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06 19:14:01

배트맨 비욘드

배트맨 더 퓨처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VA
배트맨 디 애니메이티드 시리즈
(1992)
배트맨 비욘드
(1999)
저스티스 리그 언리미티드
(2004)
극장용 애니메이션
비디오용 애니메이션
배트맨과 미스터 프리즈: 서브제로
(1998)
배트맨: 배트우먼의 수수께끼
(Chase Me)
(2003)
출판물
Mad Love
(1994)
배트맨 디 어드벤처스 컨티뉴 }}}}}}}}}

DC 애니메이티드 유니버스 애니메이션
뉴 배트맨 어드벤처스 배트맨 비욘드 스태틱 쇼크

<colbgcolor=#000><colcolor=#DC302D>
배트맨 비욘드
Batman Beyond
파일:배트맨 비욘드.jpg
장르 슈퍼히어로, SF, 액션, 미스터리, 사이버펑크
방송 기간 파일:미국 국기.svg 1999년 1월 10일 ~ 2001년 12월 18일
방송 횟수
시즌 1
13부작
시즌 2
26부작
시즌 3
13부작
제작사 워너 애니메이션 그룹
코코 엔터프라이즈(하청제작)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 워너 브라더스 텔레비전 디스트리뷰션
채널 파일:미국 국기.svg 키즈 WB
파일:투명.png 카툰네트워크
제작진 <colbgcolor=#000><colcolor=#DC302D>
크리에이터
폴 디니
브루스 팀
앨런 버넷
제작 톰 루거
숀 맥라렌
연출 앨런 버넷
[ 펼치기 · 접기 ]
브루스 팀
폴 디니
글렌 무라카미
극본 앨런 버넷
[ 펼치기 · 접기 ]
폴 디니
스탠 버코비츠
리치 포겔
힐러리 베이더
음악 쉘리 워커
[ 펼치기 · 접기 ]
롤리타 리트매니스
마이클 맥퀴션
크리스토퍼 카터
출연 윌 프리들
[ 펼치기 · 접기 ]
케빈 콘로이
크리 섬머
로렌 톰
프랭크 웰커
스톡카드 채닝
앤지 하몬
독점 스트리밍
파일:미국 국기.svg
[[맥스(스트리밍)|
max
]]
#!if 링크 != null
[[https://www.max.com/shows/|▶]]
#!if 주석 != null
^^^^
#!if 링크1 != null
[[https://www.max.com/shows/|▶]]
#!if 주석1 != null
^^^^
#!if 링크2 != null
, [[https://www.max.com/shows/|▶]]
#!if 주석2 != null
^^^^
시청 등급 파일:미국 국기.svg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1. 개요2. 세계관 및 배경
2.1. 시리즈의 배경2.2. 설정2.3. 오프닝
3. 작품 외부와의 관계
3.1. 본편 이외 작품과의 관계3.2. 메인 세계관으로 편입
3.2.1. DC 리버스 이후 지구-0 편입
4. 관련 작품5. 등장인물
5.1. 빌런
6. 기타

1. 개요

파일:배트맨 비욘드 로고.png
배트맨 시리즈의 애니메이션 중 하나로, 배트맨 디 애니메이티드 시리즈로부터 약 40년 후의 이야기이다.

일본 방영시의 제목은 '배트맨 더 퓨처(バットマン・ザ・フューチャー)'

2. 세계관 및 배경

2.1. 시리즈의 배경

케빈 스미스브루스 팀의 인터뷰에 따르면, 본 시리즈가 제작된 배경은 다소 예상 밖이었다.[1] 뉴 배트맨 어드벤처스가 종영될 무렵에, 워너 브라더스의 고위 임원이 브루스 팀을 사무실로 불러 차기 배트맨 시리즈에서 주인공을 '청소년'으로 설정할 것을 제안했다. 당시 브루스 팀은 이 제안을 진지하게 받아들이지 않고 흘려들었으나, 이후 "브루스 웨인이 너무 늙어 더는 배트맨으로 활동할 수 없게 된다면?"이라는 아이디어가 떠오르면서 간부의 제안과 결합해 본 시리즈가 기획되었다.

