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3%" | <tablebordercolor=#fff><tablewidth=100%><tablebgcolor=#fff>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7%"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31f20><tablebgcolor=#231f20>대한민국학술원 회원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현재 회원 | |||||||||||||||
인문사회과학부 | 자연과학부 | |||||||||||||||
[분과별 학문 분야] 1분과: 철학, 윤리학, 논리학, 미학, 종교학, 교육학, 심리학 2분과: 어문학 3분과: 사학, 고고학, 민속학, 지리학, 문화인류학 4분과: 법학 5분과: 정치학, 행정학, 사회학 6분과: 경제학, 경영학 | [분과별 학문 분야] 1분과: 수학, 물리학, 화학, 천문학, 대기과학 2분과: 생물학, 지질과학, 스포츠과학, 영양학, 가정학 3분과: 건축공학, 금속공학, 기계공학, 섬유공학, 자원공학, 전기공학, 전자공학, 정보공학, 조선공학, 토목공학, 항공공학 4분과: 의학, 치의학, 약학, 수의학 5분과: 농학, 임학, 축산학, 수산학 | |||||||||||||||
1분과 | 2분과 | 3분과 | 4분과 | 5분과 | 6분과 | 1분과 | 2분과 | 3분과 | 4분과 | 5분과 | ||||||
정진홍 | 조동일 | 차하순 | 고상룡 | 임희섭 | 이현재 | 안세희 | 이상만 | 박중현 | 이상섭 | 홍성각 | ||||||
차재호 | 홍재성 | 이기석 | 김남진 | 강신택 | 곽수일 | 노재식 | 김상용 | 이병일 | ||||||||
이돈희 | 김학주 | 이기동 | 정동윤 | 안병준 | 정기준 | 박세희 | 이정우 | 노오현 | 김낙두 | 김현욱 | ||||||
소광희 | 이정민 | 김영한 | 박병호 | 김경동 | 김기영 | 권숙일 | 맹원재 | 윤덕용 | 김병수 | 황병국 | ||||||
윤사순 | 김수용 | 이성규 | 김상용 | 김용구 | 유장희 | 기우항 | 임번장 | 현병구 | 이순형 | 류순호 | ||||||
이한구 | 조주관 | 이태진 | 김효전 | 진덕규 | 이학용 | 김용해 | 장호완 | 나정웅 | 김영중 | 장동석 | ||||||
박종현 | 장경렬 | 한상복 | 임종률 | 백완기 | 이지순 | 이은 | 김상구 | 한송엽 | 고재승 | 이홍석 | ||||||
정찬섭 | 남기심 | 최병현 | 권오승 | 이정복 | 조장옥 | 조성호 | 정진하 | 최향순 | 신희섭 | 김윤수 | ||||||
진동섭 | 김인환 | 임돈희 | 최병조 | 김홍우 | 한인구 | 이호인 | 조완규 | 이장무회장 | 이영순 | 박승우 | ||||||
박용운 | 신동운 | 신용하 | 전병헌 | 김도한 | 이기화 | 이병기 | 이승규 | 최양도 | ||||||||
김호동 | 김문현 | 임현진 | 박성현 | 안진흥 | 황규영 | 이종호 | 홍성윤 | |||||||||
김영식 | 신명순 | 김진의 | 임정빈 | 유정열 | 박성회 | 김수일 | ||||||||||
고동환 | 최진호 | 박종욱 | 손장열 | 이명식 | 고희종 | |||||||||||
이형목 | 우경식 | 고규영 | 김용균 | |||||||||||||
송진원 | 한재용 | |||||||||||||||
작고 회원 | ||||||||||||||||
인문사회 분과 | 자연 분과 | |||||||||||||||
1분과 | 2분과 | 3분과 | 4분과 | 5분과 | 6분과 | 1분과 | 2분과 | 3분과 | 4분과 | 5분과 | ||||||
고형곤 | 권중휘 | 이병도 | 최태영 | 신기석 | 고승제 | 안동혁 | 손치무 | 이균상 | 한구동 | 정문기 | ||||||
안호상 | 이숭녕 | 김상기 | 유진오 | 이상백 | 최호진 | 김동일 | 강영선 | 원태상 | 윤일선 | 조백현 | ||||||
박종홍 | 이희승 | 신석호 | 고병국 | 신도성 | 신태환 | 이태규 | 정태현 | 최경열 | 이제구 | 현신규 | ||||||
