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c1d1f> | M1-es metróvonal 부다페스트 지하철 1호선 Budapest Metro M1 | |
|  | |
| Ganz MFAV 전동차 | |
| 노선도 | |
| 
 | |
| 노선 정보 | |
| 분류 | 도시철도 | 
| 차량 분류 | 중전철 | 
| 기점 | 보로슈마르티 테이르역 | 
| 종점 | 멕시코이 우트역 | 
| 역 수 | 11개 | 
| 상징색 | 노란색 (#ffd900) | 
| 개통일 | 1896년 5월 2일 | 
| 소유자 | 부다페스트 | 
| 운영사 | Budapesti Közlekedési Központ | 
| 사용차량 | Ganz MFAV 전동차 | 
| 노선 제원 | |
| 노선연장 | 4.4km | 
| 궤간 | 1,435mm | 
| 선로구성 | 복선 | 
| 급전방식 | 직류 550V 가공전차선 | 
| 최고속도 | 50km/h | 
| 통행방향 | 우측통행 | 
| 멕시코이 우트 → 보로슈마르티 테이르 운행 영상 | 
1. 개요
1896년 5월 2일 개통하였다. 총 연장 4.4km, 11개 역이 있다. 유럽 대륙 최초의 도시철도 노선으로 개통식 당시 프란츠 요제프 1세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황제(카이저)가 참석하여 탑승한 카이저 열차도 보존되어 있다.페슈트 지역 남북을 가로지르는 노선이다.
이 노선의 모든 역이 상대식 승강장이며, 승강장이 지하 1층에 위치 해 있다. 즉, 반대방향 승강장으로 들어가면 나가서 길을 건넌 뒤 다시 들어가야한다. 그렇기 때문에 티켓 발매기가 역 외부에 위치해있다.
엘레베이터 에스컬레이터가 없고, 계단만 존재한다.
또한 스크린도어는 없으며, 모든 승강장이 저상홈이기 때문에 선로에 추락해도 매우 쉽게 올라올 수 있다.
유럽 지하철 중 드물게 가공전차선을 쓰는 노선이다.
2. 역사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을 수립한 이후 프란츠 요제프 1세 황제와 오스트리아 정부는 헝가리 왕국의 민심을 다독일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빈보다 부다페스트에 먼저 도시철도를 개통할 계획을 세웠다. 그리고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군 열병식을 하는 언드라시 거리가 당시 부다페스트의 중심 거리인 만큼 이곳에 도시철도를 놓는다면 효과적인 선전 효과가 있을 거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1892년 언드라시 거리에 도시철도를 착공하여 1896년[1] 5월 2일에 부다페스트 지하철 1호선을 개통하였다. 부다페스트 1호선은 유럽 대륙 최초의 도시철도라는 타이틀도 획득했다.[2]3. 노선 및 역 목록
| 파란 칸은 지상역임을 표시한다. | 
| 1호선 역 목록 | |||
| 한국어 역명 | 헝가리어 역명 | 승강장 | 환승노선 | 
| 보로슈마르티 테이르 | Vörösmarty tér | ■││■ | |
| 데아크 페렌츠 테이르 | Deák Ferenc tér | ■││■ |  | 
| 버이취-질린스키 우트 | Bajcsy–Zsilinszky út | ■││■ | |
| 오페라 | Opera | ■││■ | |
| 옥토곤 | Oktogon | ■││■ | |
| 보로슈머르티 웃처 | Vörösmarty utca | ■││■ | |
| 코다이 코론드 | Kodály körönd | ■││■ | |
| 버이저 웃처 | Bajza utca | ■││■ | |
| 호쇼크 테레 | Hősök tere | ■││■ | |
| 세체니 푸르도 | Széchenyi fürdő | ■││■ | |
| 멕시코이 우트 | Mexikói út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