.00 GHz
{{{#363a3d,#dddddd {{{#!wiki style="margin: -1px -11px"
{{{#!folding [ 캐시 구성 정보 ]
X3 : - KB L1 명령 캐시 + - KB L1 데이터 캐시 / - MB L2 캐시
A715 : - KB L1 명령 캐시 + - KB L1 데이터 캐시 / - MB L2 캐시
A510 : - KB L1 명령 캐시 + - KB L1 데이터 캐시 / - MB L2 캐시
공유 : 8 MB L3 공유 캐시
}}}}}}}}}
GPU11 x ARM Immortalis-G715
981 MHz1.15 GHz
명령어 세트ARMv9-A
메모리16-Bit 쿼드채널 LPDDR5X 4266 MHz
메모리 대역폭: 68.2 GB/s
시스템 캐시 메모리: 6 MB
NPU미디어텍 APU 690
생산 공정TSMC 4nm FinFET N4P (EUV)
다이 사이즈 : 120.5 mm², 트랜지스터 개수 : 17B
내장 모뎀미디어텍 M80 5G 모뎀
5G NR FDD·TDD / SA·NSA
Sub-6 (7.91 Gbps↓/3.76 Gbps↑) 4CA
mmWave (- Gbps↓/- Gbps↑) 8CA
4G LTE FDD·TDD Cat.?·? (- Gbps↓/- Mbps↑) ?CA / VoLTE
3G GSM/CDMA2000/TD-SCDMA
2G GSM/CDMA
사용 기기Vivo X90 Pro, OPPO Find N3 FlipiQOO Neo 8 Pro, Redmi K60 Ultra
부가 정보 {{{#!wiki style="margin: 0 -12px; 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181818,#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colbgcolor=#35363a><colcolor=#fae0a5>디스플레이WQHD 140 Hz / FHD 240 Hz
Wi-FiWi-Fi 1/3/4/5/6/6E/7
카메라320MP
8K 30 Hz / 4K 60 HzR
GNSSGPS, GLONASS, Beidou, Galileo, QZSS, NavIC
블루투스블루투스 5.3}}}}}}}}}

2.2.1. 9200

2022년 11월 8일에 공개된 Dimensity 9000/9000+의 후속작이다. 12월에 공개되는 8000번대와 넘버링을 맞추기 위함인지 9100이 아닌 9200으로 네이밍되었다.

CPU는 ARM Cortex-X3을 싱글코어 구성으로 빅 클러스터를 이루고, ARM Cortex-A715을 트리플코어 구성으로 미드 클러스터를 이루며 ARM Cortex-A510을 쿼드코어 구성으로 리틀 클러스터로 이뤄서 ARM big.LITTLE 솔루션을 적용한 DynamIQ 방식 HMP 모드 지원 옥타코어 CPU를 탑재했다. 또한 6MB의 시스템 캐시를 사용하며 ARMv9 기반의 명령어셋 아키텍처를 지원한다.

GPU는 ARM Immortalis-G715[5]을 운데카코어 구성으로 탑재했다. 전작과 달리 레이트레이싱을 하드웨어 단에서 지원하며, 미디어텍 HyperEngine 6.0을 통해 게이밍 시 더 많은 시각적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메모리 컨트롤러는 전작과 마찬가지로 LPDDR5X를 지원하지만, 이번에는 JEDEC의 최대 대역폭인 8533 MT/s을 충족한다.

인공신경망 프로세서인 NPU는 미디어텍 APU 690을 탑재했다. ETHZ v5 기준 전작 APU 590 대비 35% 성능이 향상되었고, 소비전력은 25% 감소했으며, 공유 메모리 효율이 개선되었다.

5G 모뎀은 3GPP Release-16 표준을 준수하며, mmWave 및, 4CC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을 사용하여 이론상 최대 다운로드 속도가 7Gbps인 Sub-6 5G를 지원한다. 또한, SUL과 NR UL-CA 기반 연결 모두에 대해 R16 UL Tx 스위칭을 제공하여, 다중 대역 5G NR 배치에서 더 나은 업링크 기능과 스펙트럼 활용이 가능하다.

Wi-Fi 측면에서는 자체 솔루션과 함께 제공되어 차세대 Wi-Fi 7, 160MHz 채널 대역폭 및 Bluetooth 5.3을 지원한다.

생산 공정은 TSMC의 4nm FinFET N4P (EUV) 공정이다.

엔지니어링 샘플기기 기준, CPU에서 개선점이 보였다. 긱벤치 5 기준, 멀티코어의 경우, 전작 9000은 소비전력이 10W에 가까웠지만, 이번 9200은 비슷한 성능에서 8W 초중반대로 전력효율이 꽤 개선되었다. 싱글코어의 경우, 이번에 새롭게 변경된 X3 코어가 전작의 X2 코어와 비슷한 3W 초반대를 소비하면서 성능이 15% 정도 향상되었다. 다만 스윗스팟을 넘기면 전성비가 상당히 나빠지는 모습을 보인다.

GPU의 경우, 3DMark Wildlife Extreme 기준 3500점대를 찍었다.수치상으로는 A16 bionic을 앞서긴 했으나 8 Gen 2와 마찬가지로 여전한 CPU 격차, 벤치와 실성능의 괴리, 안드로이드의 파편화 등으로 인해 실성능은 A16에 한참 못미친다.

2.2.2. 9200+

미디어텍이 2023년 5월 10일 공개한 AP로, Dimensity 9200의 오버클럭 버전이다. 전작인 9000+와 달리 모든 코어를 오버클럭했으며, GPU 또한 Dimensity 9200에서 17% 이상 오버클럭했다. 미디어텍의 공식 발표자료에 따르면 이러한 오버클럭으로 CPU 및 GPU 성능이 Dimensity 9200 대비 10% 향상되었다.

