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2 15:14:29

뷰익 랑데뷰

파일:2002-2015 뷰익 로고.png
파일:RDVFN.jpg
Rendezvous

1. 개요2. 상세
2.1. 1세대(GMT257, 2001~2007)
3. 기타4. 둘러보기


BUICK Rendezvous

1. 개요

뷰익중형 SUV이다.

2. 상세

2.1. 1세대(GMT257, 2001~2007)

파일:RDV1.jpg 파일:RDV2.jpg
1세대 초기형 랑데뷰
북미 시장 광고

2000년 2월 시카고 오토쇼를 통해 정식으로 공개된 차량으로, 뷰익 브랜드의 첫 SUV이다. 차체는 GM의 미니밴 및 크로스오버용 아키텍처인 U 플랫폼을 바탕으로 설계되었고, 전반적인 기술적 요소를 폰티악 아즈텍과 공유했다.

외관은 형제차인 아즈텍과 극명하게 대비되는 스타일로, 부드럽고 차분한 고급 크로스오버를 지향했다. 당시 뷰익 브랜드의 패밀리룩을 따라 세로형 그릴과 크롬 장식을 장착하는 한편, 클레딩을 투톤으로 처리하고 지상고를 낮춰 렉서스 RX처럼 승용차에 가까운 인상을 만들어낸 것이 특징이다. 뒷유리와 D필러 전체, 지붕 부위를 둥글게 이어지게 마감해 한 덩어리로 보이게끔 한 것도 독특한 부분.

실내는 각 요소를 운전자 중심으로 설계하고 칼럼식 변속기를 적용해 공간 활용성을 높였으며, 고급 시계에서 영감 받은 흰색 바탕의 계기판과 가죽으로 마감된 스티어링 휠, 다기능 트립 컴퓨터를 장착해 고급감을 강조했다. 시트 배열은 5인승 구성을 기본으로 2+2+2의 6인승 옵션과 2+3+2의 7인승 옵션을 선택할 수 있었는데, 미니밴과도 플랫폼을 공용하는 차량이다 보니 경쟁 차량에 비해 거주성이 좋다는 평가를 받았다. 트렁크도 넉넉했다.

편의 장비로는 열선과 메모리 기능을 지원하는 1열 전동 시트, 크루즈 컨트롤, 원터치 파워윈도우, 핸즈프리 통화, 썬루프, 듀얼 존 공조장치, 원격 시동 등 다양한 장비가 제공되었으며, 당시엔 매우 드물었던 헤드업 디스플레이(HUD)도 선택할 수 있었다. 안전 장비로는 운전석, 조수석 및 사이드 에어백, ABS, 트랙션 컨트롤 등이 제공되었다.

파워트레인은 185마력을 발휘하는 3.4L V6 가솔린 엔진(LA1)에 4T65-E 4단 자동변속기가 맞물렸으며, 전륜구동사륜구동 중 한 가지 방식을 선택할 수 있었다. 이 중 사륜구동의 경우 전자제어식 멀티클러치를 통해 능동적으로 구동력을 배분해주는 벌사트랙(Versatrek) 시스템을 바탕으로 작동되어 주행안정성과 효율성이 준수한 편이었다. 후륜엔 트림에 상관 없이 독립식 현가장치가 기본으로 적용되었다.

크기는 전장 4,737mm, 전폭 1,869mm, 전고 1,750mm, 축거 2,845mm 수준으로, 앞서 출시된 렉서스 RX보단 크고 아큐라 MDX보단 약간 작은 덩치를 지니고 있었다.

생산은 멕시코에 위치한 GM 라모스 아리즈페 공장에서 담당했으며, 공개 1년만인 2001년 2월부터 본격적인 생산이 이뤄지기 시작했다.

랑데뷰는 출시 직후 형제차인 아즈텍보다 얌전한 디자인과 경쟁 모델인 RX, MDX보다 저렴한 가격에 대해 좋은 평가를 받으며 북미 시장에서 준수한 판매 실적을 기록했다. 당시 GM 측에선 랑데뷰의 판매 목표를 연 3~4만대 수준으로 세워놓았는데, 첫 해부터 3만 1천대가 넘게 팔려 목표를 충족한 것은 물론이고, 2002년엔 6만 1천대, 2003년엔 7만 2천대가 넘게 팔려나가며 MDX의 판매량을 뛰어넘는 수준에 이르렀다.
파일:RDV11.jpg 파일:RDV12.jpg
1세대 랑데뷰 울트라

이후 몇 차례 연식변경을 거치며 상품성을 보강했는데, 2004년형부터는 캐딜락 CTSSRX와 공유하는 245마력짜리 3.6L V6 엔진(LY7)이 일부 트림에 새로 탑재되기 시작했고, 헤드램프 상단 방향지시등 커버가 투명하게 바뀌었으며, 최상위 트림으로 실내외 고급감을 강화한 울트라(Ultra) 트림을 신설했다.
파일:RDV55.jpg 파일:RDV66.jpg
1세대 후기형 랑데뷰

2006년형부터는 뷰익의 QuietTuning 프로세스를 따라 차체 곳곳에 흡음제가 보강되어 더 나은 정숙성을 제공하며, 기존 울트라 트림이 CXL Plus 트림으로 대체되었다. 또한 계기판 배경색이 검은색으로 교체되었고, 기본 파워트레인이 195마력의 3.5L V6 엔진(LX9)으로 업그레이드되었다.

2007년을 끝으로 상급 모델인 레이니어, 미니밴인 테라자와 함께 엔클레이브에 통합되며 단종 처리되었다.

3. 기타

국내에도 극소수 개체가 존재한다.#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fff><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
파일:Buick 2023 emblem.pn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차종 생산 차량 단종 차량
<colbgcolor=#323232> 소형 - 세일 · 오펠 · 엑셀 (2세대)
준중형 베라노 프로 · 벨라이트 6 스페셜(1961~1963) · 아폴로 · 스카이호크 ·
엑셀 (1세대) · 엑셀 XT · 엑셀 GT · 벨라이트 5 · 베라노
중형 리갈 스탠다드 식스 · 스카이락 · 소머셋 ·
스페셜(1964~1969) · 센추리 · 스포트 왜건
준대형 라크로스 -
대형 - 모델 B · 4 · 식스 · 마스터 식스 · 슈퍼 · 리미티드 ·
로드마스터 · 스페셜(1936~1958) · 스카이락(1953~1972) ·
엘렉트라 · 르세이버 · 인빅타 · 와일드캣 · 센추리온 ·
리비에라 · 에스테이트 · 파크 애비뉴 · 로이엄 · 루체른
컨버터블 - 카스카다 · 레아타
소형 SUV 앙코르 GX · 엔비스타 벨라이트 7 · 앙코르
준중형 SUV 엔비전 -
중형 SUV 엔비전 플러스 · 엘렉트라 E5 랑데뷰 · 리갈 투어X · 엘렉트라 E4
준대형 SUV 엔클레이브 레이니어
MPV GL8 테라자 · GL6
대전차 자주포 - M18 헬캣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