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1 11:36:17

김마리아(1891)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 독립운동가에 대한 내용은 김마리아(1903)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친일반민족행위자에 대한 내용은 박마리아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aaa
가네코 후미코 강원신 강혜원 공백순 권기옥
권애라 김경화 김덕세 김도연 김마리아¹
김마리아² 김란사 김순애 김알렉산드라 김자혜
김점순 김정숙 김조이 김향화 김효숙
남자현 동풍신 민영주 박계남 박신애
박원희 박자혜 박차정 박현숙 방원희
부덕량 부춘화 신마실라 신순호 신의경
신정숙 심영신 안경신 안영희 양방매
어윤희 연미당 오건해 오광심 오희영
오희옥 유관순 유순희 윤용자 윤희순
이병희 이신애 이의순 이혜련 이효정
이희경 장매성 장선희 전수산 전월순
정정화 조마리아 조순옥 조신성 조화벽
주세죽 지복영 차경신 차미리사 차보석
최선화 최용신 최정숙 홍애시덕 황마리아
황애시덕
}}}}}}}}} ||
파일:독립장 약장.png
건국훈장 독립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D4D4D, #696969 20%, #696969 80%, #4D4D4D); color: #fede58"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독립장 부장.png
강경선 강기덕 강기운 강명규 강무경
강상모 강순필 강영소 강원형 강윤희
강이봉 강익록 강인수 강제하 강진원
강진해 강창제 강철구 계봉우 계화
고광순 고두환 고운기 고이허 고인덕
고제량 고지형 고창일 고평 곽재기
곽종석 구연영 권기옥 권오설
권인규 권준 기산도 기삼연 기우만
길선주 김단야 김대지 김덕제 김도원
김도현 김동식 김법린 김병로
김복한 김상덕 김상옥 김석 김석진
김석황 김성숙 김수민 김순애 김승학
김약연 김원국 김원범 김인전 김정익
김중건 김진묵 김철 김철수 김학규
김한종 김혁 김홍일 김희선 나병삼
나시운 나월환 나정구 나중소 나창헌
나철 나태섭 남공선 남궁억 남석인
남정각 노기용 노병대 노복선 노원섭
노을룡 노응규 노임수 노종균 노태준
다이리 류인식 마수례 마진
명제세 문상익 문석봉
문양목 문일민 문일평 문창숙 문창학
민강 민양기 민영구 민용호 민필호
민효식 박건병 박건웅 박경순 박기성
박기제 박기한 박도경 박문용 박민항
박봉석 박사화 박상진 박시창 박인호
박장호 박재혁 박차정 박찬익 박희광
반하경 방순희 백기환 백남규 백일규
백정기 사도덕 서병희 서상교 서상렬
서상용 서상한 서영석 서원준 서의배
서일 서종채 석호필 선우혁 성익현
손기업 손기혁 손덕오 손승억 손양윤
손영각 손정도 송계백 송병선 송병조
송종익 송진우 송학선 송헌주 쉐웨
신숙 신언준 신팔균 신현구 심남일
안경근 안경신 안공근 안광조
안국형 안규홍 안명근 안무 안병무
안병찬 안상익 안세환 안승우 안원규
안재환 안정근 안지호 안춘생 안태국
안현경 안희제 양경학 양근환 양기하
양세봉 양우조 양진여 엄항섭 여준
연병호 염온동 오강표 오광심 오면직
오성술 오영선 오의선 우덕순 우재룡
원세훈 원심창 유관순 유근 유동하
유림 유석현 유일한 윤동주 윤병구
윤세복 윤세주 윤자영 이갑 이강
이강훈 이광민 이규갑 이남규 이만도
이명하 이상룡 이상정 이석용 이설
이성구 이수흥 이애라 이윤재 이원대
이의준 이인 이장녕 이재유 이재현
이종건 이종희 이준 이준식 이중언
이진룡 이진무 이춘숙 이탁 이현섭
이회영 이희승 임병찬 임치정 장관주
장기천 장기초 장덕준 장덕진 장도빈
장두량 장두환 장명도 장봉한 장석영
장소진 장윤덕 장인초 장쥐 장진홍
장췬 장태수 장형 전덕기 정용기
정이형 정인보 정인승 정태진 정현섭
조경한 조동호 조명하 조병옥 조병준
조시원 조지 쇼 주기철 차도선 차병수
차병제 차병혁 차이석 차천리 차천모
차희식 채광묵 채기중 채세윤
채영 채원개 채응언 채찬 천병림
최규동 최동오 최양옥 최용덕 최재형
최중호 최진동 최팔용 최현배 태양욱
표영준
한봉수 한상렬 한성수 한시대 한징
한훈 함석은 함태영 현익철 현정건
홍언 홍원식 홍진 홍학순
황병길 황병학 황상규 황현
건국훈장 독립장 수훈자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김마리아
金瑪利亞
파일:김마리아.jpg
<colbgcolor=#0047a0> 출생 1891년[1] 6월 18일
황해도 장연도호부 서대면 송천동
(現 황해남도 룡연군 구미리)
사망 1944년 3월 13일 (향년 52세)
함경남도 원산부
(現 강원도 원산시)
사인 고문 후유증으로 병사
본관 광산 김씨(光山)[2]
직업 독립운동가, 인권운동가, 교사
부모 아버지 김윤방, 어머니 김몽은
학력 소래보통학교[3] (졸업)
정신여학교 (졸업)
난징대학 (학사)
파크 대학교 대학원 (석사)
시카고 대학교 대학원 (석사)
미국 성서신학대학교 신학대학원 (수료)
종교 개신교
정당 대한애국부인회
묘소 국립서울현충원 무후선열 위패-18호
서훈 건국공로훈장 단장 추서

