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724598>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1.#26
[1] 보물 제916호로 승격[2] 보물 제1295호로 승격[3] 보물 제1338호로 승격[4] 보물 제1296호로 승격[5] 경기도 유형문화유산 제133호로 지정변경[6] 보물 제658호로 승격[7] 충청북도 기념물 제147호로 지정변경[8] 보물 제1416호로 승격[9] 보물 제1418호로 승격[10] 보물 제985호로 승격[11] 보물 제1527호로 승격[12] 보물 제664호로 승격[13] 국보 제197호로 승격[14] 보물 제656호로 승격[15] 충청북도 기념물 제37호로 지정변경[16] 보물 제1417호로 승격[17] 충청북도 기념물 제40호로 지정변경[18] 보물 제2107호로 승격[19] 충청북도 기념물 제41호 영동 김자수 고가에 포함[20] 보물 제1551호로 승격[21] 보물로 승격[22] 충청북도 기념물 제42호로 지정변경[23] 충청북도 기념물 제43호로 지정변경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1.#76 충주 창동리 마애여래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01 진천향교
1.#126 괴산 각연사 대웅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51 영동 사로당
1.#176 영동 영모재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01 허한・허적 초상
1.#226
246-3. 묘법연화경 권6~7 246-4. 묘법연화경 권6~7}}}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51 백지묵서묘법연화경(언해)(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제251호)|묘법연화경(언해)
1.#276 백지묵서약사유리광여래본원공덕경
[54] 외부로 반출[55] 외부로 반출[56] 외부로 반출[57] 보물 제1714호로 승격[58] 세종특별자치시 유형문화유산 제6호로 지정변경[59] 세종특별자치시 유형문화유산 제7호로 지정변경[60] 세종특별자치시 유형문화유산 제8호로 지정변경[61] 세종특별자치시 유형문화유산 제9호로 지정변경[62] 세종특별자치시 유형문화유산 제10호로 지정변경[63] 세종특별자치시 유형문화유산 제11호로 지정변경[64] 보물 제1654호로 승격[65] 보물 제1653호로 승격[66] 보물 제1655호로 승격[67] 보물 제720-2호로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01 제천 신륵사 극락전 벽화 및 단청 1.#326 대반열반경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51 충주 혜원정사 석불좌상 및 복장유물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09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 }}}}}}}}}}}} |
1. 개요
般若波羅密多心經疎. 고려 초기의 고승 중 한 명인 대각국사(大覺國師) 의천(義天, 1055∼1101)이 고려속장경(高麗續藏經), 즉 교장(敎藏)을 제작할 때 수록한 불경. 현재 조선 세조가 복원한 책이 청주고인쇄박물관[1]에 소장되어 있다.2. 내용
중국 당나라 시기의 고승 법장과 지현이 함께 저술한 것으로, 훗날 고려 초기의 고승인 의천이 1095년에 개성 흥왕사에서 간행하여 고려속장경(高麗續藏經), 즉 교장(敎藏)에 수록하였던 불경이다. 그러나 이 반야바라밀다심경소를 포함하여 11세기에 의천이 제작했던 총 4,800여권에 이르는 교장들은 몽골의 방화로 인해 모두 사라졌다.현존하는 것은 조선의 7대왕 세조의 명으로 1461년에 간경도감에서 복원한 것이다. 1995년 9월에 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의 교수가 연구 도중 발견하였다.연합뉴스 : 續藏經 번각본 2권 새로 발견 당시 발견된 것은 이 반야바라밀다심경소(般若波羅密多心經疎)와 금강반야경의기(金剛般若經義記) 2권 2책으로, 확인 결과 두 책 모두 고려초 의천이 개성 흥왕사에서 인쇄한 것을 훗날 조선 세조때 왕의 명으로 간경도감에서 번각한 것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불경에 대한 연구논문과 주석서들을 담고 있고 보존상태가 양호해 고려시대 불경 연구자료로의 가치가 매우 높다. 현재 청주고인쇄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1] 청주시 흥덕구 운천동에 있는 박물관. 1992년 3월 17일에 개관하였다. 근처에 흥덕사지 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