WB Kids 채널을 통해 방영된 아동용 애니메이션이지만, 실제로는 성인층에게 더 적합한 어두운 내용들이 많다. 신체가 괴이하게 변형되는 바디 호러 요소는 거의 매 시즌 반복적으로 등장하며, 시즌 1 에피소드 4 "Golem"에서는 성인 유머도 삽입되었다. 이외에도 살인이나 죽음을 암시하는 장면들이 빈번하게 등장하여, 본적이 원래 어린이를 위한 프로그램이었다는 점은 현재에 와서는 거의 잊혀진 상태이다. 이 때문에 브루스 팀은 자신의 어린 딸에게 개그 에피소드인 "Eggbaby"를 제외하면 시리즈를 절대 보여주지 않았다고 한다.

2.2. 설정

배트맨 TAS〉, 〈배트맨 NBA〉, 〈저스티스 리그〉 등으로 이어지는 DCAU의 직접적인 후속작이다.

본작은 노쇠한 브루스 웨인을 대신해 청년 테리 맥기니스가 새로운 배트맨이 되는 이야기를 다룬다. 미래가 배경인 만큼 도시의 모습과 배트맨의 장비들도 모두 미래 지향적으로 변화했다. 배트슈트는 완력을 10배로 강화시키고, 점프 및 비행용 부스터, 배터랭, 도청 장치, 메모리 스틱 등 다양한 기기를 내장하고 있어 메카닉 요소가 강하다. 이러한 기능들은 기술의 발전 외에도 고령의 브루스 웨인이 겪던 신체적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도입한 것이었다.

시리즈가 진행될수록 장비들은 지속적으로 업그레이드되며, 배트모빌 역시 비행이 가능할 정도로 발전한다. 외형은 배트윙과 유사하지만, 극중에서는 다른 차량들도 모두 공중을 이동하기 때문에 별도로 구분되지는 않는다.

주인공 테리는 웨인-파워스의 CEO 데릭 파워스에게 아버지 워렌을 잃은 후, 어머니 메리와 남동생 맷과 함께 살고 있다. 청소년이라는 신분 때문에 겉으로는 브루스 웨인의 개인 비서 아르바이트를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가족과 주변 인물들에게 배트맨의 정체가 들키지 않도록 노력한다.

본작의 가장 큰 특징은 기존의 배트맨 시리즈와 달리 청춘물의 성격을 띠고 있다는 점이다. 테리는 어두운 트라우마를 지닌 브루스와 달리, 밝고 활기찬 고등학생으로 묘사된다. 배트맨 활동으로 인해 수업시간에 졸거나, 여자친구와의 관계에서 갈등을 겪는 등 일상적인 고민도 함께 다룬다. 간간히 브루스에게 반항하거나, 철없는 동생 때문에 골머리를 앓는 등 보다 현실적이고 인간적인 면모가 강조된다.

테리의 조력자 역할은 친구 맥스가 담당하며, 여자친구 데이나와의 관계도 꾸준히 이어진다. 한편, 악당 조직 로열 플러시 갱의 막내 딸 멜라니 워커와 이루어질 수 없는 로맨스를 겪기도 하는데, 이 캐릭터는 등장 횟수는 적지만 강한 인상을 남기며 캣우먼과의 관계를 연상시키는 인물로 팬들 사이에서 높은 평가를 받는다.

이처럼 하이틴 요소가 강조된 점에서 스파이더맨과 유사하다는 평가도 있으나, 테리의 가정환경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편이다. 아버지가 중역, 어머니도 커리어 우먼으로 승진을 앞둔 인물이었기에, 이혼 후에도 경제적인 어려움은 크지 않다. 다만 어머니가 일에 집중하느라 테리가 동생을 돌봐야 하는 상황이 종종 그려진다.

전통적인 배트맨과는 전혀 다른 분위기와 설정으로 인해 호불호가 갈리기도 하지만, 그만큼 테리만의 개성과 색깔을 보여준 작품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2.3. 오프닝


오프닝은 전작들과 비교해 분위기가 크게 다르다. 이전 작품들이 클래식한 오케스트라 음악을 사용한 반면, 본작에서는 헤비메탈 음악이 사용되었다.

3. 작품 외부와의 관계

3.1. 본편 이외 작품과의 관계

과거 배트맨 시리즈와의 연결점도 몇몇 존재한다. 바바라 고든이 아버지 제임스 고든의 뒤를 이어 경찰청장이 되었으며[2], 불량청소년들이 한때 시대를 풍미했던 광태자 조커를 추종하는 조커즈라는 갱단을 만들어 도시에서 활동하고 있다. 몇몇 에피소드에선 힘을 강화해주는 약물의 과다복용으로 인해 결국 폐인이 되어 양로원에서 살게 된 베인[3], 육체를 이식한 미스터 프리즈가 나오기도 한다. 배트 케이브 안에는 배트 패밀리들의 코스튬, 빌런들의 코스튬, 배트모빌 등이 전시되어 있다.