1. 개요2. 생애3. 기타

[clearfix]

1. 개요

"한국인한국 독립운동을 하는 것은 당연하다."
일본 경찰의 심문 중에서.

대한민국한민족 출신 독립유공자.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종고모부인 서병호[4]와 그 아들 서재현대한민국 임시정부에서 일한 독립운동가였으며 김규식의 부인이며 역시 독립운동가인 김순애는 김마리아에게는 나이 어린 종고모가 된다. 만주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김필순은 그녀의 삼촌이고 김필순의 아들인 중국에서 활동한 미남 배우 김염은 김마리아의 사촌동생이다.

2. 생애

1891년 6월 18일 황해도 장연도호부 서대면 송천동(現 황해남도 룡연군 구미리)에서 부친 김윤방(金允邦, 1851 ~ ?)[5]과 어머니 무장 김씨(茂長 金氏) 김몽은(金蒙恩, ? ~ 1904)[6] 사이의 3자매 중 막내 딸로 태어났다. 이름인 '마리아'는 독실한 개신교 신자였던 아버지 김윤방이 지은 것이며 김윤방은 일찍이 개신교에 입교하여 고향 마을에 초등학교를 세웠는데 김마리아가 어릴 때 사망했다. 그녀는 아버지가 설립한 소래보통학교에 언니들과 다니면서 개신교 정신에 입각한 평등과 신학문을 배워나갔다. 1905년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를 졸업하고 근무하던 숙부 김필순은 나중에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세운 노백린, 유동열, 이동휘, 김규식 등과 가까운 사이로 그녀는 김필순의 도움으로 숙부의 집에서 1906년 정신여학교[7]를 다니면서 민족 정신을 갖고 독립운동가를 배출해 낸 집안 어른들의 영향을 받아 자연스럽게 조국과 민족을 사랑하는 민족주의자가 되었다. 1910년 정신여학교를 졸업하고 전라남도 광주수피아여학교[8]와 모교에서 교사로 근무했다.

1914년에는 일본으로 유학을 떠나 히로시마시를 거쳐 도쿄의 여자학원[9]에서 수학했는데 1919년 도쿄여자학원 졸업을 앞두고 도쿄 유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2.8 독립 선언이 일어나자 황애덕 등과 함께 적극적으로 참가했다. 곧이어 3.1 운동이 일어났을 때도 미리 귀국하여 황해도 지역의 운동에 관여했다가 체포 및 구금되었는데 이 때 고문을 당해 몸이 상한 뒤 평생 건강 문제로 고생하게 되었다. 당시 그녀는 귀국하면서 2.8 독립 선언문을 가져왔는데 일부러 기모노를 입고 그 오비(허리띠)에 종이를 숨겼다고 한다. 1919년 대한민국애국부인회 사건으로 징역 3년을 선고받았으나 고문 후유증으로 인한 병보석으로 풀려났다. 1920년 미국인 선교사의 도움으로 중국 상하이로 탈출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황해도 대의원이 되었으며 난징의 현재 난징대학의 전신인 진링(金陵)대학에서 수학하였지만 독립운동 대신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파벌 싸움에 식상한 그녀는 못다한 공부를 마치기 위해 1923년 미국으로 유학을 떠났다. 파크 대학교시카고 대학교에서 공부하여 석사 학위를 받은 뒤 뉴욕에서 신학을 공부하였다.
파일:김마리아 1.jpg
1923년 파크 대학교 졸업식에서의 김마리아.

