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707070><tablebgcolor=#707070> | 선거구 제60구 Wahlkreis 60: Brandenburg an der Havel – Potsdam-Mittelmark I – Havelland III – Teltow-Fläming I | }}} | |||
| ||||||
<colbgcolor=#707070><colcolor=#ffffff> 선거인 수 | 202,952명 (2025) | |||||
상위 주 | 브란덴부르크 | |||||
하위 행정구역 | 브란덴부르크안데어하펠시 전체, 포츠담-미텔마르크 군 일부[1.1], 하펠란트 군 일부[1.2], 텔토-플레밍 군 일부[1.3] | |||||
연방의원 | | 아르네 라우에 (Arne Raue) |
1. 개요
독일 브란덴부르크 주의 연방의회 선거구. 브란덴부르크 제3의 도시 브란덴부르크안데어하펠시 전체, 포츠담-미텔마르크 군 일부[1.1], 하펠란트 군 일부[1.2], 텔토-플레밍 군 일부[1.3]를 관할하는 지역구이다.1990년에 지역구가 생긴 이후 현재까지 지역구에서 사민당이 8번, 기민련 1번, AfD 1번 당선되어 전통적으로 사민당의 텃밭으로 평가할 수 있었다. 비례대표도 2021년 제20대까지는 기민련, 사민당, 좌파당이 팽팽하게 대결하는 지역구였다. 그러나 AfD가 급부상하더니 2025년 제21대에서는 AfD에게 지역구 의석이 넘어갔고, 비례대표 정당투표도 마찬가지로 AfD가 1위를 차지했다. 지역구에서는 2위 사민당과 7.8% 차이였고, 비례대표에서는 2위 기민련과 13.1% 차이로 압승했다.
세부 지역별로 살펴봐도 브란덴부르크안데어하펠 시내와 시외 전부 포함해서 AfD가 큰표차로 승리하여 향후 전망도 암울하다.
2. 역대 의원
- 마르그리트 슈필만 (사민당): 1998년 제14대부터 2005년 제16대까지 3선.
-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사민당): 2009년 제17대부터 2013년 제18대까지 2선.
- 디틀린트 티만(Dietlind Tiemann) (기민련): 2017년 제19대 1선.
- 조냐 아이히베데 (사민당): 2021년 제20대 1선.
- 아르네 라우에(Arne Raue) (AfD): 2025년 제21대 1선.
3. 역대 선거 결과
3.1. 제21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56구 | 57구 | 58구 | 59구 | 60구 |
괴츠 프뢰밍 | 하네스 그나우크 | - | 레네 슈프링어 | 아르네 라우에 | |
61구 | 62구 | 63구 | 64구 | 65구 | |
올라프 숄츠 | 슈테펜 코트레 | 라이너 갈라 | 라르스 쉬스케 | 비르기트 베신 | |
비례 1 | 비례 2 | 비례 3 | 비례 4 | ||
우베 파일러 | 크누트 아브라함 | 자스키아 루트비히 | 제바스티안 슈타이네케 | ||
비례 1 | 비례 2 | 비례 2 | |||
아날레나 베어보크[1] | 미하엘 켈너 | 안드레아 뤼프케 | |||
비례 1 | 비례 2 | 비례 3 | |||
크리스티안 괴르케 | 이자벨라 판드레 | 크리스틴 빌나트 | |||
비례 2 | 비례 3 | 비례 4 | |||
마야 발슈타인 | 슈테판 치어케 | 조냐 아이히베데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니더작센 · 라인란트팔츠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 바덴뷔르템베르크 · 바이에른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1] 2025년 6월 30일 의원직 사퇴, 안드레아 뤼프케 의원직 승계
<rowcolor=#000> 브란덴부르크안데어하펠·포츠담미텔마르크 1구·하펠란트 3구·텔토플레밍 1구 브란덴부르크안데어하펠시 전체, 포츠담-미텔마르크 군 일부[1.1], 하펠란트 군 일부[1.2], 텔토-플레밍 군 일부[1.3] | |||||||
후보 | 지역구 | 비례대표 | |||||
정당 | 득표수 | 순위 | 득표율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
| 아르네 라우에 | 53,611 | 33.6% | 1위 | 50,225 | 31.4% | 1위 |
| |||||||
| 조냐 아이히베데 | 41,062 | 25.8% | 2위 | 27,517 | 17.2% | 3위 |
| 비례당선 | ||||||
| 자스키아 루트비히 | 30,938 | 19.4% | 3위 | 29,339 | 18.3% | 2위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 비례당선 | ||||||
| 크리스틴 빌나트 | 17,349 | 10.9% | 4위 | 17,229 | 10.8% | 4위 |
| 비례당선 | ||||||
| 질바나 슈페히트 | 5,956 | 3.7% | 5위 | 9,602 | 6.0% | 6위 |
| |||||||
| 데이브 코르테 | 4,803 | 3.0% | 6위 | 2,319 | 1.5% | 8위 |
| |||||||
| 마티 카르슈테트 | 3,717 | 2.3% | 7위 | 4,627 | 2.9% | 7위 |
[[자유민주당(독일)| 자유민주당 ]] | |||||||
파트릭 아흐텐베르크 | 1,915 | 1.2% | 8위 | 1,122 | 0.7% | 10위 | |
''' Volt ''' | |||||||
- | - | - | - | 16,250 | 10.2% | 5위 | |
| |||||||
- | - | - | - | 1,224 | 0.8% | 9위 | |
| |||||||
- | - | - | - | 351 | 0.2% | 11위 | |
''' 독일 연합 ''' | |||||||
- | - | - | - | 102 | 0.1% | 12위 | |
''' MLPD ''' | |||||||
계 | 유효표 | 159,351 | 159,907 | ||||
무효표 | 1,806 | 1,250 | |||||
총 투표수 | 161,157 | 161,157 | |||||
투표율 | 79.8% | 79.8% | |||||
결과 | 획득 | 획득 |
[1.1] 벨리츠, 바트 벨치히, 그로스 크로이츠, 클로스터 레닌, 제디너 제, 트로이엔브리첸, 베르더, 비젠부르크, 베츠제, 브뤼크, 니메크, 부스터비츠, 치자어[1.2] 밀로어 란트, 프렘니츠, 라테노[1.3] 위터보크, 니더괴르스도르프[1.1] [1.2] [1.3] [1.1]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