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color=#fff>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aaa | 가네코 후미코 | 강원신 | 강혜원 | 공백순 | 권기옥 |
권애라 | 김경화 | 김덕세 | 김도연 | 김마리아¹ | |
김마리아² | 김란사 | 김순애 | 김알렉산드라 | 김자혜 | |
김점순 | 김정숙 | 김조이 | 김향화 | 김효숙 | |
남자현 | 동풍신 | 민영주 | 박계남 | 박신애 | |
박원희 | 박자혜 | 박차정 | 박현숙 | 방원희 | |
부덕량 | 부춘화 | 신마실라 | 신순호 | 신의경 | |
신정숙 | 심영신 | 안경신 | 안영희 | 양방매 | |
어윤희 | 연미당 | 오건해 | 오광심 | 오희영 | |
오희옥 | 유관순 | 유순희 | 윤용자 | 윤희순 | |
이병희 | 이신애 | 이의순 | 이혜련 | 이효정 | |
이희경 | 장매성 | 장선희 | 전수산 | 전월순 | |
정정화 | 조마리아 | 조순옥 | 조신성 | 조화벽 | |
주세죽 | 지복영 | 차경신 | 차미리사 | 차보석 | |
최선화 | 최용신 | 최정숙 | 홍애시덕 | 황마리아 | |
황애시덕 |
<colbgcolor=#0047a0><colcolor=#fff> 본명 | 김순이(金順伊) |
출생 | 1897년 7월 16일 |
한성부 | |
사망 | 1950년 (향년 53세) |
서울특별시 | |
서훈 | 대통령표창 추서 |
[clearfix]
1. 개요
한국의 기생 출신 독립운동가. 2009년 대통령표창을 추서받았다.2. 생애
1918년에 편찬된 '조선미인보감'에 따르면, 본명은 김순이(金順伊)다. 1897년 한성부(현 서울특별시)에서 태어났으며, 어린 나이에 결혼했으나 18세에 이혼하고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기생이 되어 수원 권번(기생조합)에 소속되었다고 한다.'조선미인보감'에 따르면 그녀는 갸름한 얼굴에 주근깨가 운치를 더하고, 맵시 동동한 중등 키에, 성품은 순하고 귀염성이 있으며, 검무, 승무, 가사, 시조, 경성잡가, 서관소리, 양금치기 등 각종 기예에 능했다. 또한 탁음이 섞인 듯한 애원성(哀怨聲)의 목청은 사람의 마음을 구슬프게 한다고.
1919년, 당시 22세의 김향화는 수원지역 요릿집에서 가장 즐겨찾는 일등 예기(藝妓)가 되었다. 그녀는 당시 수원군 수원면 남수리(현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남수동)의 수원기생조합 취체역을 맡고 있었으며, 수원 유지 및 지식인들과 두루 친분을 나누고 있었다. 그러던 1919년 3월 29일, 김향화 등 기생 33명은 건강검진을 받기 위해 당시 자혜의원으로 사용되던 화성행궁의 봉수당으로 가고 있었다. 이때 그녀는 동료들을 설득해 독립만세 운동을 벌였다. 이에 대해 일본 경찰은 조선총독부에 다음과 같이 보고했다.
29일에 이르러 기생 약 30명이 자혜의원 앞에서 독립만세를 고창하고 밤에는 상인, 노동자 및 무뢰한 등이 시내 각소에서 독립만세를 고창하고, 내지인(일본인) 상점에 투석하고 창문을 파괴하는 등 폭행이 심해져 수원 경찰서원과 보병 및 소방 조원이 협력하여 경계 중이다.
1919년 3월 '조선소요사건' 경기 수원지역 보고서
1919년 3월 '조선소요사건' 경기 수원지역 보고서
일본 경찰은 김향화를 만세운동 주동자로 체포했고, 그녀는 2개월 간 고문을 받다 경성지방법원 수원지청으로 넘겨져 공판에 회부된 뒤 그해 5월 27일 소위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6개월을 선고받고 서대문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다. 일설에 따르면, 그녀는 서대문형무소에서 유관순과 같은 감방에 수감되었다고 한다.
이후 1919년 10월 27일에 가출옥되어 수원으로 돌아왔으며, 서울로 옮겨 살다가 1950년에 사망했다고 한다. 그러나 그녀가 매장된 장소는 현재까지 확인되지 않았으며, 후손 역시 현재까지 확인되지 않았다.
수원시는 이동근 학예사가 연구해 발굴한 수원기생의 만세운동 자료를 바탕으로 2008년 국가보훈처에 김향화에 대한 독립유공자 포상신청을 했고, 정부는 2009년 김향화에게 대통령표창을 추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