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8 15:14:32

박서양

<colcolor=#fff><colbgcolor=#0047a0>
파일:박서양.jpg
출생 1887년 9월 30일
서울특별시 종로구 관철동
사망 1940년 2월 15일 (향년 52세)
고양군 은평면 수색리 165번지 자택
부모 아버지 박성춘, 어머니 조씨
계모 이신심
형제자매 형제[1] 박대양
여동생 박양빈
배우자 경주 이씨
자녀 3남 3녀
아들 박경철, 딸 박인애
학력 제중원의학교 (졸업)
종교 기독교 (개신교)
서훈 건국포장 추서

1. 개요2. 생애3. 대중문화 조명
3.1. 드라마 제중원3.2. 서프라이즈

[clearfix]

1. 개요



한국의사이자 독립운동가, 개신교인.

2. 생애

파일:에비슨_외과_수술장면(에비슨_허스트_박서양).jpg
세브란스병원에서의 수술 장면.(중앙 왼쪽부터 허스트, 박서양, 에이비슨)
파일:1908년 제중원 의학교 졸업사진.jpg
‘우리나라 최초의 의사’ 7인이 1908년 세브란스병원 의학교 졸업을 기념해 촬영한 사진. 뒷줄 왼쪽부터 시계 방향으로 김필순, 홍석후, 신창희, 박서양, 주현칙, 김희영, 홍종은. 가운데는 1904년부터 의료 선교사로 활동한 허스트.

1887년, 백정촌인 종로구 관철동에서 사람으로 취급받지 못하던 백정이었던 박성춘(朴晟春)[2]의 아들로 태어났다. 아명은 봉출이었다.

박서양이 의사가 될 수 있었던 이유는 의료 선교사 에이비슨의 덕분인데, 1895년 6월, 조선에서 콜레라가 만연하기 시작하자 조선 정부는 올리버 R. 에이비슨을 방역 책임자로 임명했다. 에이비슨의 노력 끝에 콜레라가 어느 정도 진정되자 고종으로부터 신임을 받았다. 이후 에이비슨은 백정도 의사가 될 수 있도록 청원하면서 박서양도 면천이 되었다. 그리고 "박서양"이라는 이름을 얻었다.

그는 제중원의학교에 입학하여 1908년 제1회로 졸업하였다. 제중원의학교는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로 바뀌고, 해방 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으로 통합된다. 박서양의 아버지 박성춘은 후에 의사가 된 아들을 위해 형평운동에 나서는 등 활발한 사회운동을 해왔고, 인사동에 있는 승동교회 장로로 선출되었고, 경기충청노회 재정위원으로도 활약하였다. 또한 만민공동회에서 발언한 내용이 근현대사 교과서에 실리기도 하였다.

의학교 시절의 동기로서는 음악가 홍난파(본명 홍영후)의 형인 홍석후[3]김마리아의 숙부이자 이태준의 스승인 김필순이 있다.

스승인 에이비슨은 동시에 유일한과도 인연이 있다. 그 인연이 전염병, 방역, 의학품과 경영학, 경제학까지 포괄적인 논의가 이루어져 훗날 유한양행이라는 결실을 맺는 데에 일조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오성학교·중앙학교·휘문학교 등에서 화학을 가르치고, 세브란스 간호원양성소(현 연세대학교 간호학과)의 교수로도 활동하였다. 1918년 이후 만주용정(龍井)으로 가서 구세의원(救世醫院)을 개업하였다. 또한 교회를 설립하였고, 소학교를 세워 아이들을 가르쳤을 뿐 아니라 독립군들의 의료도 도맡았다. 이후 조선으로 돌아와 병원을 운영하다 사망했다. 사후 2008년 독립운동의 공적을 인정받아 건국포장이 추서되었다.

사회문화 교과서에서는 모든 계층 이동 유형을 경험한 아주 드문 사례로 등장하기도 한다.

3. 대중문화 조명

3.1. 드라마 제중원

파일:/image/037/2010/01/27/201001210500011_1.jpg

그의 삶을 모델로 한 2010년 36부작 SBS 드라마 제중원에서 조명되었다. 시청률은 낮았으나 평은 좋은 편.[4]

3.2. 서프라이즈

2012년 10월 28일 MBC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서도 조명되었다. 아버지 박성춘 역으로 이중성이 연기했다.
[1] 형인지 동생인지는 불명.[2] 훗날 교회 장로, 은행원이 되었다. 보통학교에 거액의 돈을 기부하기도 했고 만민공동회서 연설을 하는 등 머리가 비상했던 인물로 보인다.[3] 홍옥임이라는 딸이 있었는데, 홍옥임은 친구인 김용주와 함께 달리는 기차에 몸을 던져 자살했다. 홍난파는 조카의 죽음에 대성통곡을 했다고 한다. 홍옥임과 김용주의 이야기는 훗날 콩칠팔 새삼륙이라는 뮤지컬로도 만들어졌다.[4] 다만 실제 생애와는 차이가 있다보니 가상의 인물인 '황정'으로 번경되어 등장한다. 이로 인해 정통 역사물로서의 박서양의 생애를 보고자 했던 이들에게는 역사 트렌디 드라마로서의 역사극이 되어 실망스러운 부분이 적지 않게 되었다. 차라리 역덕후들에게는 후술할 서프라이즈판이 낫게 보일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