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color=#fff>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aaa | 가네코 후미코 | 강원신 | 강혜원 | 공백순 | 권기옥 |
권애라 | 김경화 | 김덕세 | 김도연 | 김마리아¹ | |
김마리아² | 김란사 | 김순애 | 김알렉산드라 | 김자혜 | |
김점순 | 김정숙 | 김조이 | 김향화 | 김효숙 | |
남자현 | 동풍신 | 민영주 | 박계남 | 박신애 | |
박원희 | 박자혜 | 박차정 | 박현숙 | 방원희 | |
부덕량 | 부춘화 | 신마실라 | 신순호 | 신의경 | |
신정숙 | 심영신 | 안경신 | 안영희 | 양방매 | |
어윤희 | 연미당 | 오건해 | 오광심 | 오희영 | |
오희옥 | 유관순 | 유순희 | 윤용자 | 윤희순 | |
이병희 | 이신애 | 이의순 | 이혜련 | 이효정 | |
이희경 | 장매성 | 장선희 | 전수산 | 전월순 | |
정정화 | 조마리아 | 조순옥 | 조신성 | 조화벽 | |
주세죽 | 지복영 | 차경신 | 차미리사 | 차보석 | |
최선화 | 최용신 | 최정숙 | 홍애시덕 | 황마리아 | |
황애시덕 |
<colcolor=#fff><colbgcolor=#0047a0> | |
출생 | 1925년 1월 4일 |
평안남도 진남포 용정리 (現 평안남도 남포시 용정리) | |
사망 | 1999년 8월 27일 (향년 74세) |
서울특별시 | |
묘소 |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 |
가족 | 아버지 안학봉[1], 어머니 홍학실[2] |
학력 | 숙명여자대학교 (졸업) |
서훈 | 대통령표창 수훈 건국포장 수훈 국민훈장 모란장 수훈 건국훈장 애국장 수훈 |
[clearfix]
1. 개요
한국광복군 출신의 독립운동가이자 숙명여자대학교 교수.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수여받았다.2. 생애
1925년 1월 4일 평안남도 진남포에서 아버지 안학봉과 어머니 홍학실의 딸로 태어났다. 일찍이 중국으로 건너가 1940년 한국청년전지공작대에 가입했다. 지복영과 함께 광복군 창설식에서 국기를 계양했고, 제5지대에 편입되었다. 그 후 제2지대에 배속되어 간호장교로 활동하였다.해방 후 귀국하여 숙명여대에 진학했고, 졸업 후 동교 국문과 교수로 재직했다. 1963년 대통령표창을, 1977년 건국포장 수여받았으며, 1990년 정년퇴임 후 국민훈장 모란장, 건국훈장 애국장을 받았고, 1999년 8월 27일 별세하였다. 같은 해 그녀의 유해는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묘역에 안장되었다.
2015년 숙명여대 동창인 모수미 서울대 명예교수, 이재연 숙명여대 명예교수, 형난옥 도서출판 나녹 대표 등이 광복군안영희선양사업위원회를 만들었고, 2019년 '광복군 갔다고 말 전해주소 여성광복군 안영희의 삶'이란 책을 출간하였다.
3. 여담
- 1989년에 당시 광복회장인 이강훈, 광복군 출신인 박기성과 함께 가요무대에 출연했다. 중국에 건너가 한국청년전지공작대의 초모공작으로 입대했고, 부모님과는 광복 후에 안부를 전했지만 미처 월남을 하지못해 이후 이산가족으로 홀로 지냈다고 한다. 다만 광복군 출신인 안춘생이 같은 종씨로 친척지간과 같이 지냈다고 한다.
4. 참고자료
독립유공자 공훈록숙명여자대학교.2019년 4월 24일 자.
독립운동사 제6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