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3 23:47:26

프랭크 윌리엄 스코필드

석호필에서 넘어옴
파일:무궁화장 약장.png
국민훈장 무궁화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960
프랭크 윌리엄 스코필드
교육가·독립운동가
1969
이인
법조인·독립운동가
1969
닐 암스트롱 · 마이클 콜린스 · 버즈 올드린
우주비행사
1969
제헌국회의원
154명
1969
조동식
교육인
1970
김수환
추기경
1970
백낙준
교육인
1970
이상백
-
1971
유일한
기업인
1976
박일경
교육인
1980
권승렬
독립운동가, 법조인
1982
권영대
교육인
1982
김상만
언론인
1985
이숙종
교육인
1987
이병철
기업인
1988
권이혁
교육인, 의사
1989
이방자
교육인, 영친왕비
1991
강영훈
국무총리
1991
김병관
언론인
1994
김호길
교육인
1995
곽윤직
법학자
1996
장기려
의사
1996
윤덕선
의사, 교육인
1996
정범모
교육인
1998
고흥문
국회의원
1998
주영하
교육인
2000
이건희
기업인
2002
김재준
종교인
2002
문창모
의학자
2002
백낙환
의학자, 교육인
2006
김희수
의학자, 교육인
2006
이종욱
의사, WHO 사무총장
2006
정재헌
법조인
2007
권영우
교육인
2007
장훈
체육인
2008
박관용
국회의장
2008
진창현
바이올린 제작자
2009
김정수
정치인
2010
이영덕
국무총리
2010
조용기
종교인
2010
황장엽
북한정치인, 탈북자
2011
이태석
종교인, 의사
2011
김준엽
독립운동가, 교육인
2012
헬렌 펄 매킨지(매혜란)
선교사
2012
김평우
법조인
2012
정몽구
기업인
2013
남덕우
국무총리
2015
권광중
법조인
2016
이근
의사
2017
박한철
법조인, 헌법재판소장
2017
반기문
외교관, UN사무총장
2017
양승태
법조인, 대법원장
2018
김종필
국무총리
2018
노회찬
정치인
2018
박재갑
의사
2018
이석태
법조인
2018
조규광
법조인, 헌법재판소장
2018
한승헌
법조인, 감사원장
2018
정세균
국회의장
2019
윤한덕
의사
2019
이국종
의사
2020
이이화
사학자
2020
전태일
노동운동가
2020
문희상
국회의장
2021
최종태
기업인
2022
박병석
국회의장
2023
송창근
기업인
2023
김박
기업인
2023
자승
종교인
2024
이임성
법조인
2024
윤대원
의사, 교육인
}}}}}}}}}

