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의 일반 마법 카드.2. 설명
[include(틀:유희왕/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 명칭=발금령,
일어판 명칭=<ruby>発禁令<rp>(</rp><rt>はっきんれい</rt><rp>)</rp></ruby>,
영어판 명칭=Sales Ban,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카드명을 1개 선언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 턴에\, 상대는 선언된 카드와 원래의 카드명이 같은 카드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이 듀얼 중\, 자신은 선언한 카드와 원래의 카드명이 같은 카드의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
카드 하나를 지정하고 효과를 막는다는 점에서 말살의 지명자처럼 상대 카드를 저격하는 용도라 사용될 수 있으나, 이 두 마법카드는 꽤 큰 차이가 있다. 우선 말살의 지명자는 효과 자체를 무효화하고, 발금령은 이름 그대로(발동 금지령) 발동만 막는다. 그렇기에 발금령은 이미 발동한 효과나 지속 효과에 대해서는 간섭을 할 수가 없다. 속공 마법도 아니라 발동할 타이밍도 애매하여 말살의 지명자처럼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제대로 활용하려면 상대 덱의 카드들을 알아야 하며,[1] 상대는 1턴 한정이지만 자신은 그 듀얼 동안 발동이 금지되므로 자신이 사용하지 않는 카드여야 한다. 이렇다보니 범용 패트랩 카드등을 저격하기엔 여러모로 무리가 많다.
대신 말살의 지명자와는 달리 덱에 저격할 카드를 따로 넣을 필요는 없기 때문에 범용 카드가 아닌 특정 덱의 키 카드만을 저격하기 위한 사이드 덱에 넣어볼 여지는 어느 정도 있다.
원래는 저격이 가능하더라도 그 카드를 없애지도 못하고 단 한 턴 봉쇄할 뿐이니 결정적인 순간에 쓰는 게 아니면 별 효용이 없는데다가 자신은 아예 듀얼 중 그게 유지되는 거라 범용성 좋은 카드를 저격하기도 어려워서 쓰기 어려운 카드로 여겨졌다. 그런데 오히려 자신은 이 듀얼 중 효과 발동이 막히는 걸 역이용하여 강제로 발동하는 페널티성 효과를 막는데 활용되기 시작했다. 어디까지나 발동효과만 막을 뿐 지속효과는 남아있기에, 지속효과와 스탯이 강력한 대신 발동효과 식의 페널티가 있는 카드는 페널티만 없앨 수 있는 것. 게다가 이 카드는 특정 카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플레이어에게 제약을 거는 방식이기 때문에, 완전 내성을 가진 몬스터의 효과 발동도 봉인할 수 있다. 이후 발매된 도미나스 퍼지, 도미나스 임펄스 역시 같은 활용이 가능하다.
No.86 H-C 론고미언트[금지]는 '매턴 엔드 페이즈시 엑시즈 소재를 1장 제거한다.'와 5소재시 발동 가능한 '상대 필드의 카드를 전부 파괴한다.'라는 단 두개의 발동효과를 제외한 나머지 효과는 전부 지속효과다. 따라서 론고미언트를 지정하면 반영구적으로 전투/효과 내성과 상대 일소/특소를 봉인시키는 타점 3000의 몬스터가 필드에 영원히 체류하게 된다. 저 5소재로 얻는 카드 파괴 효과도, 소환해서 한 번 쓰고 난 다음 발금령을 쓰면 문제 없다.
특소도 막히다보니 상대 몬스터를 제물로 바쳐 자신을 특수 소환시키는 파괴수나 용암 마신 라바 골렘은 물론이고 일반 소환 취급인 라의 익신룡-구체형도 부를 수 없다.
이후 발매한 넘버즈 에버이유로 인해 4소재 론고가 쉽게 뽑히게 되면서 에버이유와 이 카드 단 두 장만으로 엑시즈 오버딜레이 없이는 절대 뚫을 수 없는 특수 승리급 필드를 만들어낼 수 있게 되었다. 결국 론고가 금지로 가며 막히게 되었다.
- 아마노이와토는 '스피릿 몬스터 이외의 몬스터 효과를 발동할 수 없다'라는 지속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스피릿 몬스터라서 특유의 턴 종료시 패로 돌아가는 페널티가 있는데, 페널티를 없애고 저 지속효과만 유지하며 상대의 몬스터 효과를 틀어막을 수 있다. 공격력 1900으로 스탯이 낮고 내성은 없는 게 좀 아쉬울 뿐.
- 오벨리스크의 거신병을 지정하고 소생시키거나, 혹은 소생되어 있는 라의 익신룡-불사조를 지정하면, 엔드 페이즈에 자괴하는 강제 효과의 발동을 막을 수 있다. 오벨리스크는 효과 대상 지정 내성의 4000 타점의 몬스터가 되며, 불사조는 아예 완전 내성의 4000 타점 몬스터가 된다. 오시리스의 천공룡은 본래 공격력도 불안정하고 소뢰탄 효과도 쓸 수가 없어서 다른 두 신에 비하면 이 카드와 궁합이 좋지 않다.
그 외에도 L·G·D와 같이, 강력한 지속 효과를 가졌으나 강력한 디메리트가 발동되는 온갖 카드와의 조합이 거론되는 중이다. 또한 이 카드의 등장으로 특정 조건에서 자괴하는 효과를 가진 강력한 지속 카드(배너티 스페이스, 마종동 등등)의 금제 완화 가능성은 더더욱 없어졌다.
일러스트에서는 군사들이 마도 잡화상인과 매지컬 브로커가 팔고 있는 물건들을 몰수하고 있고, 판매할 물건들을 빼앗긴 둘은 울고 있다. 둘 다 발동효과가 막히면 꽤 뼈아픈 카드긴 하다.
3. 수록 팩 일람
수록 시리즈 |
2021-10-16 |
BACH-JP063 | バトル・オブ・カオス[ BATTLE OF CHAOS] |
2023-12-23 |
QCDB-JP057 | QUARTER CENTURY DUELIST BOX |
2024-06-08 |
TT01-JPA19 | TACTICAL-TRY DECK 終撃竜サイバー・ドラゴン |
2022-01-19 |
BACH-KR063 | 배틀 오브 카오스 |
2024-06-05 |
QCDB-KR057 | 쿼터 센추리 듀얼리스트 세트 |
2022-02-11 |
BACH-EN063 | BATTLE OF CHAOS |
2023-09-08 |
MP23-EN035 | 25TH ANNIVERSARY TIN: DUELING HEROES MEGA PAC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