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불교조계종 | |
북한산 삼천사 北漢山 三千寺 | Samchunsa | |
<colbgcolor=#ff8c00><colcolor=#ffffff> 설립일 | 661년 |
소속국가 | 대한민국 |
주지 스님 | 성운 |
설립 법인 | (사회복지법인) 인덕원삼천사복지재단 |
위치 | |
서울특별시 은평구 진관동 산 25-2 | |
외부링크 |
[Clearfix]
1. 개요
진관동에 있는 절이다. 진관동에 유명한 절인 진관사와 근처에 있고, 진관사보다 먼저 생겼다.2. 연혁
삼천사는 서기 661년(신라 문무왕1) 원효(元曉)대사가 개산(開山)하였다. 1482년(조선 성종12)에 편찬된 《동국여지승람》과 《북한지(北漢誌)》에 따르면 3,000여명이 수도할 정도로 번창했다고 하여 사찰 이름도 이 숫자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측된다.1592년(조선 선조25)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는 승병들의 집결지로 활용되기도 하였고, 임진왜란 중에 소실 되었으나 뒷 날 이 절의 암자가 있던 마애여래입상 길상터에 진영 화상이 삼천사(三千寺)라 하여 다시 복원하였다.
평산 성운 화상의 발원과 삼천사 불자들의 염원을 함께하여 조성된 세존진신사리불탑은 한국 석탑의 대표로 뽑는 국보 제48호 오대산 월정사 9층 석탑과 인도 석탑의 대표인 초전법륜지인 사르나트아쇼까 (석주 4두(四頭) 사자상) 대탑을 원형 그대로 접목하여 탑신을 15m크기로 한국/인도형 세존진신사리불탑으로 나투었다.
또한, 현 삼천사 위치에서 2km 위쪽의 옛 삼천사 터에서 발굴된 대형 석조(石槽)와 동종(銅鐘), 연화대좌(蓮花臺座), 석탑기단석(石塔基壇石), 석종형부도(石鐘形浮屠), 대지국사(大知國師) 법경(法鏡)의 비명(碑銘)등 600여점의 문화재가 발굴되었고 그 중 동종은 보물로 지정받아 현재 국립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1970년대에 삼천사 주지로 부임한 평산 성운 화상이 경내에 위치한 마애여래입상이 천년 고불(古佛)임을 입증하여 보물 제 657호로 지정받고 50여 년의 중흥 불사를 통해 대웅보전, 산령각, 천태각, 연수원, 요사채 등의 30여동의 건물과 세존진신사리불탑, 지장보살입상, 종형사리탑, 관음보살상, 5층 석탑, 중창비 등을 조성하여 현재의 문화재 전통 사찰로서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또한 20여 년만의 수많은 방문객들의 기도도량, 참회도량, 수행도량으로서 참배하는 사찰로 확고히 자리하게 되었다.
3. 법인
삼천사는 1994년 사회복지법인 인덕원을 설립하여 아동복지를 시작으로 청소년, 노인, 장애인 지역 사회에 이르기까지 복지가 필요한 모든 분야에 확대 실시하고 있다. 2021년 4월 1일자로 현재 법인 명인 사회복지법인 인덕원삼천사복지재단으로 변경하였다. 법인의 이사장은 삼천사의 주지스님인 서병진(성운)이고, 대표이사는 강순옥이다.현재 노인복지사업으로 인덕노인종합복지타운, 은평노인종합복지관, 구립역촌노인복지관, 자비의 집, 은평신사데이케어센터, 대조노인복지관를 운영하고 있으며, 의료사업으로 파라밀요양병원을 운영하고 있으며, 지역복지사업으로 길음종합사회복지관, 은평구립도서관, 증산정보도서관, 은평뉴타운도서관, 구립상림도서관, 녹번만화도서관, 삼천사 무료급식소을 운영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아동복지사업으로 개나리어린이집, 불광어린이집, 꽃빛나라어린이집, 다솔어린이집, 상림마을어린이집, 응암새싹어린이집 등을 운영하고 있다.
4. 오시는 길
- 701번, 709번, 7211번 3,6호선 연신내역 3번 출구 정류소에서 이용. 삼천사 입구에서 하차
- 7723번 구파발역 환승센터에서 이용. 삼천사 입구에서 하차
- 양주37번, 704번, 8772번, 077B번 삼천리골 입구에서 하차하여 도보로 30분
4.1. 셔틀버스
진행 방향 | 구파발 -> 삼천사 | 삼천사 -> 구파발 |
탑승지 | 구파발역 2번 출구 | 삼천사 쉼터 |
출발 시간 | 08:20 10:00 11:00 13:15 | 13:00 16:00 18: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