김두헌 | 최현배 | 이선근 | 이근칠 | 민병태 | 유진순 | 전풍진 | 박동길 | 이종일 | 이종륜 | 우장춘 | ||||||
김기석 | 양주동 | 조의설 | 윤세창 | 김성희 | 조기준 | 최규남 | 김호직 | 이채호 | 박영진 | 김호식 | ||||||
김활란 | 이양하 | 김재원 | 이종극 | 고황경 | 김순식 | 권영대 | 이민재 | 최방진 | 이재춘 | 송재철 | ||||||
김계숙 | 이병기 | 류홍렬 | 김병노 | 김상협 | 김효록 | 최윤식 | 조복성 | 윤일중 | 이진기 | 이근태 | ||||||
이종우 | 김윤경 | 이홍직 | 이항녕 | 최문환 | 육지수 | 박철재 | 이병위 | 민한식 | 박호풍 | 박승만 | ||||||
이상은 | 손우성 | 홍이섭 | 박원선 | 정인흥 | 김준보 | 박하욱 | 김옥준 | 김기덕 | 김두종 | 심종섭 | ||||||
이인기 | 정인승 | 고병익 | 정광현 | 이만갑 | 이상구 | 조광화 | 최례석 | 최호영 | 이세규 | 지영인 | ||||||
김동화 | 조윤제 | 한우근 | 유기천 | 윤천주 | 권오익 | 이원철 | 김준민 | 김재근 | 김명선 | 이춘녕 | ||||||
김준섭 | 김형규 | 전해종 | 이한기 | 박동서 | 정수영 | 장기원 | 김창환 | 김종석 | 기용숙 | 박병희 | ||||||
오천석 | 차상원 | 이기백 | 이희봉 | 이용희 | 임원택 | 성좌경 | 김삼순 | 최형섭 | 한심석 | 윤상원 | ||||||
류승국 | 차주환 | 이광린 | 문홍주 | 김대환 | 박기혁 | 박정기 | 홍순우 | 김문상 | 우린근 | 이창구 | ||||||
이희철 | 여석기 | 김원용 | 서돈각 | 김운태 | 김옥근 | 박봉열 | 김봉균 | 신영기 | 나세진 | 김성원 | ||||||
서명원 | 조성식 | 김철준 | 손주찬 | 홍승직 | 오상락 | 최상업 | 윤석규 | 이량 | 이우주 | 이은웅 | ||||||
임한영 | 김동욱 | 이두현 | 남흥우 | 차기벽 | 정병휴 | 조순탁 | 주진순 | 장석윤 | 이문호 | 정후섭 | ||||||
최재희 | 정병욱 | 민석홍 | 황산덕 | 구영록 | 김동기 | 김치영 | 이대성 | 윤동석 | 김용관 | 강제원 | ||||||
김규영 | 강두식 | 이찬 | 김증한 | 박광순 | 이상수 | 정영호 | 한만춘 | 서병설 | 백운하 | |||||||
유형진 | 이기문 | 윤무병 | 김치선 | 조순 | 김정수 | 김훈수 | 강명순 | 이영소 | 김문협 | |||||||
백낙준 | 이능우 | 이우성 | 박일경 | 변형윤 | 최규원 | 이영록 | 윤장섭 | 권이혁 | 고재군 | |||||||
조요한 | 동완 | 황수영 | 김기두 | 윤기중 | 심정섭 | 김오중 | 오현위 | 이장락 | 최병희 | |||||||
김성태 | 장덕순 | 양병우 | 정영석 | 박을룡 | 김준호 | 최계근 | 김기홍 | 박영호 | ||||||||
김태길 | 이가원 | 민영규 | 김현태 | 윤세원 | 하두봉 | 이승원 | 박수선 | 전세규 | ||||||||
윤명로 | 김현창 | 김용섭 | 김정균 | 김태린 | 박희인 | 김재극 | 장신요 | 조재영 | ||||||||
김종철 | 김용직 | 이성무 | 김홍규 | 박태원 | 정창희 | 우형주 | 이기영 | 오봉국 | ||||||||
정양은 | 정명환 | 황적인 | 윤갑병 | 박상대 | 이택식 | 김주환 | ||||||||||
박영식 | 이경식 | 심헌섭 | 윤능민 | 김수진 | 황종흘 | 김용일 | ||||||||||
김충렬 | 김완진 | 김철수 | 이익춘 | 이만영 | 김정룡 | |||||||||||
조명한 | 장석진 | 김종원 | 송희성 | 조선휘 | 이호왕 | |||||||||||
오병남 | 이형국 | 고윤석 | 이리형 | 문국진 | ||||||||||||
정범모 | 장세헌 | 이충웅 | ||||||||||||||
조대경 | 김상주 | |||||||||||||||
길희성 | ||||||||||||||||
이성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명예회원 | ||||||||||||||
