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wiki style="margin-top:-8px;margin-bottom:-8px;" | <tablebordercolor=#ffffff,#1f2023> | 역대 '''[[틀:역대 동계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여자 싱글 챔피언| 동계올림픽 여자 싱글 챔피언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3c3b6e,#141425> 하계 올림픽 | |||||
1908 | 1908 런던 | 1920 | 1920 안트베르펀 | |||
동계 올림픽 | ||||||
1회 | 1924 샤모니 | <colbgcolor=#3c3b6e,#141425> 2회 | 1928 생모리츠 | |||
3회 | 1932 레이크플래시드 | 4회 | 1936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 |||
5회 | 1948 생모리츠 | 6회 | 1952 오슬로 | |||
7회 | 1956 코르티나담페초 | 8회 | 1960 스쿼밸리 | |||
9회 | 1964 인스브루크 | 10회 | 1968 그르노블 | |||
11회 | 1972 삿포로 | 12회 | 1976 인스브루크 | |||
13회 | 1980 레이크플래시드 | 14회 | 1984 사라예보 | |||
15회 | 1988 캘거리 | 16회 | 1992 알베르빌 | |||
17회 | 1994 릴레함메르 | 18회 | 1998 나가노 | |||
19회 | 2002 솔트레이크시티 | 20회 | 2006 토리노 | |||
21회 | 2010 밴쿠버 | 22회 | 2014 소치 | |||
23회 | 2018 평창 | 24회 | 2022 베이징 | |||
25회 | 2026 밀라노· 코르티나담페초 | 26회 | 2030 알프스 | |||
피겨 스케이팅 주요 대회 역대 챔피언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780c2; font-size: 1em;"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700; font-size: 1em;" | }}}}}}}}} |
<colbgcolor=#c1c6ee><colcolor=#ffffff> 사라 휴즈 Sarah Hughes | |
| |
이름 | 사라 엘리자베스 휴즈 Sarah Elizabeth Hughes |
국적 |
|
출생 | 1985년 5월 2일 ([age(1985-05-02)]세) |
뉴욕 주 그레이트 넥 | |
학력 | 예일 대학교 (미국학·정치학 / 학사)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J.D.) 스탠퍼드 대학교 (경영학 / MBA) |
종목 | 피겨 스케이팅 |
신체 | 165cm |
링크 | |
1. 개요
미국의 前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며,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 여자 싱글 금메달리스트다.2. 선수 경력
2.1. 1997-1998 시즌
노비스 ~ 주니어 데뷔를 했던 시즌으로 만12세에 전미선수권 주니어부분 우승하여 두각을 나타냈다.2.2. 1998-1999 시즌
만13세로 주니어 그랑프리 시리즈 대회에서 2개 대회 모두 2위를 차지하였고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서도 2위, 주니어 세계선수권도 2위로 입상하였으며 (콩라인), (당시에는 허술했던 연령규정으로 주니어 세계선수권 메달을 획득하면 세계선수권 참가자격이 주어졌다.) 첫 시니어 전미선수권에선 4위, 첫 세계선수권에서 겉클린을 하여 7위로 성공적인 시니에 데뷔를 하였다.2.3. 1999-2000 시즌
만 14세의 나이로 본격적인 시니어에 참가했다.그랑프리 시리즈 대회에서 스케이트 아메리카 4위, 트로피랄리크에선 3위를 기록해 첫 그랑프리 대회에서 메달을 획득했다. 비엔나 컵에서는 우승을 차지하였다. 전미선수권에서는 3위로 입상하였고 세계선수권에서는 투란토트의 프리음악으로 트리플 살코+트리플 룹, 트리플 토룹+트리플 룹으로 3연속 점프를 2번 시도하였으나 후속점프가 회전수 부족과 스텝아웃이 나왔으며, 최종5위로 마감하였다.
2.4. 2000-01 시즌
만15세로 당시 그랑프리 러시아컵 3위, 슈퍼카센컵과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각각 2위로 3개의 그랑프리 시리즈 메달과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하여 동메달, 전미선수권2위, 세계선수권 동메달로 성공적인 시니어 시즌을 보냈다.이때 2001세계선수권에서 쇼트에서 4위였지만 고난도 점프 본인의 트레이드 마크인 트리플 살코 트리플 룹(언더로테이트) 포함 7개 트리플 점프 (롱에지, 몇개는 쿼터 및 언더로테이트)로 겉클린에 성공하여 쇼트 3위였던 러시아의 마리아 부티르스카야를 밀어내고 포디움에 입성했다.
2.5. 2001-02 시즌
스케이트 캐나다에서 생각외로 미국의 미쉘콴과 러시아의 슬루츠카야를 제치고 1위를 차지하여 메이저 A급대회의 우승을 했다.스케이트 아메리카와 트로피 랄리크에선 2위, 그랑프리 파이널에선 2년연속 동메달로 마감하여 솔트레이크 올림픽 시즌 메달후보로 예상했다. 전미선수권에서는 트리플 살코 트리플 룹에서 후속점프를 싱글로 처리하여 3위로 마감했다.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에서 강력한 금메달 후보들이었던 미셸 콴과 이리나 슬루츠카야를 제치고 올림픽 금메달을 차지하는 이변을 일으켰다. 쇼트 경기에서 휴즈는 눈에 띄는 큰 실수를 하지는 않았지만 쇼트 경기에서 트리플 러츠 롱엣지, 트리플 러츠와 트리플 플립에서 회전수 부족 판정(現 쿼터 판정)을 받아 기술점수에서 손실(5.1-5.6)을 보았다. 예술점수 역시 평소에 받았던 점수와 큰 차이가 없이 5.5-5.7점을 받았다. 반면 우승 후보로 꼽힌 콴은 후반부에 뛴 트리플 플립의 회전을 채우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예술점수에서 5.9점을 받아 홈어드밴티지의 이점으로 선두에 올랐다. 슬루츠카야 역시 약간의 잔실수가 있었다.
