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24 22:14:34

차기벽

{{{#!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3%"
<tablebordercolor=#fff><tablewidth=100%><tablebgcolor=#fff> 파일:대한민국 학술원 휘장.svg}}}{{{#!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7%"<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31f20><tablebgcolor=#231f20>대한민국학술원 회원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현재 회원
인문사회과학부 자연과학부
[분과별 학문 분야]
1분과: 철학, 윤리학, 논리학, 미학, 종교학, 교육학, 심리학
2분과: 어문학
3분과: 사학, 고고학, 민속학, 지리학, 문화인류학
4분과: 법학
5분과: 정치학, 행정학, 사회학
6분과: 경제학, 경영학
[분과별 학문 분야]
1분과: 수학, 물리학, 화학, 천문학, 대기과학
2분과: 생물학, 지질과학, 스포츠과학, 영양학, 가정학
3분과: 건축공학, 금속공학, 기계공학, 섬유공학, 자원공학, 전기공학, 전자공학, 정보공학, 조선공학, 토목공학, 항공공학
4분과: 의학, 치의학, 약학, 수의학
5분과: 농학, 임학, 축산학, 수산학
1분과 2분과 3분과 4분과 5분과 6분과 1분과 2분과 3분과 4분과 5분과
정진홍 조동일 차하순 고상룡 임희섭 이현재 안세희 이상만 박중현 이상섭 홍성각
차재호 홍재성 이기석 김남진 강신택 곽수일 노재식 김수진 김상용 문국진 이병일
이돈희 김학주 이기동 정동윤 안병준 정기준 박세희 이정우 노오현 김낙두 김현욱
소광희 이정민 김영한 박병호 김경동 김기영 권숙일 맹원재 윤덕용 김병수 황병국
윤사순 김수용 이성규 김상용 김용구 유장희 기우항 임번장 현병구 이순형 류순호
이한구 조주관 이태진 김효전 진덕규 이학용 김용해 장호완 나정웅 김영중 장동석
박종현 장경렬 한상복 임종률 백완기 이지순 이은 김상구 한송엽 고재승 이홍석
정찬섭 남기심 최병현 권오승 이정복 조장옥 조성호 정진하 최향순 신희섭 김윤수
진동섭 김인환 임돈희 최병조 김홍우 한인구 이호인 조완규 이장무회장 이영순 박승우
박용운 신동운 신용하 전병헌 김도한 이기화 이병기 이승규 최양도
김호동 김문현 임현진 박성현 안진흥 황규영 이종호 홍성윤
김영식 신명순 김진의 임정빈 유정열 박성회 김수일
고동환 최진호 박종욱 손장열 이명식 고희종
이형목 우경식 고규영 김용균
송진원 한재용
작고 회원
인문사회 분과 자연 분과
1분과 2분과 3분과 4분과 5분과 6분과 1분과 2분과 3분과 4분과 5분과
고형곤 권중휘 이병도 최태영 신기석 고승제 안동혁 손치무 이균상 한구동 정문기
안호상 이숭녕 김상기 유진오 이상백 최호진 김동일 강영선 원태상 윤일선 조백현
박종홍 이희승 신석호 고병국 신도성 신태환 이태규 정태현 최경열 이제구 현신규
김두헌 최현배 이선근 이근칠 민병태 유진순 전풍진 박동길 이종일 이종륜 우장춘
김기석 양주동 조의설 윤세창 김성희 조기준 최규남 김호직 이채호 박영진 김호식