대한민국의 외국인 독립유공자
본적이 외국으로 되어있는 인물 (공훈전자사료관 기준)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000,#fff> 성명 본적 훈격
<colcolor=#000> 가네코 후미코 일본 애국장
강표도르 러시아 애국장
곽원국 중국 애족장
곽태기 중국 독립장
김낙현 러시아 건국포장
김문순 중국 애국장
김미하일 러시아 애족장
김봉환 중국 애족장
김알렉산드라 러시아 애국장
김완욱 중국 애족장
김표돌 러시아 애족장
당계요 중국 대통령장
대립 중국 독립장
더글라스 스토리 영국 애족장
데이지 호킹 호주 건국포장
두쥔훼이 중국 애족장
로버트 그리어슨 캐나다 독립장
롤랜드 베이컨 캐나다 애족장
루이 마랭 프랑스 애국장
마가렛 데이비스 호주 애족장
마수례 중국 독립장
막덕혜 중국 독립장
모리스 윌리엄 러시아 독립장
미네르바 구타펠 미국 건국포장
박노순 중국 건국포장
박병길 러시아 애족장
박영 러시아 독립장
사도덕 중국 독립장
설악 중국 독립장
셀던 스펜서 미국 애족장
소경화 중국 애족장
손과 중국 대통령장
손문 중국 대한민국장
송교인 중국 대통령장
송미령 중국 대한민국장
스탠리 마틴 캐나다 독립장
스티븐 백 미국 애족장
신창희 중국 애족장
아치볼드 바커 캐나다 독립장
어거스틴 스위니 영국 애족장
어니스트 배델 영국 대통령장
여천민 중국 대통령장
올리버 애비슨 캐나다 독립장
왕죽일 중국 독립장
우빈 중국 대통령장
윌리엄 린튼 미국 애족장
유영요 중국 독립장
이다물 러시아 애족장
이백초 러시아 건국포장
이병호 멕시코 건국포장
이사벨라 멘지스 호주 건국포장
이숙진 중국 애족장
이와실리 러시아 애족장
일라이 모우리 미국 독립장
임삼 중국 대통령장
장개석 중국 대한민국장
장계 중국 독립장
장군 중국 독립장
저보성 중국 독립장
제이 윌리엄스 미국 독립장
제임스 크롬웰 미국 건국포장
조지 쇼 영국 독립장
조지 새넌 맥큔 미국 독립장
조지 애쉬모어 피치 미국 독립장
조지 윌리엄 노리스 미국 애족장
존 스태거즈 미국 독립장
주가화 중국 대통령장
주경란 중국 독립장
지영걸 중국 애족장
진과부 중국 대한민국장
진기미 중국 대한민국장
진성 중국 대통령장
진입부 중국 독립장
찰스 토마스 미국 건국포장
에드워드 러셀 미국 독립장
최운산 중국 애족장
토마스 라이언 아일랜드 애족장
패트릭 도슨 아일랜드 애국장
프레드릭 더글라스 미국 독립장
프랭크 윌리엄스 미국 건국포장
프랭크 스코필드 캐나다 독립장
프레데릭 해리스 영국 독립장
프레드 에이 돌프 미국 독립장
프레더릭 매켄지 영국 독립장
플로이드 톰킨스 미국 애국장
하상기 중국 건국포장
한사빈 러시아 애국장
한창걸 러시아 애족장
해리 화이팅 미국 애족장
허버트 아돌프스 밀러 미국 독립장
호레이스 뉴튼 알렌 미국 독립장
호머 헐버트 미국 독립장
호종남 중국 독립장
호한민 중국 대통령장
황각 중국 독립장
황흥 중국 대통령장
후세 다쓰지 일본 애족장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프랭크 윌리엄 스코필드
Frank William Schofield | 石虎弼
파일:external/www.koreamonitor.net/18.News_pic5.jpg건국훈장 수훈 기념사진
<colbgcolor=#0047a0><colcolor=#ffffff> 한국명 석호필
출생 1889년 3월 15일
영국 워릭셔 주 럭비시
사망 1970년 4월 12일 (향년 81세)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6가 국립중앙의료원
묘소 국립서울현충원 독립유공자묘역-96
학력 토론토 대학교 수의과대학원 (수의학 / 박사)
종교 장로교 (캐나다 장로교회)[1]
상훈 건국훈장 독립장 수훈
경력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교수
장로회신학대학교 전임교수
감리교신학대학교 전임교수

1. 개요2. 생애
2.1. 출생과 성장2.2. 한국 생활2.3. 제암리 사건을 세계에 알리다2.4. 추방 그리고 다시 돌아온 영웅2.5. 사망
3. 여담

[clearfix]

1. 개요

나는 강하고(石) 굳센 호랑이(虎)의 마음으로 한국인에게 필요한(必) 사람이 되겠다.
역사채널e - The history channel e_34번째 민족대표, 석호필
영국 태생의 캐나다의 장로교 선교사이자 수의사, 세균학자, 위생학자. 외국인 최초로 국립현충원에 안장된 대한민국독립유공자이다.

