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0 09:40:56

서울고속도로주식회사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고속도로 운영기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파일:한국도로공사 CI.svg 파일:서울고속도로_Logo.png 파일:서울북부고속도로.png
한국도로공사 서울고속도로주식회사 서울북부고속도로주식회사
파일:서울문산고속도로_Logo.png 파일:수도권서부고속도로_Logo.png
서울문산고속도로주식회사 서서울고속도로주식회사 수도권서부고속도로주식회사
파일:경수고속도로_Logo.png 파일:경기고속도로_Logo.png 파일:화성광주고속도로 로고.png
경수고속도로주식회사 경기고속도로주식회사 화성광주고속도로주식회사
파일:제2서해안고속도로 CI.svg 파일:external/www.igex.co.kr/top_logo.gif 파일:제이경인연결주.png
제2서해안고속도로주식회사 인천김포고속도로주식회사 제이경인연결고속도로주식회사
파일:인천대교 CI.svg 파일:신공항하이웨이 로고.svg
인천대교주식회사 신공항하이웨이주식회사 서부내륙고속도로주식회사
파일:서울춘천고속도로 CI.svg 파일:제2영동고속도로 주식회사 CI.png 파일:옥산오창고속도로_CI.png
서울춘천고속도로 제2영동고속도로 옥산오창고속도로
파일:external/www.cneway.co.kr/logo.gif 파일:대구부산고속도로주식회사.jpg 파일:external/www.busanulsanway.co.kr/logo.gif
천안논산고속도로주식회사 신대구부산고속도로주식회사 부산울산고속도로주식회사
파일:external/bs2road.co.kr/top_logo.png 파일:상주영천고속도로 CI.svg 파일:경기동서순환도로.png
부산신항제2배후도로주식회사 상주영천고속도로주식회사 경기동서순환도로주식회사
파일:logo.4e4.svg
포천화도고속도로주식회사
관련 틀: 대한민국의 일반도로 운영기관 }}}}}}}}}


<colcolor=#ffffff>
서울고속도로주식회사
서울高速道路株式會社
Seoul Beltway Corporation
파일:서울고속도로_Logo.png
<colbgcolor=#122291> 설립일 2000년 5월 16일
업종 도로 및 관련시설 운영업
대표자 유인준
주요 주주 국민연금공단: 86%
다비하나이머징인프라투융자회사: 14%
(2022년 12월 31일 기준)
기업구분 중견기업
상장여부 비상장기업
직원 수 37명(2022년 12월 31일 기준)
자본금 1,108억 7,150만원(2022년 기준)
매출액 1,628억 611만 57원(2022년 기준)
영업이익 1,019억 6,079만 2,367원(2022년 기준)
순이익 -784억 8,167만 3,232원(2022년 기준)
자산총액 7,970억 2,642만 4,975원(2022년 기준)
부채총액 2조 4,725억 3,363만 2,998원(2022년 기준)
부채비율 -147.57%(2022년 기준)
소재지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일영로501번길 373-63 (삼하리)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서울고속도로㈜ 홈페이지
SNS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서울고속도로㈜ 공식 블로그
대표전화 1644-2505

1. 개요2. 연혁3. 지배구조4. 역대 대표이사5. 관할 요금소

[clearfix]

1. 개요

국민연금공단의 자회사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퇴계원 나들목 ~ 일산 나들목 구간을 건설하고 휴게소와 같은 제반 시설의 관리·운영하는 대한민국의 기업.

고속도로의 소유권은 대한민국 정부가 가지고 관리 운영권을 50년간 보장 받아 2056년까지 운영하게 된다. 총연장 36.3 km 구간을 관리하고 있다.[1]

설립 당시에는 LG건설(현 GS건설)이 최대주주로 LG그룹 자회사였다가 2004년 8월 LG그룹이 LG그룹과 GS그룹으로 분할하면서 GS그룹의 자회사가 되었다. 2009년 9월 25일 최대 주주가 국민연금공단으로 변경되면서 GS그룹 자회사에서 분리되었다.

최대 주주가 국민연금공단으로 변경된 이후 국민연금관리공단에 48%에 가까운 이자를 추가해서 빚을 갚고 있다. #

2. 연혁

3. 지배구조

2022년 12월 기준
주주명 지분율 비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국민연금공단 86.00% 모회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다비하나이머징인프라투융자회사 14.00%

4. 역대 대표이사

  • 초대 이수조 (2000~2002)
  • 2대 최병권 (2002~2003)
  • 3대 안욱남 (2003~2006)
  • 4대 도하석 (2006~2007)
  • 5대 최병권 (2007~2008)
  • 6대 구본국 (2008~2011)
  • 7대 김성탁 (2011~2015)
  • 8대 서강봉 (2015~2017)
  • 9대 강태구 (2017~2022)
  • 10대 유인준 (2022~ )

5. 관할 요금소



[1] 원래는 2036년까지였지만 2018년 3월 29일부로 통행료가 내려가면서 국토부가 통행료 인하를 위해 현재 30년인 민자법인의 운영 기간을 20년 연장해 주게 되었다. 또 연장 기간에는 현재 적용 중인 최소운영수입보장(MRG)을 폐지하고 실제 요금 수입으로 충당이 안 되는 운영 비용(투자금 회수분+운영비) 부족액만 지원해주는 방식으로 바꾼다.[2]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송추 나들목 ~ 일산 나들목 구간, 퇴계원 나들목 ~ 의정부 나들목 구간.