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31 19:09:04

변형윤

{{{#!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3%"
<tablebordercolor=#fff><tablewidth=100%><tablebgcolor=#fff> 파일:대한민국 학술원 휘장.svg}}}{{{#!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7%"<tablewidth=100%><tablebordercolor=#231f20><tablebgcolor=#231f20>대한민국학술원 회원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현재 회원
인문사회과학부 자연과학부
[분과별 학문 분야]
1분과: 철학, 윤리학, 논리학, 미학, 종교학, 교육학, 심리학
2분과: 어문학
3분과: 사학, 고고학, 민속학, 지리학, 문화인류학
4분과: 법학
5분과: 정치학, 행정학, 사회학
6분과: 경제학, 경영학
[분과별 학문 분야]
1분과: 수학, 물리학, 화학, 천문학, 대기과학
2분과: 생물학, 지질과학, 스포츠과학, 영양학, 가정학
3분과: 건축공학, 금속공학, 기계공학, 섬유공학, 자원공학, 전기공학, 전자공학, 정보공학, 조선공학, 토목공학, 항공공학
4분과: 의학, 치의학, 약학, 수의학
5분과: 농학, 임학, 축산학, 수산학
1분과 2분과 3분과 4분과 5분과 6분과 1분과 2분과 3분과 4분과 5분과
정진홍 조동일 차하순 고상룡 임희섭 이현재 안세희 이상만 박중현 이상섭 홍성각
차재호 홍재성 이기석 김남진 강신택 곽수일 노재식 김상용 문국진 이병일
이돈희 김학주 이기동 정동윤 안병준 정기준 박세희 이정우 노오현 김낙두 김현욱
소광희 이정민 김영한 박병호 김경동 김기영 권숙일 맹원재 윤덕용 김병수 황병국
윤사순 김수용 이성규 김상용 김용구 유장희 기우항 임번장 현병구 이순형 류순호
이한구 조주관 이태진 김효전 진덕규 이학용 김용해 장호완 나정웅 김영중 장동석
박종현 장경렬 한상복 임종률 백완기 이지순 이은 김상구 한송엽 고재승 이홍석
정찬섭 남기심 최병현 권오승 이정복 조장옥 조성호 정진하 최향순 신희섭 김윤수
진동섭 김인환 임돈희 최병조 김홍우 한인구 이호인 조완규 이장무회장 이영순 박승우
박용운 신동운 신용하 전병헌 김도한 이기화 이병기 이승규 최양도
김호동 김문현 임현진 박성현 안진흥 황규영 이종호 홍성윤
김영식 신명순 김진의 임정빈 유정열 박성회 김수일
고동환 최진호 박종욱 손장열 이명식 고희종
이형목 우경식 고규영 김용균
송진원 한재용
작고 회원
인문사회 분과 자연 분과
1분과 2분과 3분과 4분과 5분과 6분과 1분과 2분과 3분과 4분과 5분과
고형곤 권중휘 이병도 최태영 신기석 고승제 안동혁 손치무 이균상 한구동 정문기
안호상 이숭녕 김상기 유진오 이상백 최호진 김동일 강영선 원태상 윤일선 조백현
박종홍 이희승 신석호 고병국 신도성 신태환 이태규 정태현 최경열 이제구 현신규
김두헌 최현배 이선근 이근칠 민병태 유진순 전풍진 박동길 이종일 이종륜 우장춘
김기석 양주동 조의설 윤세창 김성희 조기준 최규남 김호직 이채호 박영진 김호식
김활란 이양하 김재원 이종극 고황경 김순식 권영대 이민재 최방진 이재춘 송재철
김계숙 이병기 류홍렬 김병노 김상협 김효록 최윤식 조복성 윤일중 이진기 이근태
이종우 김윤경 이홍직 이항녕 최문환 육지수 박철재 이병위 민한식 박호풍 박승만
이상은 손우성 홍이섭 박원선 정인흥 김준보 박하욱 김옥준 김기덕 김두종 심종섭
이인기 정인승 고병익 정광현 이만갑 이상구 조광화 최례석 최호영 이세규 지영인
김동화 조윤제 한우근 유기천 윤천주 권오익 이원철 김준민 김재근 김명선 이춘녕
김준섭 김형규 전해종 이한기 박동서 정수영 장기원 김창환 김종석 기용숙 박병희
오천석 차상원 이기백 이희봉 이용희 임원택 성좌경 김삼순 최형섭 한심석 윤상원
류승국 차주환 이광린 문홍주 김대환 박기혁 박정기 홍순우 김문상 우린근 이창구
이희철 여석기 김원용 서돈각 김운태 김옥근 박봉열 김봉균 신영기 나세진 김성원
서명원 조성식 김철준 손주찬 홍승직 오상락 최상업 윤석규 이량 이우주 이은웅
임한영 김동욱 이두현 남흥우 차기벽 정병휴 조순탁 주진순 장석윤 이문호 정후섭
최재희 정병욱 민석홍 황산덕 구영록 김동기 김치영 이대성 윤동석 김용관 강제원
김규영 강두식 이찬 김증한 박광순 이상수 정영호 한만춘 서병설 백운하
유형진 이기문 윤무병 김치선 조순 김정수 김훈수 강명순 이영소 김문협
백낙준 이능우 이우성 박일경 변형윤 최규원 이영록 윤장섭 권이혁 고재군
조요한 동완 황수영 김기두 윤기중 심정섭 김오중 오현위 이장락 최병희
김성태 장덕순 양병우 정영석 박을룡 김준호 최계근 김기홍 박영호
김태길 이가원 민영규 김현태 윤세원 하두봉 이승원 박수선 전세규
윤명로 김현창 김용섭 김정균 김태린 박희인 김재극 장신요 조재영
김종철 김용직 이성무 김홍규 박태원 정창희 우형주 이기영 오봉국
정양은 정명환 황적인 윤갑병 박상대 이택식 김주환
박영식 이경식 심헌섭 윤능민 김수진 황종흘 김용일
김충렬 김완진 김철수 이익춘 이만영 김정룡
조명한 장석진 김종원 송희성 조선휘 이호왕
오병남 이형국 고윤석 이리형
정범모 장세헌 이충웅
조대경 김상주
길희성
이성진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명예회원
시오노 히로시 빈센트 푸어 노요리 료지 피터 그루스 위르겐 코카
크리스티안 슈타르크 로거 비치 앨런 히거 난 린 허준이 }}}}}}}}}
<colbgcolor=#999><colcolor=#fff> 변형윤
邊衡尹 | Byun, Hyung-yoon
파일:변형윤.jpg
출생 1927년 1월 6일
황해도 황주군 제안면 예동리[1]
(현 황해북도 황주군 황주읍)
사망 2022년 12월 25일 (향년 95세)
직업 경제학자
본관 원주 변씨(原州 邊氏)[2]
학현(學峴)
학력 경기공립중학교[3] (1944 졸업)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경제학 45 /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 석사[4])
밴더빌트 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 박사과정 수료)
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제학 / 박사[5])
가족 아들 변기홍, 장녀 변기원, 차녀 변기혜[6]
병역 육군 육군사관학교 대위 전역
(1951년 ~ 1953년)