광복 이전 일제강점기 한국과 광복 후의 대한민국에서 활동하였으며, 제암리 학살사건의 참상을 보도한 그의 활동을 기념하는 뜻에서 “3·1 운동의 제34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가 만든 한국식 이름 석호필(石虎弼)은 오늘날 Schofield, Scofield 또는 이와 비슷한 이름을 쓰는 외국인의 별칭이 되었다.[2] 한국의 개신교인들이 존경하는 대표적 개신교인 중 한 사람이다.

2. 생애

2.1. 출생과 성장

1889년 3월 15일 영국 워릭셔(Warwickshire) 주 럭비(Rugby)시에서[3] 태어났다.[4]

1897년 아홉 살 때 여름, 아버지가 근무한 클리프 대학교(Cliffe College)의 조선인 유학생 여병현(呂炳鉉)을 처음 만났으며 이날 그는 처음으로 코리아(Korea)라는 동방의 나라에 관하여 알게 되었다.

1905년 고등학교 과정을 마쳤으나 성적은 좋지 못하였고 집안이 여의치 않아 진학을 하지 못했다. 그는 체셔 주(Cheshire)의 어느 농장에서 세 끼를 먹여주는 조건으로 노동에 종사하였고, 노동자의 비참한 생활과 그들의 앞날에 관하여 깊은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다. 저임금에 시달리는 노동자들의 곤궁한 생활을 목격하고 더욱 그들의 편에 서게 되었다.

1907년 그는 결국 자유와 일할 자리, 그리고 공부할 곳을 찾아 캐나다로 이민하여 한 농장에서 반년을 일하자 대학에 들어갈 만큼의 돈을 벌게 되었다. 가축을 다루면서 수의학(獸醫學)에 큰 관심을 갖게 되어 토론토 대학교 온타리오 수의과대학에 입학한다.

1910년 대학 2학년 때 소아마비를 앓아 지팡이를 짚게 되었음에도 졸업할 때에는 전과목 A의 수석 우등생이 되었다.

1911년 논문 <토론토 시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우유의 세균학적 검토>로 토론토 대학교에서 수의대 졸업장을 받았다.[5]

1913년 9월에 앨리스 스코필드(Alice Schofield)와 결혼한다.

2.2. 한국 생활

1916년 봄에 한국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장 애비슨 박사(O.R. Avison; 한국 이름 ‘어비신(魚丕信)’)로부터 일제강점기의 한국으로 와 달라는 권유 서신을 받았다. 스코필드 박사는 가을에 아내와 함께 한국으로 왔으며, 어렸을 때 만난 여병현(呂炳鉉)을 다시 만난다. 세브란스 의학전문학교에서 세균학과 위생학(衛生學)을 담당했으며, 근무 계약은 4년이었다. 그는 영어를 하는 목원홍(睦源洪)으로부터 한국말을 배워 한국말로 강의하였다.

1917년 그는 한국에 온 지 1년 만에 ‘선교사 자격 획득 한국어 시험’에 합격한다. 또한 자신의 한국식 이름도 만들었는데, 바로 ‘석호필(石虎弼)’이다. 그의 성인 ‘石’은 그의 굳은 종교적 의지를 의미하고, ‘虎’는 호랑이, ‘弼’은 돕는다는 뜻으로, 한국인을 돕겠다는 마음을 나타낸 이름이다. 스코필드는 한국의 여러 지명인사와 교제를 넓혔다. 그중에서 특히 기독교적인 사회운동을 YMCA 총무직으로 실천하던 이상재(李商在) 선생, 김정혜(金貞蕙) 여사를 존경하였고, 뒷날 김정혜 여사를 수양 어머니로 섬겼다.