그리고 저스티스 리그 언리미티드의 시즌 2 파이널 에피소드인 〈에필로그〉(Epilogue)[4]에선 테리가 아만다 월러의 프로젝트 '배트맨 비욘드'를 통해 만들어진 존재라는 걸 얘기해준다. 위의 떡밥을 회수한 셈이다.

월러는 배트맨의 후계자를 인위적으로 만들 목적으로 브루스의 부모와 신체적, 정신적으로 가장 유사한 부부를 골라 남자 쪽의 유전자를 조작해 그 정자를 브루스 웨인의 것으로 바꿔치기 했다. 즉 테리(와 그의 동생)의 생물학적 아버지는 브루스 웨인. 이후 브루스가 겪었던 일과 같은 방식으로 대상 부부를 암살해 브루스가 그랬던 것처럼 테리에게 어린 시절에 눈 앞에서 범죄자에게 가족을 잃었다는 트라우마, 범죄에 대한 분노와 '범죄를 막아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심어줄 계획이었으나, 이를 위해 고용한 암살자 판타즘[5]이 실행 직전에 "배트맨은 범죄를 막아야 한다는 강박관념이 있지만 그의 목적을 위해 살인은 하지 않는다."며 이를 거부하고[6] 엔간한 빌런도 질릴 정도로 독하기로 유명한 아만다도 한 수 접고 그 이유에 공감해 '프로젝트 배트맨 비욘드'는 종결된다. 그러나 어떻게 된 운명의 장난인지, 장성한 테리가 결국 데릭 파워스와 그의 심복 미스터 픽스에 의해 아버지를 잃고 나서 알 수 없는 인도로 브루스를 만나고, 브루스는 알 수 없는 호감으로 테리에게 배트맨의 모든 것을 넘겨주어 후계자가 된다.

제작진의 말에 의하면 브루스는 '세계 최고의 명탐정'으로서 이미 〈에필로그〉 시점에 모든 사실을 알고 있었다. 하지만 '테리의 아버지 워런을 존경하자'는 의미와 '테리를 키운 그가 테리의 진정한 아버지'라는 믿음 때문에 일부러 얘기를 하지 않은 것이었다. 즉, 아만다 월러의 조언처럼 테리가 브루스 웨인이라는 존재의 운명에 구속받지 않고 자기만의 삶을 살 수 있도록 해주기 위해서, 그리고 테리가 아버지에 대해 가졌던 마음을 소중하게 간직할 수 있게 해주기 위해서 일부러 모르는 척을 한 것이다.

3.2. 메인 세계관으로 편입

이후 다시 코믹스로 쓰여졌고, 이로서 공식적으로 DC 유니버스로 편입되었다. 활동하는 세계는 지구-12. 노쇠해진 브루스를 대신하여 슈퍼맨과 함께 하고 있으며 슈퍼맨은 그를 엄청나게 신임하고 있다.

더불어 실질적인 원작인 평행 우주의 애니메이션 세계(혹은 지구-12)뿐만 아니라 공식적인 배트맨의 미래세계 버전에서도 테리 맥기니스의 배트맨 등극은 이루어졌다. 데미언 웨인(5대 로빈. 배트맨의 가상미래를 다룬 <배트맨#666>에서는 3대 배트맨이 되었다.)이 그에게 자리를 물려준 것으로 되어 테리가 4대 배트맨임이 공식화되었기 때문이다.

데미언이 배트맨 시절에 당시 아직 아기였던 그를 구한 적이 있으며, 그 뒤 데미언이 브루스의 묵인하에 배트맨이란 칭호를 그에게 넘겼다는 설정이 추가되었다. 브루스로부터 그의 알바생으로 고용되어 한쪽으로 훈련받으며 브루스가 원거리에서 서포트해주는 등은 원작인 애니메이션과 같다. 데미언도 브루스가 이렇게 서포트해주었던 모양. 덧붙여서 딕은 알프레드가 없는 사이 조커와 배트맨이 전투를 하던 중 눈이 멀어 나이트윙을 그만두었다가 허쉬가 부활하자 그를 제압하기 위해 테리와 손잡은 적도 있다.