1. 개요2. 생애3. 여담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경제학자이자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제학부 명예교수. 호는 학현(學峴).

2. 생애

1927년 1월 6일 황해도 황주군 제안면 예동리(현 황해북도 황주군 황주읍)에서 아버지 변철희(邊喆熙, 1900.12.30. ~ 1945.5.9.)[7]와 어머니 영천 이씨(永川 李氏, 1897.7.7. ~ ?)[8] 사이에서 3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1944년 경기공립중학교[9]를 졸업한 뒤 1945년 경성경제전문학교에 진학했다. 1946년 여름방학 때 고향을 찾았는데, 소련군정의 지원 아래 북조선림시인민위원회토지 개혁이 한창 시행되고 있었다. 이때 열린 설명회에서 "최소 생계수단의 될 정도의 토지는 남겨야 한다"는 발언을 했다가 반동분자로 낙인 찍혔고, 이 때문에 체포를 피해 월남하면서 어머니와 생이별하게 되었다.[10] 1951년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경제학과(45학번)를 졸업하였다. 1951년 육군 중위로 임관하여 육군병기학교[11]육군사관학교에서 교관으로 복무했고, 1953년 대위로 전역하였다.

1955년부터 1957년까지 서울대학교 상과대학에서 시간강사전임강사 대우로 근무하였다. 1957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제학 석사 학위를 취득한 뒤 같은 해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전임강사로 부임하였다. 이후 학생들에게 경제학을 비롯해 통계학·경제수학·계량경제학을 주로 가르쳤다. 1960년 4.19 혁명 당시 4.29 교수단 시위에 참가하였다. 1960년부터 1963년까지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교무과정을 지냈다. 1964년 미국 밴더빌트 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제학 박사 과정을 수료하였고, 1966년부터 1980년까지 박정희 정부경제 개발 5개년 계획 평가교수단 교수로 재임하였다. 1967년부터 1971년까지 서울대학교 한국경제연구소 소장으로 재임하였다. 1968년 2월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970년부터 1975년까지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학장을 지냈다. 1975년 서울대학교 경제학과가 상과대학에서 분리되어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소속 경제학과 및 무역학과로 분리되자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제학과 교수가 되었다. 그러던 1980년 서울의 봄 당시 서울대학교 교수협의회 회장으로서 시국선언을 주도하였다가 이 때문에 1980년 7월 해직되었다.

1982년 제자들과 경제민주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학현연구실'을 개설하였다. 1984년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제학과 교수로 복직하였고, 1992년 37년간의 교직 생활을 마무리하고 정년퇴임하였다. 1993년 학현연구실을 확대 개편하여 설립한 사단법인 서울사회경제연구소의 이사장으로 취임하였고, 같은 해 7월 16일 대한민국학술원 인문사회과학부 제6분과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1998년 국민의 정부 출범 이후 제2의건국범국민추진위원회 대표공동위원장으로 위촉되어 2000년까지 재임하였고, 2000년부터 2003년까지 해당 위원회의 고문으로 활동하면서 김대중 정부에서 시행하는 경제정책의 기반을 다졌다. 또한 1998년부터 2001년까지 학교법인 한국외국어대학교 이사장으로 재임하였다.

2004년 1월 8일 상지대학교를 운영하는 학교법인 상지학원의 이사장으로 선임되어[12] 2007년까지 재임하였다.

2022년 12월 25일 향년 95세를 일기로 사망하였다. 37년간 학술 활동과 제자 양성에 힘쓰며 많은 제자들을 길러냈으며 그의 아호를 딴 이름을 가진 '학현학파'는 '조순학파' '서강학파'와 함께 대한민국 경제학계의 3대 학파로 꼽히고 있다.

3. 여담


[1] #[2] #. 첨추공파(僉樞公派) 22세 형(衡) 항렬로, 전 프로게이머 변형태와 같은 파 같은 항렬이다.[3]경기고등학교[4] 석사 학위 논문: 물가지수의 함수론적 해석(1957.)[5] 박사 학위 논문: 한국의 경제성장 고용 및 자금(1968.2.)[6] 2022년 12월 25일 한겨레 부고 기사[7] 자는 인여(仁汝).[8] 이동옥(李東沃)의 딸이다.[9]경기고등학교[10] 2019년 11월 7일 한국경제신문 기사[11]육군종합군수학교[12] #[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