김활란 이양하 김재원 이종극 고황경 김순식 권영대 이민재 최방진 이재춘 송재철
김계숙 이병기 류홍렬 김병노 김상협 김효록 최윤식 조복성 윤일중 이진기 이근태
이종우 김윤경 이홍직 이항녕 최문환 육지수 박철재 이병위 민한식 박호풍 박승만
이상은 손우성 홍이섭 박원선 정인흥 김준보 박하욱 김옥준 김기덕 김두종 심종섭
이인기 정인승 고병익 정광현 이만갑 이상구 조광화 최례석 최호영 이세규 지영인
김동화 조윤제 한우근 유기천 윤천주 권오익 이원철 김준민 김재근 김명선 이춘녕
김준섭 김형규 전해종 이한기 박동서 정수영 장기원 김창환 김종석 기용숙 박병희
오천석 차상원 이기백 이희봉 이용희 임원택 성좌경 김삼순 최형섭 한심석 윤상원
류승국 차주환 이광린 문홍주 김대환 박기혁 박정기 홍순우 김문상 우린근 이창구
이희철 여석기 김원용 서돈각 김운태 김옥근 박봉열 김봉균 신영기 나세진 김성원
서명원 조성식 김철준 손주찬 홍승직 오상락 최상업 윤석규 이량 이우주 이은웅
임한영 김동욱 이두현 남흥우 차기벽 정병휴 조순탁 주진순 장석윤 이문호 정후섭
최재희 정병욱 민석홍 황산덕 구영록 김동기 김치영 이대성 윤동석 김용관 강제원
김규영 강두식 이찬 김증한 박광순 이상수 정영호 한만춘 서병설 백운하
유형진 이기문 윤무병 김치선 조순 김정수 김훈수 강명순 이영소 김문협
백낙준 이능우 이우성 박일경 변형윤 최규원 이영록 윤장섭 권이혁 고재군
조요한 동완 황수영 김기두 윤기중 심정섭 김오중 오현위 이장락 최병희
김성태 장덕순 양병우 정영석 박을룡 김준호 최계근 김기홍 박영호
김태길 이가원 민영규 김현태 윤세원 하두봉 이승원 박수선 전세규
윤명로 김현창 김용섭 김정균 김태린 박희인 김재극 장신요 조재영
김종철 김용직 이성무 김홍규 박태원 정창희 우형주 이기영 오봉국
정양은 정명환 황적인 윤갑병 박상대 이택식 김주환
박영식 이경식 심헌섭 윤능민 황종흘 김용일
김충렬 김완진 김철수 이익춘 이만영 김정룡
조명한 장석진 김종원 송희성 조선휘 이호왕
오병남 이형국 고윤석 이리형
정범모 장세헌 이충웅
조대경 김상주
길희성
이성진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명예회원
시오노 히로시 빈센트 푸어 노요리 료지 피터 그루스 위르겐 코카
크리스티안 슈타르크 로거 비치 앨런 히거 난 린 허준이 }}}}}}}}}
성균관대학교 명예교수
{{{#ffffff {{{+1
차기벽}}}
車基璧 | Cha, Ki Pyok}}}
파일:차기벽교수.jpg
<colbgcolor=#2e4e3f><colcolor=#fff> 출생 1924년 11월 28일
평안북도 용천군
사망 2018년 6월 23일 (향년 93세)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본관 연안 차씨
학력 신의주동중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 / 학사)
클레어몬트 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 박사)
약력 경북대학교 법정대학 전임강사, 조교수, 부교수
성균관대학교 법정대학 부교수, 교수
성균관대학교 부설 사회과학연구소 소장
한국정치학회 회장
성균관대학교 법정대학 학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원장