리부트된 NEW 52에서는 퓨처스 엔드 이슈부터 등장. 브라더 아이로 인해 막장이 된 미래에서 왔다고 하는데 원래는 퓨처스 엔드의 시점에서 5년 더 과거로 갔어야 했고 미래의 브루스 웨인도 왔어야 하지만 습격과 여러 문제로 테리 혼자서만 오고 시기도 이마 브라더 아이의 근본이 되는 '브라더 원'이 완성되어 버린 30년 전으로 와버렸다. 그런 데다가 어떻게든 날려먹은 5년의 기간을 만회하기 위해 활동하다가 발각돼서 수배에 가까운 상황이 된지라 테리의 활동도 쉽지 않은 상황. 덤으로 현재의 배트맨도 뭔 관계 있는 거 아니냐는 오해가 생기는 등의 상황이 심하게 꼬여서 도움도 받기 어려운 지경.

그리고 배트맨 #20에서도 배트맨 비욘드와 매우 흡사한 슈트가 등장한다. 루시우스 폭스는 "비용 대 성능비가 수십 년은 있어야 쓸 만해질 것"이라서 버렸다고 말하지만, 여기서부터 배트맨 비욘드의 프라임 지구에서의 등장이 예고된 것일 가능성이 있다.

3.2.1. DC 리버스 이후 지구-0 편입

DC 리버스 이후 정식 타이틀이 되었다. 매 달 연재중이며, 원작처럼 테리 맥기니스를 주연으로 하는데, 퓨처스 엔드에서 브라더 아이에게 승리한 후 지구에서 유일하게 살아남은 도시인 고담이 배경으로 등장한다. 더이상 지구-12이 아니라, 프라임 지구의 미래라고 보면 된다.

배트맨 비욘드: 리버스 #1에서 테리 맥기니시의 오리진이 밝혀졌는데, 원작의 첫 에피소드랑 똑같은 것으로 보아 거의 같은 인물로 봐도 될 정도이다.

배트맨의 친아들 데미언 웨인의 존재로 인해 테리 맥기니스의 입지가 애매하기도 했으나, 데미언은 제2의 라스 알 굴이 된 것으로 등장한다. 바바라 고든은 원작처럼 고담의 경찰국장으로 등장하지만, 백발이었던 원작과는 달리 적색 머리를 유지중인 중년 여성으로 등장한다.

4. 관련 작품

4.1. 배트맨 비욘드: 조커의 귀환

2000년에 출시된 비디오용 장편 애니메이션이다. 〈배트맨 비욘드〉의 외전격 작품으로, 죽은 줄 알았던 조커가 미래에서 다시 등장해 테리와 브루스를 위협한다. 잔혹한 묘사로 인해 초기에 검열판이 먼저 출시되었으며, 이후 무삭제판도 따로 발매되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배트맨 비욘드: 조커의 귀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배트맨 비욘드: 조커의 귀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배트맨 비욘드: 조커의 귀환#|]][[배트맨 비욘드: 조커의 귀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등장인물

  • 테리 맥기니스
  • 브루스 웨인
  • 맥신 깁슨
  • 바바라 고든
  • 에이스
  • 데이나 탠
  • 멜라니 워커
  • 메리 맥기니스
    테리의 어머니이다. 극 시작부터 이미 남편인 워렌과는 이혼하여 장남인 테리와는 떨어져 살고 있었으나 워렌이 그만 피살당하면서 홀로 남은 테리를 다시 데리고 살게 되었다. 테리가 억만장자 재벌인 브루스 웨인의 조수로 일한다는 것만 철석같이 믿고 있지만,당연히 아들이 그 뒤로는 배트맨 일을 하고 있다는 사실을 전혀 알지 못하며 밤새도록 일하느라 바빠서 테리가 늦게 들어오거나 심부름을 깜빡 해도 그저 그러려니 잔소리 몇마디 하고 마는 수순으로 별 비중이 없는지라 한 집에 있어도 아예 안 나오는 것 역시 태반이다.
  • 맷 맥기니스
    테리의 남동생이다. 장난끼 많은 전형적인 그 나이대의 개구쟁이이며 엄마인 메리와 더불어 큰 비중은 없다.
  • 넬슨 내쉬
  • 보비 블레이드 서머
  • 하워드 그루트
  • 첼시 커닝햄

5.1. 빌런

  • 데릭 파워스 / 블라이트
  • 잉크
  • 윌리 와트
  • 미스터 프리즈
  • 로열 플러시 갱
  • 스펠바인더
    본명은 아이라 빌링스로, 환각을 만들어내 상대방을 혼란에 빠뜨리는 능력을 보유한 지능형 악당이다. 가까이 있지만 보이지 않는 곳에서 배트맨을 여러차례 궁지로 몰아 넣는다. 본래 정신과 의사였으나, 환자들의 심리 상담을 해주고도 정당한 보수를 받지 못한데에 불만을 품고 범죄를 저지르기 시작한다. 상담자들의 집안에 고가의 물건이 있는지 파악한 다음, 최면술로 세뇌하여 환각을 심어줘 물건을 훔치도록 유도해서 뒤로 뜯어내왔다. 마침 테리가 다니는 학교의 심리상담사 역할도 하고 있던터라, 테리도 그의 환각술에 당해 웨인 저택에서 물건을 훔치다가 간신히 브루스의 저지로 정신을 차린다.