프리 경기[1] 당시 콴은 트리플 플립에서 거의 넘어질 뻔한 큰 실수를 저질렀으며, 슬루츠카야도 스텝 아웃과 트리플 플립 착지 과정에서 실수가 있었다. 반면 휴즈는 회전수 부족과 롱엣지 판정이 있었지만, 트리플+트리플 콤비네이션 점프를 두 번이나 넣고 겉클린을 하며 역전 우승을 차지했다.
하지만 슬루츠카야가 평소보다 구성(예술) 점수를 덜 받았다는 의견도 있었다. 슬루츠카야의 평소 기술성은 높았으나, 유독 예술성에는 많은 약점이 있었다.[* 다만, 휴즈의 프리 경기에서 두번째 점프인 트리플 살코+트리플 룹, 후반부 트리플 토룹+트리플 룹 콤비네이션 점프 중 첫번째 3연속인 트리플 살코 트리플 룹에서 후속 트리플 룹 점프가 회전수 부족(언더로테이티드)임에도 불구하고 심판이 제대로 잡아내지 않았단 지적도 있었다.
[2]
콴 역시 휴즈의 편파판정으로 인한 금메달은 아니라는 의견이 많았다. 당시 콴과 슬루츠카야 모두 실수를 저질렀고, 쇼트보단 프리에서 좋은 점수를 받으면 동점이여도 프리 점수 우선으로 인해 전체 성적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는 구체점제의 모순으로 인해 나오게 된 판정으로 보고 있다.
사실 프리점수로 보면 휴즈>슬루츠카야>콴의 순이 맞지만 쇼트에서 콴의 후반부인 트리플 플립에서 축이 기울여져 회전수가 부족했음에도 예술점수의 홈어드밴티지로 전원 5.9로 인해 쇼트1위로 마감한것이 큰 화근이었다. 사실은 쇼트성적에선 슬루츠카야가 1위 였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 스캔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 스캔들#|]][[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피겨 스케이팅 스캔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6. 2002-03 시즌
2003 전미선수권 은메달, 2003 세계선수권 6위를 한 뒤 예일 대학교에 입학한 직후 바로 은퇴했다.2.7. 은퇴 이후
2018년 5월 15일 펜실베이니아 대학교 로스쿨을 졸업해 변호사로 일하고 있으며, 2024년 5월 스탠퍼드 대학교에서 MBA 과정을 마쳤다.3. 기술 및 평가
트리플 토룹+트리플 룹, 트리플 살코+트리플 룹 같은 룹 컴비네이션이 주특기였으며 엣지 계열 점프도 잘 구사했다. 나이에 비해 성숙한 연기와 선곡이 좋았으나 고질적인 롱엣지와 회전수 부족(프리 로테이트)이 계속 문제였었다.아델리나 소트니코바가 2014 소치 동계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따기 전까지 올림픽 금메달 강탈이라는 비판을 받았지만 휴즈는 시니어에서도 2001 세계선수권 동메달, 그랑프리 파이널 2회 동메달을 포함해 나름의 상위권 성적을 지녔다. 실제로도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에서도 메달 후보로 거론되었었다.
4. 커리어
올림픽 | ||
금메달 | 2002 솔트레이크시티 | 여자 싱글 |
세계선수권 | ||
동메달 | 2001 밴쿠버 | 여자 싱글 |
그랑프리 파이널 | ||
동메달 | 2000-01 도쿄 | 여자 싱글 |
동메달 | 2001-02 키치너 | 여자 싱글 |
주니어 세계선수권 | ||
은메달 | 1999 자그레브 | 여자 싱글 |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 ||
은메달 | 1998-99 디트로이트 | 여자 싱글 |
국제대회:시니어 | ||||||
대회 | 97–98 | 98–99 | 99–00 | 00–01 | 01–02 | 02–03 |
올림픽 | 1st | |||||
세계선수권 | 7th | 5th | 3rd | WD | 6th | |
GP 파이널 | 3rd | 3rd | ||||
GP 스케이트 캐나다 | 1st | |||||
GP 컵 오브 러시아 | 3rd | |||||
GP 슈파카센 컵 | 2nd | |||||
GP 트로피 랄리크 | 3rd | 2nd | ||||
GP 스케이트 아메리카 | 4th | 2nd | 2nd | |||
비엔나 컵 | 1st | |||||
국제대회:주니어 | ||||||
주니어 세계선수권 | 2nd | |||||
JGP 파이널 | 2nd | |||||
JGP 헝가리 | 2nd | |||||
JGP 멕시코 | 2nd | |||||
국내대회 | ||||||
전미선수권 | 1st J | 4th | 3rd | 2nd | 3rd | 2nd |
GP=그랑프리, JGP=주니어 그랑프리, WD=기권, J=주니어 |
[1] 당시 경기 순서는 부티르스카야 - 휴즈 - 세바스티안 -코헨 - 콴 - 슬루츠카야였다.[2] 사실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은 9.11 테러 직후 열린 대회인 만큼 미국의 애국주의가 크게 폭발한 대회이기도 했다. 이러한 판정 논란에 주로 피해를 본 쪽은 러시아였고, 특히 휴즈는 뉴욕주 주민으로서 갈라쇼 때 빙판에 꽃다발을 놓으며 테러를 추모하는 공연을 펼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