2.3. 제암리 사건을 세계에 알리다

1919년 2월 5일 3·1운동 거사 준비로 이갑성(李甲成)과 몰래 만났으며, 3.1운동을 위한 해외 정세파악일을 맡게 된다. 또한 3월 1일 탑골공원에서 만세시위를 하는 민중들과 일본의 시위자에 대한 탄압을 이갑성씨의 의뢰에 따라 사진으로 찍고, 글로 적어 해외에 알리기도 하였으며, 4월에는 수원군 제암리에 가서[6] 일본군이 제암리 주민들을 제암리교회에 몰아넣고 학살한 제암리 학살사건으로 잿더미가 된 현장을 스코필드 자신의 표현대로 '(일본의 만행에 대한 분노로)떨리는 손'으로 촬영,〈제암리/수촌리에서의 잔학 행위에 관한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또한 5월 일본인이 운영하는 영자신문 'Seoul Press' 지에 서대문 형무소에 대한 글을 올리고 당시 노순경, 유관순(柳寬順), 어윤희(魚允姬), 엄영애 등이 갇혀있던 서대문 형무소(여자 감방 8호실)를 직접 방문한다. 수감자에 대한 고문 여부를 확인한 뒤 하세가와 총독과 미즈노 정무 총감 등을 방문하여 일본의 비인도적 만행의 중지를 호소하였다. 그가 이렇게 활발한 독립운동 기여를 할 수 있었던 것은 당시 일본이 영일동맹으로 영국계 캐나다 사람인 스코필드를 간섭하기 어려워했기 때문도 있었다.

2.4. 추방 그리고 다시 돌아온 영웅

1920년 3·1운동 견문록 원고의 제목을 《끌 수 없는 불꽃》(Unquenchable Fire)라고 붙였다. 그해 4월, 강도를 가장한 스코필드 암살미수 사건이 그의 숙소에서 일어나, 그 달 학교와의 근무 계약을 마치고 캐나다로 돌아갔지만, 여전히 캐나다에서도 한국인을 열심히 도왔고, 1926년, 한국에 일시 방문하였다.

1958년 대한민국 정부가 광복 13주 기념일 및 정부수립 10주년 경축 식전에 국빈으로 스코필드를 초빙하였다. 해방된 한국에서 그는 서울대학교 수의과 대학에서 일하기를 자원하여 수의병리학을 맡았다. 다만 이승만 정부가 독재로 치닫자 이에 실망한 스코필드 박사는 조선일보에 "민심은 공포에 잠겨있다. 의사당 앞에 무장경관이라니"라는 글을 기고해 이승만 정부를 비판하기도 했다.

1959년 한국일보에 2·4정치파동에 관한 소견을 기고하였다. 집안일을 정리하려고 캐나다에 일시 귀국하였다가 9월에 돌아왔다. 남북미와 유럽에 있던 그의 친구들이“스코필드 기금(The Schofield Fund)”을 설치하여 그를 도왔다. 이후로도 대한민국의 민주주의에 대한 글을 쓰거나 교육 장려 활동을 하며 지냈다.

1968년 독립운동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건국훈장 독립장을 수훈받았다.

2.5. 사망

1970년 4월 16일, 대한민국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사망하였다. "내가 사망하면 한국 땅에 묻어주고 돌봐오던 소년소녀 가장들을 보살펴 주시오."라는 유언을 남겼다. 이후 한국의 독립운동에 기여한 업적을 존중하는 의미에서 국립서울현충원 애국지사 묘역에 안장되었다.

이 이야기는 KBS 스펀지 189회와, 2017년 11월 5일 자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서도 등장했다.