    배트맨과 대치 했을때는 주특기인 환각술로 배트맨을 궁지에 몰아 넣는다. 결국 패배하고 경찰에 체포되지만, 이후로도 VR을 통해 현실도피를 하고 싶어하는 사람들의 간절함을 이용해 그 댓가로 돈을 뜯어낸다.[7] 바바라 고든에 몰래 접근해 배트맨이 살인을 저지르는 환상을 보여줘 배트맨을 살인범으로 몰고가는 용의주도함도 보인다. 원작의 스케어크로우의 포지션에 해당한다.
  • 슈리크
    본명은 월터 슈리브로, 천재적인 음향 공학자이다. 다양한 음파를 생성하고 조작하는 특수 슈트를 개발하여 범죄 활동에 이용한다.
  • 쿠라레
    소사이어티 오브 어쌔신[8]의 뛰어난 여성 암살자로, 단분자 칼날을 가진 장검으로 거의 모든 걸 잘라버리는 모습을 보여준다. 바바라 청장의 남편인 지방 검사를 없애려 했으나 배트맨에 의해 실패한다. 이 때문에 리그 오브 어쌔신에서 퇴출당하고 실패자로 낙인찍혀 추적당하게 된다. 그러나 얼마 지나지 않아 리그의 추적자들은 물론, 간부들을 죄다 죽여버리는 위용을 보여준다.
  • 조커즈
    과거 희대의 악당 조커를 본뜬 갱단이다. 단순한 폭주족이지만 고담 전역에 퍼져있어 보기보다 영향력이 있는 집단이다.
  • 터리픽 트리오 (마그마, 프레온, 2D 맨)
    마블 코믹스의 판타스틱 포를 오마주한 캐릭터들이다. 고담시의 베이 리지 연구소에서 근무하던 세 명의 과학자들이 실험 중 방사능 사고를 겪으면서 초능력을 얻게 된 팀이다. 이들은 사고 이후 '터리픽 트리오'라는 이름으로 고담시의 새로운 슈퍼히어로로 떠오르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태가 점점 악화되고, 결국 진실을 알게 되면서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하게 된다.
  • 빅 타임
    원작의 투 페이스 포지션에 해당되는 캐릭터. 본명은 찰리 오 비글로이며, 테리가 과거 방황하던 불량소년이었을 시절 어울렸던 단짝 친구중 한명이었다. 당시 같은 범죄를 저질렀음에도 테리는 미성년자여서 소년원 처분으로 끝났지만 찰리는 성인에 해당되는 나이였기 때문에 3년간 감옥 생활을 지냈다. 이 때문에 테리는 늘 마음 한 구석에 마음의 빚을 지고 있었다.

6. 기타

  • 작품의 무대인 네오 고담은 공각기동대블레이드 러너의 영향을 많이 받아 시각적으로 동양적 요소가 많이 들어갔다. 또한 동양계 인물들도 많아졌다.
  • 제작년도가 1999년인 만큼 지금 보면 시대에 뒤쳐진 듯한 기술적 묘사들도 간간히 눈에 띄인다. 예를 들면 여전히 CD 디스크를 사용하는 등이 있다.
  • 2013년에는 배트맨 비욘드의 후속작인 "배트맨 비욘드 2.0", "저스티스 리그 비욘드" 등이 연재되었는데, 특유의 어두운 분위기 및 원작이라고 부를수 있는 애니메이션에서 표현하지 못한 수위 높은 설정이나 사안들이 세세하게 밝혀지게 되었다. 그중에 가장 큰 충격적인 것은 바바라 고든딕 그레이슨 그리고 브루스 웨인이 왜 같이 일하지 않고 헤어지게 되었는가에 대한 내용이 코믹스에 공개되었는데 자세한 내용은 바바라 고든 항목 참고. 다만 이것은 기존 시리즈의 제작진들이 쓴 시리즈는 아니라서 참고만 하길 바란다.
  • 배트맨 75주년 기념 단편 애니메이션이 나왔다. 역대 배트맨의 모습을 한 로봇들이 배트 케이브에 침입해, 테리와 브루스가 그 로봇들과 2:7의 상황에서 싸우는 내용이다. 상대하는 배트맨 로봇들은 배트맨 NBA의 배트맨으로 시작해서 1939년 첫 등장 당시의 오리지널 배트맨부터 아담 웨스트 버전, 팀 버튼 영화 버전, <배트맨 비긴즈> 3년 후를 배경으로 한 <더 배트맨> 버전, 또 다른 미래라고 할 수 있는 다크 나이트 리턴즈 버전 등의 배트맨의 모습을 하고 있다.