시오노 히로시 | 빈센트 푸어 | 노요리 료지 | 피터 그루스 | 위르겐 코카 | ||||||||||||
크리스티안 슈타르크 | 로거 비치 | 앨런 히거 | 난 린 | 허준이 | }}}}}}}}} |
국민훈장 무궁화장 수훈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959 제임스 밴 플리트 군인 | 1960 프랭크 윌리엄 스코필드 교육가·독립운동가 | 1969 이인 법조인·독립운동가 | 1969 닐 암스트롱 · 마이클 콜린스 · 버즈 올드린 우주비행사 | ||
1969 제헌국회의원 154명 | 1969 조동식 교육인 | 1970 김수환 추기경 | 1970 백낙준 교육인 | 1970 이상백 독립운동가, 사회학자 | ||
1970 이은상 시인, 역사학자 | 1971 유일한 기업인 | 1973 박두병 기업인 | 1974 박태준 기업인, 정치인 | 1976 박일경 교육인 | ||
1979 김연수 기업인 | 1979 주요한 문학가, 언론인, 정치인 | 1980 권승렬 독립운동가, 법조인 | 1980 김홍일 군인 | 1982 권영대 교육인 | ||
1982 김상만 언론인 | 1985 이숙종 교육인 | 1985 이항녕 법학자 | 1987 이병철 기업인 | 1988 권이혁 교육인, 의사 | ||
1988 정주영 기업인 | 1989 이방자 교육인, 영친왕비 | 1991 강영훈 국무총리 | 1991 김병관 언론인 | 1994 김호길 교육인 | ||
1994 고형곤 철학자, 교육인, 정치인 | 1994 문병집 교육인 | 1995 곽윤직 법학자 | 1996 장기려 의사 | 1996 윤덕선 의사, 교육인 | ||
1996 정범모 교육인 | 1997 박성용 기업인 | 1998 고흥문 국회의원 | 1998 주영하 교육인 | 2000 이건희 기업인 | ||
2001 송건호 언론인 | 2002 김재준 종교인 | 2002 문창모 의학자 | 2002 백낙환 의학자, 교육인 | 2004 고병익 역사학자 | ||
2004 이기백 역사학자 | 2004 유봉식 기업인 | 2006 김희수 의학자, 교육인 | 2006 이종욱 의사, WHO 사무총장 | 2006 정재헌 법조인 | ||
2007 권영우 교육인 | 2007 장훈 체육인 | 2008 박관용 국회의장 | 2008 진창현 바이올린 제작자 | 2009 김정수 정치인 | ||
2010 이영덕 국무총리 | 2010 조용기 종교인 | 2010 황장엽 북한정치인, 탈북자 | 2011 이태석 종교인, 의사 | 2011 김준엽 독립운동가, 교육인 | ||
2012 헬렌 펄 매킨지(매혜란) 선교사 | 2012 김평우 법조인 | 2012 정몽구 기업인 | 2013 남덕우 국무총리 | 2013 손경식 기업인 | ||
2015 권광중 법조인 | 2016 이근 의사 | 2017 박한철 법조인, 헌법재판소장 | 2017 반기문 외교관, UN사무총장 | 2017 양승태 법조인, 대법원장 | ||
2017 서용달 경영학자 | 2018 김종필 국무총리 | 2018 노회찬 정치인 | 2018 박재갑 의사 | 2018 이석태 법조인 | ||
2018 조규광 법조인, 헌법재판소장 | 2018 한승헌 법조인, 감사원장 | 2018 정세균 국회의장 | 2019 윤한덕 의사 | 2019 이국종 의사 | ||
2020 이이화 사학자 | 2020 전태일 노동운동가 | 2020 문희상 국회의장 | 2021 최종태 기업인 | 2022 박병석 국회의장 | ||
2022 리차드 위트컴 군인 | 2023 송창근 기업인 | 2023 김박 기업인 | 2023 자승 종교인 | 2024 이임성 법조인 | ||
2024 윤대원 의사, 교육인 | }}}}}}}}} |
권영대 權寧大 | |
| |
호 | 성봉(性峯) |
본관 | 안동 권씨[1]# |
출생 | 1908년 6월 28일 |
경기도 풍덕군 서면 사분리 (현 개성시 개풍구역 용산리) | |
사망 | 1985년 12월 23일[2] (향년 77세) |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동 자택 | |
직업 | 교수 |