3. 여담

  • 독립운동으로 가려져 있는 부분인데, 사실 수의병리학 분야에서도 역사적으로 의미있는 업적을 남긴 연구자이다. 1920년경에 캐나다로 돌아가있을 때 이나 사슴 등의 가축이 픽픽 쓰러지는 괴질의 원인이 지혈작용을 억제하는 어떤 독초 때문이었음을 밝혀낸다. 이 독초에 들어있는 물질은 나중에 규명되어 오늘날까지 의료 현장에서 매우 중요하게 사용되는 약물인 vitamin K 억제제, 즉 와파린의 합성에 기여하게 되었다. 출처.
  • 현재의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세브란스 병원(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부속)의 병리생물학 연구의 초석을 닦으며 대한민국 의학사에도 족적을 남긴 인물이다.
  • 수의대 교수 시절 가난한 학생들과 불쌍한 시민들에게 봉사를 하고 살았는데, 그 일환으로 했던 영어교실에 참가했던 이들 중에 정운찬 전 총리와 김근태 의원 등이 있었다. 이들은 스코필드 박사가 만든 스코필드 장학회에서 주는 장학금으로 학비를 해결하기도 했다. 링크.
  • 그래서인지 현충원 묘역에 박사의 마지막 유언 "내가 죽거든 한국땅에 묻어주시오.[7] 내가 도와주던 소년, 소녀들과 불쌍한 사람들을 맡아주세요."라는 문구가 비석에 새겨져 있다. 그의 헌신적인 봉사정신이 느껴지는 대목이다.
  • 스코필드란 이름이 재조명받은건 2000년대 국내에서도 인기를 끈 미국 드라마 프리즌 브레이크의 주인공 이름이 스코필드였기 때문도 있다. 그의 이름을 국내 팬들이 위트있게 부르기 위해 한국식 이름을 찾던 중 스코필드 박사의 코리안네임인 '석호필'이란 이름을 그대로 가져다쓴 것. 덕분에 스코필드 박사도 재조명 받게 되었다.
  • 캐나다 토론토에 그의 동상이 있으며 온타리오 수의 대학[8] 건물 안에 기념관이 있다. 양국의 우호증진을 위해 이래저래 노력한 결과물인듯.
  • 2023년 5월 방한한 캐나다 쥐스탱 트뤼도 총리가 스코필드 박사의 묘역에 들러 참배했다.# 그는 자랑스럽다는 소감을 밝혔다.


[1] 1925년 캐나다 장로교인의 대부분은 회중교회, 감리교회와 합병하여 캐나다 연합교회를 형성했다. 하지만 장로교 원칙을 고수하는 소수는 캐나다 장로교회로 현재까지 남아있다. 스코필드 선교사가 연합교회로 넘어갔는지 장로교회에 남아 있었는지는 불명. 굳이 추정하자면 연합교회로 소속이 바뀌었을 가능성이 높다. 캐나다에서 감리교회와 장로교회를 번갈아 다녔던 적이 있는데, 감리교회를 더 선호하는 등# 교파에는 딱히 연연하지 않는 듯한 모습을 보였기 때문.(연합교회 설립 이후에는 그 두 교회 모두 연합교회로 넘어갔다.) 다만 대한예수교장로회김재준 목사를 파면하고 교단에서 한국기독교장로회가 분립하며 연합교회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지원을 중단하고 기장 교단의 협력 교회가 되었는데, 스코필드 박사는 대한예수교장로회 계열의 예장통합 신학대학교인 장신대의 전임교수가 된 것을 보면 장로교회 소속으로 남아 있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다.(캐나다장로교회는 예장통합의 해외 동역교단으로 남아있다.)[2] 프리즌 브레이크에서 마이클 스코필드 역할을 맡았던 웬트워스 밀러가 유명하다. 팬들이 스코필드를 애칭으로 부른건데 실제 석호필이 있는 줄은 나중에 알았다고 한다.[3] 스포츠 이름 럭비의 유래다.[4] 지금 이곳에는 대한민국 정부가 스코필드 박사를 위해 세운 기념비가 있다고 한다.[5] DVM : Doctor of Veterinary Medicine. 이 학위는 캐나다에서는 박사, 한국에서는 석사로 취급된다.[6] 일본군의 추적을 피하기 위해 수원역에서 제암리까지 자전거를 타고 이동했다고 한다. 제암리를 지나가는 9802번을 타고 가면 이 거리가 상당히 만만찮은 거리임에도 불구하고(수원역에서 약 1시간은 걸린다) 자전거를 타고 간 스코필드가 실로 대단하다.[7] 호머 헐버트 역시 석호필 선생처럼 한국땅에 묻히길 원한다는 유언을 남겼다. 그리고 이 두 사람은 유언대로 사후에 한국 땅에 묻혔다.[8] 현재는 궬프 대학교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