* 2019년 리마스터되었으며, 블루레이로 발매되었다. 대부분의 에피소드는 오리지널 소스를 활용해 리마스터했으나, 11편 정도는 소스 상태가 좋지 못해 SD 업스케일링을 하였다.
  • 마이클 키튼을 주인공으로 한 배트맨 비욘드 영화가 제작 예정이라는 루머가 여러차례 있었다.[10][11]


[1] https://www.youtube.com/watch?v=HlwDdL7KL4E[2] 다만 비욘드 시점의 바바라는 자신이 배트걸로 활약했던 시절을 그다지 좋게 보지 않는다. 배트걸이었던걸 후회하진 않지만 상당히 그 시절을 냉담하게 생각하고 있다. 이 때문에 아버지처럼 대놓고 배트맨과 협력하지는 않는다. 필요하다면 갑자기 불쑥 배트케이브에 찾아오긴 하지만, 오히려 (누명이었지만) 배트맨이 범죄를 저질렀다는 증거가 나오자 주저않고 배트맨 수배영장을 내리기도 한다.[3] 패치처럼 몸에 붙이는 근력증강제가 범죄에 이용되는 사건이 고담 곳곳에서 나타나자 약물 성분을 분석해서 베인이라고 생각했지만, 실은 베인은 이미 오래전에 폐인이 돼있었고 흑막은 그의 뒤를 돌봐주던 부하가 약물을 손봐서 패치식으로 개조하여 유통하던 것이었다.[4] 배트맨 비욘드의 마지막 에피소드이자, 본래 DCAU의 총체적인 피날레격으로 만든 에피소드였다. 배트맨 비욘드 시리즈에서 마지막 시즌의 파이널 에피소드가 시리즈 피날레 역할을 하지 못한 것에 대한 아쉬움 때문에, 그리고 방송사에서 저스티스 리그 언리미티드를 종영할 것이라는 예상 때문에 제작되었지만 정작 저스티스 리그 언리미티드는 이후 한 시즌을 더한 다음에야 종영이 되었다. 그리고 DCAU 전체의 피날레이기 때문인지 종결부는 DCAU의 시작을 알린 배트맨 TAS의 첫 화인 'On Leather Wings'의 도입부와 대구를 이룬다.[5] 브루스의 첫 사랑인 안드레아 버몬트. 배트맨 TAS 극장판 <마스크 오브 판타즘>에 등장한다. 아버지의 복수를 위해 빌런이 되긴했지만 천성이 나쁜 사람은 아니다.[6] 배트맨과 같은 존재를 만들겠답시고 일부러 살인을 하겠다는 것은 거의 배트맨 본인에 대한 모독에 가깝다. 판타즘이라면 브루스에 대해서도 잘 아는 사람이니 더 그렇게 느꼈을 것이다.[7] 어떻게든 VR로 다시 돌아가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도둑질까지 불사케해서 뜯어낸 것이다.[8] 리그 오브 어쌔신과 이름이 유사하나, 작중 내 묘사를 보면 다른 독립된 조직으로 보인다.[9] https://www.google.co.kr/search?newwindow=1&biw=1920&bih=949&tbm=isch&sa=1&ei=qkNGWo7NF4ao8QX31YXICg&q=arkham+knight+batman+beyond+skin&oq=arkham+knight+batman+beyond+skin&gs_l=psy-ab.3...0.0.0.37704.0.0.0.0.0.0.0.0..0.0....0...1c..64.psy-ab..0.0.0....0.4DpZtk6Ay-8[10] https://fullcirclecinema.com/2020/07/03/live-action-batman-beyond-film-development/[11] https://wegotthiscovered.com/movies/wb-liveaction-batman-movie-michael-kea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