유튜버 Geekerwan이 Redmi K60 Ultra를 대상으로 측정한 결과, CPU는 표준형 스냅드래곤 8 Gen 2와 비교했을 때 긱벤치5 기준 멀티점수가 500점 정도 밀리고, SoC 전체 소비전력은 11.5W 정도로 근소하게 많았다. 그러나 문제는 GPU였는데, GFXBench Aztec 1440p Offscreen Vulkan 벤치마크를 돌렸을 때 1GHz 클럭 기준으로 전체 소비전력이 13W에 달했으며, 1150MHz 풀 클럭으로 돌리면 전체 소비전력이 무려 20W 가까이에 육박했다.#[6] GFXBench Manhattan 1080p Offscreen OpenGL ES 3.1 벤치마크 기준으로는 스냅드래곤 8 Gen 2 for Galaxy와 비교했을 때 오차범위 내 동급의 성능을 냈지만, 전자가 7.3W를 소비할 때 9200+는 무려 13W를 소비하여 70% 이상 더 많이 전력을 사용했다.

[5] Mail-G715의 하드웨어 레이트레이싱 지원 형제 모델이다.[6] 정확한 값은 19W를 조금 넘는다.

2.3. 9300 & 9300+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0><tablebordercolor=#fae0a5><tablebgcolor=#f5f5f5,#1f2024><colbgcolor=#35363a><colcolor=#fae0a5><rowbgcolor=#35363a><rowcolor=#fae0a5><:><width=10%>이름||<:><width=45%>Dimensity 9300||<:><width=45%>Dimensity 9300+||
<rowcolor=#fae0a5>파트넘버MT6989MT6989Z
출시2023년2024년
CPU1 × ARM Cortex-X4
3 × ARM Cortex-X4
4 × ARM Cortex-A720
{{{#363a3d,#dddddd {{{#!wiki style="margin: -1px -11px"
{{{#!folding [ 캐시 구성 정보 ]
X4(1) : - KB L1 명령 캐시 + - KB L1 데이터 캐시 / 1 MB L2 캐시
X4(2) : - KB L1 명령 캐시 + - KB L1 데이터 캐시 / 512 KB L2 캐시
A720 : - KB L1 명령 캐시 + - KB L1 데이터 캐시 / 256 KB L2 캐시
공유 : 8 MB L3 공유 캐시
}}}}}}}}}
3.25 GHz + 2.85 GHz + 2.00 GHz3.40 GHz + 2.85 GHz + 2.00 GHz
GPU12 x ARM Immortalis-G720
1.3 GHz1.- GHz
명령어 세트ARMv9.2-A
메모리16-Bit 쿼드채널 LPDDR5T 4800 MHz
메모리 대역폭: 76.8 GB/s
시스템 캐시 메모리: 10 MB
NPU미디어텍 APU 790
생산 공정TSMC 4nm FinFET N4P+ (EUV)
다이 사이즈 : 140.3 mm², 트랜지스터 개수 : -B
내장 모뎀미디어텍 M80 5G 모뎀
5G NR FDD·TDD / SA·NSA
Sub-6 (7.91 Gbps↓/3.76 Gbps↑) 4CA
mmWave (- Gbps↓/- Gbps↑) 8CA
4G LTE FDD·TDD Cat.?·? (- Gbps↓/- Mbps↑) ?CA / VoLTE
3G GSM/CDMA2000/TD-SCDMA
2G GSM/CDMA
사용 기기vivo X100/X100 Pro -
부가 정보 {{{#!wiki style="margin: 0 -12px; 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181818,#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colbgcolor=#35363a><colcolor=#fae0a5>디스플레이4K 120 Hz / WQHD 180 Hz
Wi-FiWi-Fi 1/3/4/5/6/6E/7
카메라320MP
8K 30 Hz / 4K 60 Hz HDR
GNSSGPS, GLONASS, Beidou, Galileo, QZSS, NavIC
블루투스블루투스 5.4}}}}}}}}}

2.3.1. 9300

2023년 11월 7일 발표된 칩셋으로, 리틀코어를 과감히 버리고, X4 4코어와 A720 4코어로 CPU를 구성했다. 3세대 TSMC 4nm 공정에서 제조된다.

긱벤치 6 기준으로 싱글 2200점, 멀티 7900 점이라는 기록을 세워 멀티로는 2023년 기준 최강자에 등극하는 기염을 토했다. 일단 공개된 벤치 상으로는 성능은 확실히 보장되고 온도도 괜찮은 수준으로 나왔는데, 리틀코어의 부재로 인해 최저 소비전력이 올라가 오히려 배터리 소모에 악영향을 주는 것 아니냐는 의견도 있었다.

11월 유튜브 채널 Geekerwan이 해당 AP를 탑재한 실제 기기인 Vivo X100의 성능을 측정했는데, Geekbench 6 기준, CPU 최대 소비전력 12.6W, 배터리 절약 모드에서는 약 4W 정도 수준으로 전성비는 퀄컴 스냅드래곤 8 Gen 3와 유사한것으로 측정되었다.

GPU 성능의 경우, 원신 구동에서 전작인 Dimensity 9200보다 약 6fps 정도 높은 평균 프레임을 보여줬으며, 소비전력은 스냅드래곤 8 Gen 3 보다 더 낮은 4.9W 정도로 측정되었다.

배터리 시간 역시 스냅드래곤 8 Gen 3를 탑재한 샤오미 14와 비슷한 수준으로 측정되었는데, 리틀 코어의 역할이 큰 대기전력은 추가적인 테스트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3.2. 9300+

2024년 5월 7일 발표된 SoC로, 9300의 오버클럭 칩셋이다.


3. 같이 보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3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3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