학력 |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 (졸업) 세이조고등학교 (졸업) 홋카이도제국대학 이학부 (물리학[3] /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이학 / 박사[4]) |
[clearfix]
1. 개요
불모지였던 우리 나라 물리학계에 광복 이후에 물리학의 씨앗을 뿌려 오늘날 한국 물리학의 기반을 다져놓은 선구자적 학자이다.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학장, 한국물리학회 회장, 한국과학기술정보센터 전문위원장, 인하학원 이사장, 과학기술진흥위원,자연과학협회 회장,한국과학원 이사, IQSY 한국위원회위원장, 한국과학자협회장, UNESCO 한국위원회 과학부분위원장, IUGG 한국위원회위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2. 생애
1908년 6월 28일 경기도 풍덕군 서면 사분리(현 황해북도 개풍군 용산리)에서 보통학교 교사를 하던 아버지 권태원(權泰源, 1884. 2. 17 ~ 1979. 1. 21)[5]과 어머니 전주 이씨 이문숙(李文淑)[6] 사이의 두 아들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1926년,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넘어가 세이조고등학교(현, 세이조대학)를 수석으로 졸업하고 홋카이도제국대학(北海道帝国大学) 이학부 물리학과에 입학한다.
1933년에 홋카이도제국대학(현, 홋카이도대학) 이학부 물리학과에서 광학 전공으로 졸업하였다. 그 후, 1934년에 귀국하여 개성에 구원광학연구소(久遠光學硏究所)를 설립하여 광학연구를 계속하였다.
1938년에 송도중학교(松都中學校)[7], 1939년에 개성중학교(開城中學校)[8]에서 교사로 근무하였다. 1945년에는 37세의 나이로 개성중학교 교장에 취임하였다가, 같은 해 경성공업전문학교 교수에 부임하였다.
1946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물리학과 부교수로 부임하여 주로 광학강의와 광학연구에 힘을 쏟았다. 서울대학교에서는 1949년에 문리과대학 이학부장, 1954년에 대학원장 직무대리, 1964년 문리과대학장을 지냈다.
1957년 영국 브리스톨 대학교에서 1년간 우주선 연구를 하고, 귀국 후 우주선을 쬔 핵건판(核乾板)에 대한 연구로 1961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이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그 뒤 광학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여 레이저 분광학연구와 국내 최초로 건립된 입자가속기(사이클로트론)제작에도 많은 공헌을 하였다.
1974년 서울대학교에서 정년퇴임 후, 1976년부터 한국에너지연구소 상임고문으로 활약하며 후학들의 연구에 자문하였다.
1952년 한국물리학회 창립발기인으로 큰 공헌을 하였고, 1960년 학회장이 되어 10년간 학회발전에 헌신적인 노력[9]을 기울였다.
1954년 4월 6일, 물리학에 대한 기여로 대한민국 학술원 자연 제1분과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그 외에도 한국과학기술정보센터 전문위원장, 인하학원 이사장,과학기술진흥위원, 자연과학협회 회장,한국과학원 이사, 한국과학자협회장 및, 1963년 태양활동극소기국제관측년(IQSY) 한국위원회위원장, 1966년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부회장, 1967년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UNESCO) 한국위원회 과학부분위원장, 1969년 국제측지학 및 지구물리학 연합(IUGG) 한국위원회위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이후 1985년 12월 23일 서울특별시 종로구 동숭동 자택에서 숙환으로 사망하였다.