1. 개요2. 생애3. 연구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정치학자. 민족주의, 정치변동론 등을 연구하였다. 경북대학교 정치학과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를 역임했으며,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이기도 하다.

2. 생애

1924년 11월 28일 평안북도 용천군에서 태어났다. 신의주동중학교를 거쳐 경성경제전문학교 재학 중 학병에 징집되었다. 해방 후 상하이경상남도 부산부를 거쳐 고향 용천군에 귀향하였으나 급격히 사회주의화 되는 이북의 현실에 질려 월남, 1946년 6월 경성대학 정치학과 편입 시험에 응시하여 1학년에 편입하였다.[1] 경성대학이 서울대학교로 통폐합되면서 1950년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과로 졸업하였다. [2]

학부 졸업 직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 진학하였으나 6.25 전쟁으로 학업을 일시 중단한 그는 1950년 6월부터 1950년 10월까지 배재고등학교, 1951년부터 1954년까지 대구 계성고등학교 등지에서 교사로 재직했다. 1953년부터 1954년까지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강사로 출강하기도 했다.

1954년 경북대학교 법정대학 정치학과에 전임강사로 부임해 이후 조교수, 부교수로 승진했다. 교수 재직 중이던 1957년 미국 국무성의 초청으로 클레어몬트 대학원대학교에 교환교수로 유학을 갔고, 이듬해인 1958년 정치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61년에는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부교수로 이직하여 이후 1990년 퇴임 시까지 교수로 재직하였다. 그 사이 1962년부터 1973년까지는 모교인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문리과대학, 대학원에 강사로 출강하기도 했다. 1966년부터 1973년까지 성균관대학교 부설 사회과학연구소 소장을 역임했다. 1969년에는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행정학 박사 학위[3]를 취득했다. 1973년에는 일본 국제교류기금의 초청으로 도쿄대학 법학부에 방문교수로 1년간 머무르기도 했다.

그는 정치학자로 활동하며 추상적인 민족의식 차원에서 벗어나 서구에서 논의되는 이론으로서의 민족주의를 본격적으로 국내 학계에 소개하였다. 1960년대에는 사상계 등에 권위주의화 되는 제3공화국 정권을 비판하는 논객으로도 활동하였으며, 1965년 한일협정 반대투쟁의 이론적 기초를 제공하기도 하였다. 한편으로 민족주의의 전제 조건으로서의 민주주의의 중요성을 함께 강조하면서, 민족주의가 권위주의 정권을 정당화하는 어용 이념으로 악용될 위험성을 경계하였다.

1975년부터 1976년까지 한국정치학회 회장, 1977년부터 1979년까지 성균관대학교 법정대학 학장 등을 역임하고 1981년 9월 독일 학술교류처(DAAD)의 초청으로 당시 서독 킬 대학에 방문교수로 3개월간 다녀오기도 했다. 1984년부터 1986년까지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장으로 재직하고, 1984년부터 1985년까지 1년간 도쿄대학 교양학부에 비상근강사로 출강하기도 했다. 1989년 3월 28일에는 대한민국 학술원 인문사회과학부 제5분과 회원(비교정치 전공)으로 임명되는 등, 정관계로의 외도가 잦은 초기 정치학자들과 달리 학계의 원로로 꾸준히 남아 연구를 계속하였다. 1990년 정년퇴임한 뒤 노태우 당시 대통령으로부터 국민훈장 모란장을 수여받았다.

2018년 6월 23일 별세했다.

3. 연구

전술하였듯이 민족주의를 이론으로서 본격적으로 소개, 전개한 대표적인 정치학자이다. 아울러 근대화와 정치발전, 민주화 이론 등에도 관심이 많았는데, 초기에는 저서 『차근대화 정치론』(1969) 등에서 드러나듯 선근대화 후민주화라는 전통적인 근대화론의 입장에 서있었다면, 1970년대 말부터는 근대화와 민주화의 동시 진행의 필요성을 적극적으로 제창하였다. 2007년에는 전집『차기벽 저작집』이 완간되었다.


[1] 이때 같이 옮긴 동기 중 김운태가 있는데, 그는 차기벽과 달리 2학년으로 편입하였다.[2] 학번으로는 46학번이다. 정치학과 동기로는 구태회 전 국회 부의장, 유정회 국회의원을 역임한 박준규 전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교수, 김용성 국회의원, 고등고시 양과 합격자인 의사 출신 변호사 전용성 등이 있다.[3] 박사 학위 논문 : 近代化의 理論과 方向 : 政治的 리더쉽을 中心으로(근대화의 이론과 방향 : 정치적 리더쉽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