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2-13 15:47:53

바퀴 자국 지형

1. 설명2. 정체?3. 자연물?
3.1. 물자수송용?3.2. 농업용 도랑?
파일:Phrygian1.jpg
파일:Phrygian2.jpg
프리지언 계곡의 바퀴 자국 모습.(출처) 같은 곳. 측면 스크래치가 보인다.(출처)
(항공 촬영)

영어: cart ruts / cart tracks
독일어: Schleifspuren

1. 설명

튀르키예의 프리지아(Phrygia), 몰타의 "Misrah Ghar il-kbir", 멕시코의 틀락스칼라(Tlaxcala) 등에서 발견되는 정체불명의 지형. 그리스스페인, 프랑스 등지에서도 조금씩이나마 발견된다고 한다. 가장 유명한 것은 몰타의 것이지만, 사진빨은 터키 쪽이 더 잘 받는 듯.

암석 지대에서 길고 평행한 여러 줄의 깊은 자국(rut)들이 길게 이어져 있는 모습으로, 철도계통의 궤도처럼 분기하기도 하고 곡선을 그리며 방향을 바꾸기도 하며, 복잡한 연결망을 형성하기도 한다. 그 모습을 보고 연상하는 것은 세계 어디서나 다르지 않았는지, 이것을 발견한 영국인들은 런던클래펌 정션 역(Clapham Junction)을 떠올리고는 몰타 쪽에도 똑같은 이름을 붙여주었다. 튀르키예의 경우 의외로 궤간(?)이 상당히 넓은 편인데 깊이는 좀 얕다. 반대로 몰타의 것은 협궤이면서 깊이는 60cm 이상으로 상당히 깊은 편. 물론 구간에 따라서는 튀르키예 쪽도 심지어 1m 정도까지 깊어지기도 한다. 사진을 보면 짐작이 될 듯.

2. 정체?

초고대문명설의 마이너한 떡밥으로, 이 지형을 두고 고대인들이 활용한 첨단의 차량이 만든 것이라는 주장을 하는 사람들이 있다. 물론 이런 지형이 존재하는 동네에는 보통 비슷한 전설이 있어서, 터키에서도 지역 촌로들은 신화적 존재들이 수레를 타고 다니면서 만든 것이라는 전승이 있다고 증언한다. 오늘날에도 이런 주장을 하는 경우가 없진 않다. 대표적으로 러시아의 지질학자 알렉산더 콜티핀(Alexander Koltypin)[1]은 프리지언 계곡의 바퀴 자국이 1200만 년 내지 1400만 년 전의 외계 초고대 문명의 전천후 차량(all-terrain vehicle)이 만든 흔적이라고 주장했다. #

3. 자연물?

보통 이런 논쟁이 터지면 항상 나오는 것이 자연발생설인데, 이 지형에 있어서만큼은 자연발생설은 거의 나오지 않는다. 주류 지질학계에서도 이것을 인공물, 즉 인위적으로 깎아낸 지형으로 본다는 뜻이다. 다시 말하면 아주 초고대문명은 아니더라도 인류 초기 문명의 단계의 작품이라는 것이다. 결국 남은 것은 그렇다면 누가, 언제, 대체 어떤 목적으로 이런 흔적을 남겼는가 하는 문제이다.

다만 실제로 이런 형상의 자연물은 많이 있다. 연한 암석과 단단한 암석이 적당한 간격으로 배열된 퇴적암 지층이 지질 활동으로 누워지고 휘어진 상태(즉 지면에 평행이던 각 층이 지면에 직각 방향으로 누워짐)가 되었다가 윗부분이 드러나고 풍화를 받았을 경우, 연한 부분이 더 깊이 패이면서 평행한 골이 생기는 것이다. 그 위로 물이 흐르거나 사람이나 동물이 다니게 된다면 각이 지지 않고 부드럽게 되며 더 인위적으로 닳은 것으로 보이기 쉽게 된다. [2]

3.1. 물자수송용?

고대인들이 홈을 따라서 어떤 물자를 편하게 나르기 위하여 고안했다는 주장이다. 이 주장을 하는 사람들이 대부분 사람들이 동의하는 것은, 물자를 나를 때 동물의 힘은 빌리지 않았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바퀴 자국 지형 근처에는 동물의 발자국 같은 것은 전혀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

대표적으로 몰타 지역의 지형을 연구하는 지질학자 안토니 보난노(Anthony Bonanno)는 이것이 옛적 페니키아인들이 만든 석재 운송로라는 가설을 제안했다. 그는 몰타의 바퀴 자국이 한쪽 끝에는 채석장으로 보이는 유적이 있고, 다른 한쪽 끝에는 Hagar Qim이라고 이름 붙은 거석 건축물의 유적이 근방에 있음을 근거로 들었다. 즉, 고대 페니키아인들은 이곳에 머물면서 신전을 짓고자 했고, 채석장에서 채취한 석재를 신전 부지까지 손쉽게 옮기기 위해 이 바퀴 자국을 임의로 냈다는 것이다. #

물론 이것 역시 완벽한 설명은 아니다. 실제 바퀴 자국은 그 양쪽 끝이 채석장이나 신전에 명확히 연결되진 않았다. 그냥 그 근처 어딘가에 그런 유적이 있더라 하는 정도일 뿐. 한편 몰타의 사례를 두고 석재 운반을 위해 225 km씩 고생을 했던 스톤헨지의 사례나 고대 이집트의 피라미드 건설 인부들의 사례와 비교하는 사람들도 있다. 물론 이들 또한 나름의 방법은 있었다고 한다.

3.2. 농업용 도랑?

고대인들이 이제 막 농경을 발명할 무렵, 안정적으로 농업용수를 조달하기 위해서 도랑을 낸 것이라는 주장이다. 여기서는 그 연대를 기원전 3600년 내지 기원전 700년 정도로 잡는다. 이 역시 몰타의 사례를 연구하던 것이 논문이 되고, 다시 튀르키예를 포함한 타 지역으로까지 설명의 범위가 확장된 사례이다.

멜버른 대학교의 지질학자 클라우디아 사고나(Claudia Sagona)는 자신의 논문에서 몰타의 사례를 들어 '농업이 보편화되고 주류화되면서 농경지의 범위를 확장할 때 만들어 두었던 농업용수 도랑의 흔적'이라고 주장했다. 터키의 경우에도 과거에는 그 지역이 수풀이 우거지고 기름진 땅이었다면서, 도랑 사이의 간격은 당시 농민의 효율적인 농작 및 농기구의 활용을 고려하여 정해진 것이라고 보았다. #

이 주장을 따르면 초기 농경문화는 기존에 알고 있던 것보다 더 빠르게 발전하고 고도화되었다는 뜻이다. 그들도 토지 관리나 농업용수 관리 등의 농업의 원리에 대해서는 의외로 많이 알았고, 가용한 자원과 기술을 활용해서 요령껏 농사를 지었다는 것. 그래서 바퀴 자국 지형은 인류학적으로 상당한 함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1] 러시아의 국립과학연구센터 책임자이자 모스크바 독립대 생태정치대학 소속.[2] 예를 들어, 충남 안면도 드르니항에서 오른편으로 가서 제방 끝부분 리조트 앞 해변 바닥이 마치 트랙터로 갈아 놓은 듯 보이는 평행한 자국들이 있는데, 인공적인 것이 아니고 퇴적암인 자연 지층이 누워져 파도의 침식을 받아 골이 생긴 것이다. 지층이 바로 옆 절벽과 연결 되어 있으니 자연물임을 쉽게 확인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