3. 여담
- 자신이 길러낸 제자들이 세계적인 과학자로 인정받을때 가장 삶의 보람을 느낀다고 증언했다. 대표적인 제자들로는 미국 브라운 대학교의 강경식 교수와 존스 홉킨스 대학교의 김정욱 교수를 꼽을 수 있고, 국내에서는 그의 전공인 광학을 이어받은 한국과학기술원 교수인 이상수 교수를 잊지 못한다고 회고했다. 또, 우주선 분야는 고려대학교 김종오 교수가 맡아 지금까지 계속 연구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 해방 이후 서울대물리실은 3개 대학의 실험실 기자재를 인계받아 가장 훌륭한 연구실로 만들었으나, 제대로 활용도 못하고 6.25 전쟁으로 불타 없어졌던 것이 가장 마음이 아팠다고 한다. 그래서 미국제 측정관을 하나 구해 1956년 삼복 더위 때 8명의 학생들을 데리고 한라산에 우주선을 측정하러 갔을 때 학생들을 부둥켜 안고 한없이 울었다는 증언을 했다.
- 1946년 조선스키협회가 창립된 뒤에 초대 회장 역임 (1946~1947)
4. 상훈
5. 논문 및 저서
- 주요 연구논문은 「간섭 필터의 비교 연구」 외 수 편의 광학 분야 논문, 「서울 및 제주지방에서의 지자기 및 우주선의 일변화」 외 10여 편의 우주선 분야 논문, 기타 「1MeV사이클로트론의 빔집중」 등이 있다.
- 저서로는 『자연과학』우주·물질·생명·『자연과학개론』·『광학』·『일반물리학』·『현대물리학』, 그리고 『과학하는 심상』 등 저·편저의 대학교재 수 편과 수필집 『벼룩의 노래』가 있다.
[1] 추밀공파 희(憘)계 34세 영(寧) 헌(憲) 탁(鐸) 작(爵) 항렬.[2] 음력 11월 12일.[3] 광학 전공[4] 박사 학위 논문 : 6.2 B_(2)V의 陽子線으로 때린 Cu 標的에서 나온 二次 粒子의 組成(6.2 B_(2)V의 양자선으로 때린 Cu 표적에서 나온 이차 입자의 조성).[5] 초명은 권종수(權宗洙) 또는 권도수(權道洙), 호는 만하(晩霞). 1906년 개성 숭명(崧明)학교를 졸업하고 한성사범학교에 진학하여 1909년 졸업하였다. 1909년 윤2월 18일 공립보통학교 본과 부훈도에 임명되었으며, 그해 4월 6일 황해도 서흥군의 사립서명(瑞明)보통학교에 발령받아 1910년까지 근무하였다. 1911년 3월 24일에는 공립서흥보통학교에 발령받아 1913년까지 근무했으며, 그해 4월 1일 공립보통학교 훈도로 승진하였다. 이듬해인 1914년 해주공립보통학교에 발령받았으며, 1915년 4월 14일 공립간이실업학교 훈도를 겸직하게 되어 풍덕공립간이농업학교 및 풍덕공립보통학교 훈도를 겸임하게 되었다. 1917년 3월 31일 겸직이 면제되었고, 1918년부터 1922년까지 장단공립보통학교, 1923년부터 1926년까지 위천(渭川)공립보통학교에서 훈도를 역임했다. 1927년 개성 정화여자보통학교 교장이 되었으며, 1934년 정지(貞芝)학원을 설립하였다. 8.15 광복 후인 1947년 정화학원을 설립하여 이사장에 취임하였으며, 1953년 서울에 정화여자중학교 및 정화여자상업고등학교를 개교하고 교장 및 이사 등을 지냈다.[6] 이희영(李喜永)의 딸이다.[7] 원래는 개성에 있었던 학교다. 1950년 6.25 전쟁이 터지자 인천광역시로 피난 개교했고 현재의 지역에 자리잡게 되었다.[8] 현, 북한 황해북도 개성시 위치[9] 1951년 35명으로 설립한 한국물리학회는 1960년 권녕대가 회장을 맡은 이후부터 회원 수는 10년동안 1천명으로 늘어났으며, 회지(대물리)도 연간 국문 4회, 영문 2회 씩 발간하는 등, 국내에서 가장 건실한 물리학회로 발전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