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9-15 13:03:19

이종희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한민국의 정치인에 대한 내용은 이종희(정치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이종희.jpg
<colcolor=#fff><colbgcolor=#0047a0> 이명 이집중(李執中, 李集中)[1]
이인홍(李仁洪), 이송봉(李松奉)
남정(南亭)
본관 전주 이씨
출생 1890년 4월 19일
전라도 금구현 수류면 구호리
(현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용호리 구미마을)
사망 1946년 3월 28일[2]
중화민국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1묘역-5호
상훈 건국훈장 독립장

1. 개요2. 생애3. 참고 자료

[clearfix]

1. 개요

이종희는 의열단에 참여하고 한국광복군 제1지대를 이끈 대한민국독립유공자이다. 1977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2. 생애

1890년 4월 19일 전라도 금구현 수류면 구호리(현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용호리 구미마을)에서 아버지 이태식(李太植)과 어머니 김해 김씨 사이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이종희의 초기 생애는 전혀 알려져있지 않다. 독립운동에 참여할 초기에는 이인홍(李仁洪)이라는 이명을 쓰다가, 1926년부터는 줄곧 이집중(李集中)이라는 이름만을 썼다. 이때문에 일제는 패망 때까지 이종희의 본명을 몰랐으며, 8.15 광복 후에도 관련 학자들이 이종희라는 본명을 겨우 찾아냈다고 한다. 1934년 조선총독부 경무국에서 발행한 용의조선인명부에서도 그는 과연 이집중(李集中)이라는 이름으로 등재되어 있었고, 1934년 당시 40세 정도, 경상북도 대구부 또는 전라북도 전주부 출생으로 보는 등 실제 이종희의 신상명세와 확실하게 맞아 떨어지는 부분도 거의 없어서[3] 일제가 이종희에 대해 거의 탐지하지 못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정체를 꽁꽁 숨기는 바람에 비밀결사 독립운동가로서는 성공했지만 초기 생애나 출신도 밝힐 수 없게 됐다.

이종희는 1924년 10월에 일제의 기록에서 의열단원으로 기록된 것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시기가 시기인 만큼 1919년 3.1 운동의 영향으로 중국으로 망명해 활동했다는 설과, 평범하게 설렁탕집을 운영하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설립 후 연통제나 교통국에 스카우트 되었다는 설이 있다.

아무튼 의열단원으로 활동하던 이종희는 1925년에 일제의 밀정인 김달하를 처단한다. 김달하는 구한말에 외교부 관리로 활동하다 국권침탈 후 중국에서 밀정짓을 하다가 처단된 것. 중국 신문에도 이 일이 올라왔으나 김달하를 죽어 마땅한 놈이라고 표현하며 동정을 느끼는 사람은 친일파 말고 아무도 없었다.

1925년 이후에는 의열단이 비밀리에 암살과 파괴를 벌이는 형태에서 무장단체 비슷한 활동으로 노선을 바꾼다. 이종희도 이 방침에 따라 황포군관학교에 입학해 졸업 후 국민혁명군 초급장교가 된다.

만주사변이 벌어지고 의열단은 난징으로 본거지를 옮긴다. 그 뒤 중국 국민당과 협력하여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를 설립하고 중대장으로 복무하던 이종희는 김원봉의 요청으로 학교로 와서 총무부장 겸 교관을 맡는다. 그리고 김원봉과 함께 조선의용대와 조선의용군을 맡으며 독립군을 이끈다.

1940년대 이후에는 김원봉 휘하의 조선의용대가 임시정부 하의 한국광복군 제1지대로 개편된다. 거기서 김원봉은 부사령관을 맡고 오랜 동료인 이종희도 총무조장을 맡으며 활약한다. 그런데 1944년에 지병으로 인해 활동하기 힘들어지고 병이 낫지 않은 채 광복을 맞이한다. 당시 임시정부 요인들을 포함한 독립운동가들이 개인 자격으로 돌아와야 했기 때문에 돌아오는 데에도 어려움을 겪는 인물들이 많았다. 이종희도 가까스로 부산항에 도착하는 배를 타고 4개월간 고국 땅을 밟기 위해 출발했는데, 안타깝게도 부산에 도착하기 하루 전에 병으로 인해 세상을 떠난다.

1977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독립장에 추서되었다. 그의 유해는 당초 고향인 김제시 금산면 용호리 구미마을 뒷산에 안장되었다가, 1987년 5월 7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1묘역에 이장되었다.

3. 참고 자료

  • 정상규 저. <잊혀진 영웅들, 독립운동가>. 휴먼큐브. 2017년. 259~261p


[1] 과연 1934년 조선총독부 경무국에서 발행한 용의조선인명부이집중(李集中)이라는 이름으로 등재되어 있다.[2] 대전현충원묘적부에는 1952년 9월 4일에 별세한 것으로 등재되어 있다.[3] 다만 1934년 당시 중국 남경에 거주하고, 의열단원이라는 점, 중국육군군관학교 간부훈련단 총무부장이라는 경력에 대해서는 일부 맞는 부분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