이후 그녀는 뉴욕에서 다시 만난 황애덕, 박인덕(朴仁德)[10] 등과 함께 재미 대한민국애국부인회(근화회)를 조직하고 회장을 맡았다. 1933년 귀국하였으나 경성부에 체류할 수 없고 교사 활동도 신학 이외에는 가르칠 수 없도록 하는 등 일본 제국 경찰의 제약이 뒤따랐는데 함경남도 원산부의 마르다윌슨여자신학교에서 교편을 잡고 신학 교육에 힘썼다. 1938년을 전후하여 천주교, 장로회, 감리회 등 한국 기독교 주요 교파들의 신사참배 강요에 굴복하여 기독교인들이 대거 변절하던 시기에도 신사참배를 거부하였다. 1943년에 오래 전 고문으로 얻은 병(상악골 축농증)이 재발하여 원산의 사택에서 졸도한 뒤 1944년 3월 13일 결국 평양기독병원에서 사망했으며 시신은 유언대로 화장하여 대동강에 뿌려졌다.

미혼이라 자손은 없으며 사실 결혼을 못 한 이유는 본인의 의지도 있었으나 고문 후유증으로 인한 이유도 있었는데 3.1운동 당시 체포되어 취조를 받으면서 한쪽 가슴과 국부를 인두로 지지는 혹독한 성고문을 받았기 때문이었다.

1962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공로훈장 단장을 추서받았다. 이후 국립서울현충원에 그녀를 기리는 무후선열 위패가 봉안되었다.

3. 기타

  • 생전에 사회주의 독립운동가인 김철수와 가깝게 지내서 주위에서 두 사람이 결혼할 것을 권유한 적이 있었다. 김마리아와 김철수 모두 긍정적으로 생각했으나 김철수에게는 이미 고향에 본처가 있어서 이어지지는 못했다. 당시 지식인들은 고향에 집안 어른들이 일방적으로 정해 준 본처를 둔 것과는 별도로 신식 교육을 받은 신여성과 새로 결혼하는 것이 유행이었는데 구시대적 인습과 자유 연애, 연애 결혼이라는 신식 풍속이 공존하던 과도기의 모습이다.
  • 2.8 독립 선언에 함께 참가했던 이광수가 쓴 〈누이야〉(1933년)라는 시는 김마리아의 귀국을 기념하여 그녀를 소재로 쓴 것이다. 안창호가 "김마리아 같은 여성이 10명만 있었다면 한국은 독립이 되었을 것"이라고 말했다는 이야기나 심문하던 일본 검사가 탄복할 정도로 의지가 강했다는 일화 등이 남아 있다.
  • 1998년 7월 이 달의 독립운동가로 선정되었으며 사후 업적을 기려 서울특별시 보라매공원에는 그녀의 동상이 건립되어 있다. 2004년 독립기념관에 "독립이 성취될 때까지는 우리 자신의 다리로 서야 하고 우리 자신의 투지로 싸워야 한다"라는 문구를 적은 어록비가 세워졌다.
  • 악성 이물질로 인한 만성 상악골 축농증은 당시 의료 기술로는 치료할 수가 없었다. 매서클리어의 부비동 수술법이 확인된 것은 1950년대 말이며, 1960년대에도 까다롭고 어려운 수술로, 매서클리어만 수술할 수 있는 방법이었다. 악성 이물질로 변형된 점막을 제거하고 부비동의 염증을 치료해야 하기 때문에, 특히 김마리아는 오래된 지병이기에 그 난이도가 급상승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기록에 따르면 부비동에서 끊임없이 고름과 피가 쏟아져서 숨을 제대로 쉬지 못하고, 고름이 기관지로 들어가 쉴새 없이 기침을 하며, 위장 등에 영향을 주어 밥도 먹을 수 없는 매우 참혹한 투병이 이어졌다고 증언된다.


[1] 호적 및 광산김씨평장대보 권36 364쪽에는 1892년생으로 등재되어 있다.[2] 문숙공후-판도판서공파 35세 현(鉉) 항렬이나 항렬자는 쓰지 않았다. 다만 오빠 김일현(金一鉉, 1890 ~ ?)은 항렬자를 사용했다.()[3] 황해도 장연군 소래마을에 있던 학교. 현존 여부는 불명이며 시흥시의 소래초등학교와는 다른 학교이다.[4] 서병호의 부인은 김필순의 첫째누이인 김구례이다.[5] 족보명은 김언순(金彦淳).[6] 김규창(金奎昌)의 딸이다.[7]정신여자중학교, 정신여자고등학교의 전신[8]광주수피아여자중학교, 광주수피아여자고등학교의 전신[9] 女子学院. 1870년에 설립된 미국 북장로교 계열의 중고등학교로 女子学院中学校・高等学校이라는 이름으로 현존한다. 똑같이 '동경여자학원'으로 읽히는 도쿄죠시가쿠인(東京女子学院)과 도쿄죠시가쿠엔(東京女子学園)과는 별개의 학교다.[10] 인덕공업고등학교인덕대학교를 설립한 교육자. 일제 말기에는 변절하여 친일 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